$\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후 우울 수준과 분만전후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Postpartum Depressive Score and Related Factors Pre- and Post-delivery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1, 2010년, pp.29 - 36  

이선옥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  여정희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이현숙 (부산일신기독병원 간호부) ,  양현주 (부산일신기독병원 간호계) ,  한미정 (부산일신기독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cores of postpartum depression(PPD) on the first day, 1st week, and 6th week after the delivery and to explore their related factors before and after delivery in postpartum women. Methods: With a survey design, 293 postpartum women were recruited from a p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산후 우울 관련요인을 분만 전과 후 요인으로 분류, 조사하여, 산후 1일, 퇴원 후 가정에서 관리하는 시기인 산후 1주, 6주 시점에서 산후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산후 우울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293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 1일, 1주 및 6주에 산후 우울 수준을 평가하고, 산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분만 전 후 관련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산후 우울정도는 세 시점 모두 9점 이하의 낮은 수치이었으나, 산후 우울 유병율은 산후 1일에 3.
  • 본 연구는 산후 우울 수준과 이에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후 우울은 어떤 악영향을 야기하는가? 또한 산후 우울이 모아에게 미치는 영향의 심각성을 인지한다면 관리의 필요성은 더 절실하다 하겠다. 산후 우울은 엄마의 자신감을 저하시켰고, 배우자와 거리감을 두게 하였으며, 사회적 기능과 삶의 질에서의 장애를 가져왔고(Lee et al., 2003), 5세 아동의 행동적 및 사회적 적응에 어려움을 초래하여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쳤다(Murray, Halligan, Adams, Patterson, & Goodyer, 2006).
산후 우울의 발병 특징은 무엇인가? 산후 우울(postpartum depression)이란 출산 후 발생하는 가장 흔한 장애로, 빈도는 전 세계적으로 10~15%에 이르고, 전체 우울 환자의 45~65%가 산후 1년 안에 첫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ighetti-Veltema, Bousquet, & Manzano, 2003). 국내의 산후 우울 발병률은 다양한 측정시기와 서로 다른 측정도구로 인해 하나로 제시하기는 어려우나, 출산 후 1년 이내 여성 중 12.
산후 우울에 있어서 아기의 건강함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결과는 아기가 건강하지 않으면 정상아보다 더 큰 심리적 부담을 갖게 되어 우울을 더 많이 느꼈다는 연구(Choi & Oh, 2000)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아기의 건강함은 산모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므로 출산 후 아기의 건강한 양육을 위한 교육에 참가하도록 권유하고, 아기의 정규적 검진에 소홀하지 않도록 교육시킬 필요가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Y. M., & Kim, J. H. (2003). Comparison of maternal selfesteem, postpartal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mothers of normal and of low birth-weight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5), 580-590. 

  2. Beck, C. T. (2001).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Nursing Research, 50(5), 275-283. 

  3. Beck, C. T., & Gable, R. K. (2001).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screening scale with two other depression instruments. Nursing Research, 50(4), 242-250. 

  4. Boyd, R. C., & Amsterdam, J. D. (2004). Mood disorders in women from adolescence to late life: An overview. Clini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47 (3), 515-526. 

  5. Choi, E. S., & Oh, J. A. (2000).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6(3), 358-371. 

  6. Choi, S. H. (2001). The relationship among the degrees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postpartal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8(2), 199-209. 

  7. Cox, J. L., Holden, J. M., & Sagovsky, R. (1987).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150, 782-786. 

  8. Gaynes, B. N., Gavin, N., Maltner-Brody, S., Lohr, K. N., Swinson, T., & Gartlehner, G. (2005). Perinatal depression: Prevalence, screening accuracy, and screening outcomes. Evidence Report/Technology Assessment (Summary), 119, 1-8. 

  9. Halbreich, U. (2005). The association between pregnancy processes, preterm delivery, low birth weight, and postpartum depressions -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3, 1312-1322. 

  10. Halligan, S. L., Murray, L., Martins, C., & Cooper, P. J. (2007). Maternal depression and psychiatric outcomes in adolescent offspring: A 13-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97, 145-154. 

  11. Han, G. E. (2001).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self-esteem and maternal sensitivity with mother-to-infant attach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2. Henshaw, C., Foreman, D., & Cox, J. (2004). Postnatal blues: A risk for postnatal depression.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and Gynaecology, 25(3-4), 267-272. 

  13. Hung, C. H. (2005). Woman's postpartum stress,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7(2), 148-159. 

  14. Josefsson, A., Berg, G., Nordin, C., & Sydsjo, G. (2001).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late pregnancy and postpartum.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80 , 251-255. 

  15. Jung, M. H., & Kim, J. I.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renatal emotional status, preparation for delivery, postpartum social support and postpartum blu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1), 38-45. 

  16. Kim, J. W., Kim, J. H., Eun, D. S., & Kim, H. (2005). Psychosocial and obstetric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at postpartum 4 week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8(4), 901-909. 

  17. Lee, D. T., Yip, A. S., Chan, S. S., Tsui, M. H., Wong, W. S., & Chung, T. K. (2003). Postdelivery screening for postpartum depression. Psychosomatic Medicine, 65, 357-361. 

  18. Muller, M. E. (1994). A questionnaire to measure ?mother to infant attach.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2 (6), 67-74. 

  19. Murray, L., Halligan, S. L., Adams, G., Patterson, P., & Goodyer, I. M. (2006).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adolescents at risk for depression: The role of maternal depression and attachment styl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8, 489-516. 

  20. Park, S. S., & Han, K. W. (1999). Psychosocial risk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7(1), 124-133 

  21. Park, Y. J., Shin, H. J., Ryu, H.S., Cheon, S. H., & Moon, S. H., (2004). The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5), 722-728. 

  22. Righetti-Veltema, M., Bousquet, A., & Manzano, J. (2003). Impact of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on mother and her 18-month-old infant.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2, 75-83. 

  23. Song, J. E. (2007). Predictors of postpartum fatigue between early and late postpartum period in parturient women - divided by 3/4 weeks of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 (4), 299-309 

  24. Teissedre, F., & Chabrol, H. (2004). Detecting women at risk for postnatal depression using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at 2 to 3 days postpartum.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49, 51-54. 

  25. Webb, D. A., Bloch, J. R., Coyne, J. C., Chung, E. K., Bennett, I. M., & Culhane, J. F. (2008). Postpartum physical symptoms in new mothers: Their relationship to functional limitations and emotional well-being. Birth, 35(3), 179-187. 

  26. Yeo, J. H. (2006).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six months postpartum.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4), 273-2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