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식품안전태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Effects of Food Life Style on Preference for MSG Use at Restaurant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ttitude to Food Safety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4, 2015년, pp.86 - 100  

하헌수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부) ,  강병남 (혜전대학교 호텔조리외식계열) ,  김건휘 (상지영서대학교 호텔경영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고객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레스토랑에서 MSG 사용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Baron & Kenny가 제시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식품 안전에 태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식품 탐험형, 미각 추구형, 건강 추구형, 편의 추구형, 고유 추구형으로 5 개 그룹으로 분류된다. 둘째, 편의 추구형은 레스토랑에서 MSG 사용 선호도에 정(+)의 영향력이 있었지만, 건강추구형과 고유추구형은 부(-)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셋째, 식품안전태도는 편의추구형과 고유추구형에서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 간에 유의적인 부(-)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food lifestyle of customers affects MSG usage at restaurants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customer attitude to food safety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 Kenny.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can be summ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레스토랑에서 MSG 사용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간에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또, 최근 환경과 건강, 그리고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의 초점을 맞춰 식품안전태도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식품안전태도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레스토랑 MSG 사용에 대한 선호도 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식품첨가물 제조업체와 레스토랑이 시장 환경과 소비자의 식생활 인식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또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본 연구는 레스토랑에서 MSG 사용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간에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또, 최근 환경과 건강, 그리고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의 초점을 맞춰 식품안전태도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식품안전태도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레스토랑 MSG 사용에 대한 선호도 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 또, 최근 환경과 건강, 그리고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의 초점을 맞춰 식품안전태도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식품안전태도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레스토랑 MSG 사용에 대한 선호도 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식품첨가물 제조업체와 레스토랑이 시장 환경과 소비자의 식생활 인식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또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가설 설정

  • H1-1: 식품탐험형은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건강추구형은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미각추구형은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편의추구형은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5: 고유탐험형은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는 식품탐험형과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 간에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 H2-2: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는 건강추구형과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 간에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 H2-3: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는 미각추구형과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 간에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 H2-4: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는 편의추구형과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 간에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 H2-5: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는 고유추구형과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 간에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 M: Attitude to food safety.
  • 요인 분석 결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식품탐험형, 건강추구형, 미각추구형, 편의추구형, 고유추구형 등 다섯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소비자의 식품선택이나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Ban J(2008)은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식사태도, Kim K(2010)는 한식소비행동, Park J(2011)은 실버층의 외식동기와 외식업체 선택요인, Lee B(2012)는 웰빙의식과 또 이에 따른 외식행동의도에 관한 연구에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하였다.
  • 연구가설 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 간에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MO 사용의 안전성에 반하여 GMO 식품은 어떤 위험성이 존재하는가? 소비자가 식품 생산과 유통과정에 대해 직접적으로 감시하고 통제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식품 생산과 유통과정보다 식품첨가물이나 GMO 사용의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실체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GMO 식품 등은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바로 노출되지 않고 오랫동안 인체에 누적되어 상당기간 지나서 그 위험성이 나타난 바 있다. 따라서 장기간 동안 연구대상자를 추적, 관찰하지 않는 이상 연구 결과에 대한 과학적 결과에 대한 신뢰가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소비자의 안전에 대한 태도도 매우 불확실해진다.
최근 가공식품의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이유는? 이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식생활 스타일에서의 변화이다. 최근 식생활의 변화와 가공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공식품의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인의 식품소비량 중 가공식품이 차지하는 비율을 다른 나라의 수준과 비교하면 낮은 편이지만, 국민소득의 향상과 함께 여가선용, 레저 붐과 시간을 절약하면서 간편한 조리를 원하는 주부의 의식 변화로 인해 가공식품의 소비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Hong S 2011; Kim H 2014).
가장 대표적인 가공조미료는? 음식의 맛을 내기 위해 식품첨가제로써 오래 전부터 국민의 사랑을 받아 와 우리의 입맛에 익숙해진 ‘미원’은 가장 대표적인 가공조미료이다. 과거 농어촌 지역에서 집에서 직접 장을 숙성하여 천연조미료나 천연 첨가물을 요리에 사용하였으나, 경제개발과 더불어 도시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집에서 장을 담그는 일이 쉽지가 않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aker DA (1991). Managing Brand Equity. The Free Press, New York. 

  2. Alfred A. (1969). The Science of Living. ed. by Ansbacher HL, Anchor Book, NY. 

  3. Baek BS, Lee YH (2006). Consumer&'s awareness and policies directions on food additives. Consumer Studies 17(3). 133-150. 

  4. Ban JW (2008). A study on eating-out behavior by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female consumers in Seoul. Korea Food Culture 23(3):377-387. 

  5. Baron RM, Kenny D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1173-1182. 

  6. Che SI (1992). Life style analysis of Korean green consumer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1): 46-63. 

  7. Choi JS, Jeon HG, Hwang DY, Nam HJ (2005).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4:66-74. 

  8. Hong SG (2011). A Study on Processed Food Purchase Behaviors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Dietary Lifestyles of Urban Housewives - Focusing on Moderating Variables of Processed Food Preference and Perception-. Doctoral Thesis, Kyonggi University. 

  9. Engel JF, Roger DB, David TK (1978). Consumer Behavior. 3rd ed.. Hinsdale Illinois. The Dryden press. 

  10. Flynn L, Ronald E, Goldsmith (1999). A short, reliable measure of subjective knowledge. Journal of Business 46:57-66. 

  11. Gil GY (2013). Analysis of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MSG according to the Pursuit of Well-being in Diet. M.A. Thesis, Sookmyung Womens's University. 

  12. Grunert KG, Brunso K, Bisp (1993). A food-related lifestyle: Development of a cross culturally valid instrument for surveillance. MAPP Working Paper. 

  13. Jeong HY, Jeong, NH (2009). Recognition of food additiv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1-17. 

  14. Kesic T, Piri-Rajh S (2003). Market segmentation on the basic of food-related lifestyle of croatian families. British Food Journal 105(3):162-174. 

  15. Kim CS, Kim KW (2000). Scale development for measurement of consumer's subjective knowledge. Journal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onsumer.Advertisement 1(2):89-119. 

  16. Kim, HW (2014).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seasoning market. Foundation of Agri. Tech. Commercialization & Transfer. 

  17. Kim KH (2010). Effect of a food-related lifestyle on the consum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s, and intention to revisit. Journal of Korean Contents Study 10(8):370-380. 

  18. Kim YG, Kim YJ, Cho HS (2013). The effects of allowable range of the MSG and awareness of the usage on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odservice Management Study 16:241- 259. 

  19. Lavy SJ (1963). Symbolism and Life Style in Toward Scientific Marketing. ed.. Stephen A. Greyser. AMA. 140-150. 

  20. Lazer W (1963). Life Style Concept and Marketing in Toward Scientific Marketing. ed.. Stephen A. Greyser. AMA. 130-139. 

  21. Lee BS (2012). A study on how the well-bing awareness of the women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area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effects their dining-out behavioral intentions: With a control variable of healthy food choice attitude. 

  22. Lee HW (2010). An Analysis on Rice Processed Food Consumption Attitudes Depending on Dietary Lifestyle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3. Lee HY (2008). Understandings and Recognition about Consumption of Processed Foods and Food Additives by Housewives in Busan Area.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 Doctoral Thesis, Kyungsung University. 

  24. Lee MS (1992). Systematic review and expand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lifestyle. Journal of Korean Maketing 7(1):34-52. 

  25. Lim YM, Yoon HY (2006). A study on the foodrelated life style to wine selection attribution. Tourism Research Journal 20(3):289-230. 

  26. Moor DG (1963). Life Style in Mobile Suburbia. in Toward Scientific Marketing. ed.. Stephen A. Greyser. AMA. pp.151-163. 

  27. Noh JG (1989). Safety assessment of food additives. Food Science and Mountains 22(3):47- 57. 

  28. O'Sullivan C, Scholdere J, Cowan C (2005). Measurement equivalence of the food-related lifestyle Instrument(FRL) in Ireland and Great Britain.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6:1-12. 

  29. Park JH (2011). Dining-out Motivation and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by Silver Generation's Lifestyles. Ph. D.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30. Park MA (2010). A study on Utilization Status of Processed Food and Recognition of Food Additiv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Ph. D. Thesis, Ulsan University. 

  31. Pieniak Z, Aertsens J, Verbeke W (2010). Subjective and objective knowledge as determinants f organic vegetables consumption. Food Quality and Preference 21:581-588. 

  32. Seo SH, Kim JS, Keum YY (2005). Consumer Behavior. ParkYoungsa. 

  33. Seo WS, Baek JA (2006).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lifestyle concepts of customer's purchase attitude: Tourism Leisure Study 18(1): 161-178. 

  34. Seung HS (2005). A Study on Using Behavior of Bakery by Dietary Lifestyl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35. Yoo BH, Hwang JH (2013). Segmentation of wine customers by wine selection attributes, identification of group differences in purchasing and consumption behavior. Tourism & Leisure Research 25(3):309-330. 

  36. Yoon YY, Kim GJ (2013). A qualitative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s of food safety risk facto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15-31. 

  37. Yoon YY (2014). Consumer knowledge, perceived risks, and risk acceptance on 10 hazardous food factors. Ph. D. Thesis, Catholic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