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취약계층 아동의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Vulnerable Children in a Community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6 no.3, 2015년, pp.292 - 302  

김수연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추진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vulnerable children in a community. Methods: Using data from 'The Obesity Prevention Framework for Vulnerable Children', a secondary analysis was conducted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 지역사회기반 참여형 연구적용을 통한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건강지도자(lay health advisors) 양성과 활동을 전략으로(이하,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프로젝트[14]의 이차자료분석연구에 기반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기반 참여형 연구적용을 통한 지역사회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프로젝트의 이차분석연구로, 지역사회 취약계층 아동의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 본 연구는 서울시 K구에 소재한 16개소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 등록된 8~12세 아동 165명을 대상으로 건강행태를 단일건강행태와 통합건강행태로 구분하여, 이들과 건강관련 삶의 질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취약계층 아동에서 단일건강행태인 패스트푸드 섭취와 좌식행동의 빈도가 높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 총점의 저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아동을 대상으로 식사 관련 행태인 패스트푸드, 가당음료수, 과일 ‧ 채소, 및 아침식사 섭취, 신체활동 관련 행태인 중간강도 이상 신체활동과 좌식행동을 포함한 단일건강행태 각각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이후 통합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강점은 첫째, 취약계층 아동이라는 특수한 집단을 대상으로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간의 관련성을 최초로 보고한 연구이다. 둘째,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 단일건강행태 각각과 건강관련 삶의 질간의 관련성을 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관점에서 통합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본 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약계층 아동의 의미는 무엇인가? 취약계층 아동은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수준의 빈곤아동이거나, 결손가정의 아동을 의미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의 2010년도 일 보고서[1]에 의하면, OECD 국가의 빈곤 취약계층 아동인구의 비율은 평균 12.
취약계층 아동에서 식사와 신체활동 관련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간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바람직한 위 건강행태 강화를 통한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이유는? 그러나 국내외적으로 취약계층 아동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탐색한 연구는 없다. 취약계층 아동은 건강행태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일반가정 아동과 다를 수 있고[9], 삶의 질 또한 일반가정 아동보다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9], 이러한 배경과 특성이 일반가정 아동과 상이한 건강행태와 삶의 질간의 관련성을 보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취약계층 아동에서 식사와 신체활동 관련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간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바람직한 위 건강행태 강화를 통한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경제협력개발기구의 2010년도 일 보고서에 의하면, OECD 국가의 빈곤 취약계층 아동인구의 비율은 어떠한가? 취약계층 아동은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수준의 빈곤아동이거나, 결손가정의 아동을 의미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의 2010년도 일 보고서[1]에 의하면, OECD 국가의 빈곤 취약계층 아동인구의 비율은 평균 12.7%이며, 이는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빈곤 취약계층 아동인구의 비율이 2010년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oing better for families [Internet]. Paris: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1 [cited 2015 July 29].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787/9789264098732-en 

  2. Statistics Korea. 2013 economic and financial data for Korea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5 July 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4/4/index.board?bmoderead&bSeq&aSeq310209&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3. Kim HR, Lee SH, Choi JM, Oh YI. Children's obesity and underweight among low income families in Korea: Status, implications and policy option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July. Report No.: 2011-07. 

  4. Craig LC, McNeill G, Macdiarmid JI, Masson LF, Holmes BA. Dietary patterns of school-age children in Scotland: Association with socioeconomic indicators,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The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2010;103(3):319-334. http://dx.doi.org/10.1017/s0007114509991942 

  5. Drenowatz C, Eisenmann JC, Pfeiffer KA, Welk G, Heelan K, Gentile D, et al. Influence of socio-economic status on habitual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in 8- to 11-year old children. BMC Public Health. 2010;10(1):214. http://dx.doi.org/10.1186/1471-2458-10-214 

  6.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10 [Internet].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0 [cited 2014 April 14]. Available from: http://www.cnpp.usda.gov/dgas2010-policydocument.htm 

  7. Evans DR. Enhancing quality of life in the population at large. Social Indicators Research. 1994;33(1-3):47-88. http://dx.doi.org/10.1007/978-94-011-0171-4_2 

  8. The KIDSCREEN Group Europe. The KIDSCREEN Questionnaires-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Lengerich: Pabst Science Publishers; 2006. 231 p. 

  9. Mansour ME, Kotagal U, Rose B, Ho M, Brewer D, Roy-Chaudhury A,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urban elementary schoolchildren. Pediatrics. 2003;111(6):1372-1381. http://dx.doi.org/10.1542/peds.111.6.1372 

  10. Chen G, Ratcliffe J, Olds T, Magarey A, Jones M, Leslie E. BMI, health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chool-based study. Pediatrics. 2014;133(4):e868-874. http://dx.doi.org/10.1542/peds.2013-0622d 

  11. Wu XY, Ohinmaa A, Veugelers PJ. Diet quality, physical activity, body weigh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grade 5 students in Canada. Public Health Nutrition. 2012;15(1):75-81. http://dx.doi.org/10.1017/s1368980011002412 

  12. Dalton WT 3rd, Schetzina KE, Pfortmiller DT, Slawson DL, Frye WS. Health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 school children in Southern Appalachia: data from the winning with wellness project.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011;36(6):677-686. http://dx.doi.org/10.1093/jpepsy/jsq108 

  13. Schlesinger S, Walter J, Hampe J, von Schonfels W, Hinz S, Kuchler T, et al. Lifestyle fact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cer survivors. Cancer Causes & Control: CCC. 2014;25(1):99-110. http://dx.doi.org/10.1007/s10552-013-0313-y 

  14. Choo J, Kim HJ, Yang HM, Kim S. An obesity prevention framework for vulnerable children based on a methodology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Using a strategy of training community lay health advisors.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3 November. Report No.: General 13-8. 

  15. Ravens-Sieberer U, Gosch A, Rajmil L, Erhart M, Bruil J, Duer W, et al. KIDSCREEN-52 quality-of-life measu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Expert Review of Pharmacoeconomics & Outcomes Research. 2005;5(3):353-364. http://dx.doi.org/10.1586/14737167.5.3.353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Korean dietary guidelines for children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cited 2015 January 31].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603&CONT_SEQ224044&page1 

  17. Kvaavik E, Andersen LF, Klepp KI. The stability of soft drinks intake from adolescence to adult age and the association between long-term consumption of soft drinks and lifestyle factors and body weight. Public Health Nutrition. 2005;8(2):149-157. http://dx.doi.org/10.1079/phn2004669 

  18. KIDSCREEN. Questionnaires [internet]. Hamburg: Germany. 2011 [cited 2014 December 23]. Available from: http://www.kidscreen.org/ 

  19. Lee BJ, Kwak GJ, Gu IH, Kim MH, Kim SS, Kim JH, et al. A nationwide survey: The status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January. Report No.: 11-1351000-000228-01. 

  20. Ministry of Education. Results of 2013 school health examination [Internet].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3 [cited 2015 January 31]. Available from: http://www.moe.go.kr/web/45859/ko/board/view.do?bbsId294&boardSeq52706. 

  21. Dave JM, Evans AE, Pfeiffer KA, Watkins KW, Saunders RP. Correlates of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of fruits and vegetables in homes of low-income hispanic families. Health Education Research. 2010;25(1):97-108. http://dx.doi.org/10.1093/her/cyp044 

  22. Lee HY, Park YG, You SR, Jung SW, Ko JW. Report of longitudinal analysis III: Socially disadvant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Sejong: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2 December. Report No.: 12-R09. 

  23. Morales PF, Sanchez-Lopez M, Moya-Martinez P, Garcia-Prieto JC, Martinez-Andres M, Garcia NL,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besity, and fitness in schoolchildren: The cuenca study. Quality of Life Research. 2013;22(7):1515-1523. http://dx.doi.org/10.1007/s11136-012-0282-8 

  24. Young EM, Fors SW, Hayes DM. Associations between perceived parent behaviors and middle school student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2004;36(1):2-8. http://dx.doi.org/10.1016/s1499-4046(06)60122-x 

  25. Chen X, Sekine M, Hamanishi S, Wang H, Gaina A, Yamagami T, et al. Lifestyl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Japanese school children: A cross-sectional study. Preventive Medicine. 2005;40(6):668-678. http://dx.doi.org/10.1016/j.ypmed.2004.09.034 

  26. June KJ, Kim JY, Park SM, Lee JY. Breakfast skipping and related factors in children in pover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22(2):204-211. http://dx.doi.org/10.12799/jkachn.2011.22.2.204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health risk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cited 2015 January 3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healthinfo/global_burden_disease/global_health_risks/en/ 

  28. Mathers M, Canterford L, Olds T, Hesketh K, Ridley K, Wake M. Electronic media use and adolescent health and well-being: Cross-sectional community study. Academic Pediatrics. 2009;9(5):307-314. http://dx.doi.org/10.1016/j.acap.2009.04.003 

  29. Syvaoja HJ, Kantomaa MT, Ahonen T, Hakonen H, Kankaanpaa A, Tammelin TH.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in Finnish childre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13;45(11):2098-2104. http://dx.doi.org/10.1249/mss.0b013e318296d7b8 

  30. Kwon YH, Kim C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ter game addiction and the impulsiveness, aggress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4;15(3):460-4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