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녹색성장 정책의 변화: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Policy Network Analysis of Green Growth Policy in Korea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8 no.3, 2015년, pp.516 - 538  

손주연 (과총부설 정책연구소) ,  이장재 (과총부설 정책연구소) ,  김시정 (과총부설 정책연구소)

초록

본 논문은 녹색성장 정책의 도입과 집행과정에서 주요 행위자와 이들의 관계를 정책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책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전략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녹색성장 정책은 대통령과 직속 기관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추진되었으며, 단시간 내에 관련 법 제도 정비가 이루어지고 관련 조직이 설립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주요 행위자로서 대통령과 직속기관을 중심으로 역할이 수행되고 영향력이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녹색성장'이라는 정책문제에 대한 대통령의 관심과 인식변화로 녹색성장은 국정 최우선 과제로 설정되었으며, 정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자원의 재분배와 전략 수립, 관련 규범과 규칙 등에서의 변화를 수반했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법과 정책, 규제와 정부조직이 나타났으며, 이명박 정부에서 녹색성장은 매우 적극적이고 원활하게 수행되었다. 그러나 민간과 하위 정책행위자의 참여가 부족한 상황에서 상위 정책행위자 중심의 정부 주도로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정책의 지속성이 약하다는 한계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결국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후, 대통령의 관심과 우선순위가 변경됨에 따라 녹색성장 정책은 주된 추동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pplies policy network theory to examine the main policy actors and their relations in the green growth policy making process. Also the development of and changes in South Korean government's green growth strategy are analyz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esident and the presiden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대와 국제적인 흐름을 고려한다면 녹색성장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개념이 아니라, 앞으로도 정부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준비하고 대응해야할 정책문제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국내에서 발생한 녹색성장 정책의 ‘변화’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녹색성장 정책의 도입과 집행에 영향을 준 행위자와 이들의 관계 등을 분석하기 위해 정책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정책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전략적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호의존성, 영향력과 네트워크 구조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분석요소를 통해 기존에 연구된
    정책네트워크 유형을 고찰해 보고 정책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가설 설정

  • p>I. 문제 제기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시대에 녹색성장(Green Growth)에 관한 논의를 다시 제기하는 것은 다소 의외일지도 모른다
    . 지난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했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은 이미 쇠퇴한 듯하고 새로운 논의나 진척도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강상인.오일찬.박정현 (2013), Rio+20 정상회의 후속조치 및 이행방안 마련, 환경부. 

  2. 강성진 (2010), "녹색성장과 한국경제", 한국경제연구, 28(1): 153-177. 

  3. 기상청 (2011),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 

  4. 김성태.조경엽.이상돈.임병인 (2011), "녹색성장전략 달성을 위한 산업별 R&D 투자의 경제적 성과분석", 한국경제연구, 29(2): 5-50. 

  5. 김정식 (2012), "한국의 녹색성장전략 변화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5(3): 2403-2420. 

  6. 김헌.정예슬 (2012), "초고속정보통신망 사업과 방송통신융합 사업의 정책네트워크 비교", 방송통신연구, 2012년 봄호: 74-108. 

  7. 문우진 (2013), "한국 대통령 권한과 행정부 의제설정 및 입법결과", 한국정치학회보, 47(1): 75-101. 

  8. 박진희 (2009), "MB 정부의 녹색 기술개발 정책 평가: 지속가능 기술 정책의 관점에서", ECO, 13(2): 99-138. 

  9. 박해육.고경훈 (2007), 지방자치단체 정책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임실군 치즈벨리 지역혁신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0. 변종립 (2010), "기후변화대응정책의 정책네트워크 연구 : 탄소배출권거래제 도입결정 과정을 중심으로", 에너지경제연구, 9(1): 151-180. 

  11. 윤순진.원길연 (2012), "녹색성장에 기초한 이명박 정부 기후변화정책레짐에 대한 사회적 수용과 평가: 전문가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16(2): 7-50. 

  12. 이성진.고일원.정석호 (2012), 녹색기술 개념과 정책 발전 방향, KISTEP Issue Paper 2013-09. 

  13. 이연호 (2011), "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녹색성장론의 정치경제적 등장원인과 이론적 문제", 국제정치논총, 51(4): 35-60. 

  14. 이장재 (2012), "국가융합기술개발정책 분석결과", 윤수재 외 편저, 정책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책결정 네트워크 개선방안, 법문사. 

  15. 이정진 (2013), "정책결정에 미치는 대통령의 영향력 분석: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6(2): 95-126. 

  16. 전재경 (2009), "지속가능발전과 녹색성장", 서강법학, 11(2): 25-43. 

  17. 정지원.박수경 (2012), "Rid+20의 주요 결과와 정책적 시사점", KIEP 오늘의 세계경제, 12(13). 

  18. 최해옥 (2012), "중국의 저탄소정책 형성과정을 둘러싼 행위자간 정책네트워크 분석", 도시행정학보, 25(4): 209-230. 

  19. 최화식.남창우 (2012), "기후변화 및 녹색성장의 효율적 대응체계 구축방안", 도시행정학보, 25(3): 205-223. 

  20. 황동현.서순탁 (2011), "정책네트워크 관점에서 본 동남권 신공항 개발사업의 정책과정 분석", 도시행정학보, 24(4): 55-84. 

  21. Andrews, K. T. (2001), "Social Movements and Policy Implementation: The Mississippi Civil Rights Movement and the War on Poverty, 1965 to 1971",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6(1): 71-95. 

  22. Ansel, C. (2006), "Chapter 5. Network Institutionalism", In Rhodes, R. A. W., Binder, S. A. and Rockman, B. A. (eds.), The Oxford Handbook of Political Institu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3. Atkinson, M. M. and Coleman, W. (1992), "Policy Networks, Policy Communities and the Problems of Governance", Governance, 5(2): 154-180. 

  24. Compston, H. (2008), "Political Strategies for Tackling Climate Change: A Policy Network Perspective", ECPR Joint Sessions, Rennes, 11-16 April 2008. 

  25. Dowding, K. (1995), "Model or Metaphor? A Critical Review of the Policy Network Approach", Political Studies, 46: 136-158. 

  26. Dowding, K. (2001), "There Must Be End to Confusion: Policy Networks, Intellectual Fatigue, and the Need for Political Science Methods Courses in British Universities", Political Studies, 43: 89-105. 

  27. Friedman, T. L. (2008), Code Green, 뜨겁고 평평하고 붐비는 세계, 최종임.이영민 옮김, 서울: 21세기 북스. 

  28. Leaders, G. G. (2011), Shaping the Green Growth Economy: A Review of the Public Debate and the Prospects for Green Growth. 

  29. Marsh, D. and Smith, M. J. (2001), "There is More than One Way to Do Political Science : On Different Ways to Study Policy Networks", Political Science, 49: 528-541. 

  30. May, P. J. and Winter, S. C. (2009), "Politicians, Managers, and Street-Level Bureaucrats:Influences on Policy Implementation", JPART, 19: 453-476. 

  31. McKinsey and Company (2011), "한국 녹색성장의 성과 및 과제", http://www.gtnet.go.kr/index.jsp. 

  32. OECD (2008), Sustainable Development: Linking Eeconomy, Society, Environment, OECD Insights. 

  33. OECD (2010), Interim Report of the Green Growth Strategy: Implementing our Commitment for a Sustainable Future, Meeting of the OECD Council at Ministerial Level, 27-28 May 2010. 

  34. OECD (2011), Towards Green Growth. A Summary for Policy Makers, OECD. 

  35. Pappi, F. U. and Henning, C. H. C. A. (1998), "Policy Networks: More than a Metaphor?", Journal of Theoretical Politics, 10(4): 553-575. 

  36. Rhodes, R. A. W. and Marsh, D. (1992), "New Directions in the Study of Policy Networks",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21: 181-205. 

  37. Rhodes, R. A. W. (2006), "Chapter 20. Policy Network Analysis", In Mora, M., Rein, M. and Goodin, R. E. (eds.), The Oxford Handbooks of Political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38. Shyu, C-W. (2014), "Development of Taiwanese Government's Climate Policy after the Kyoto Protocol: Applying Policy Network Theory as an Analytical Framework", Energy Policy, 69: 334-346. 

  39. Thatcher, M. (1998), "The Development of Policy Network Analyses: From Modest Origins to Overarching Frameworks", Journal of Theoretical Politics, 10: 389-416. 

  40. UNESCAP (2006), Green Growth at a Glance: The Way Forward for Asia and the Pacific, UNESCAP. 

  41. Waarden, F. V. (1992), "Dimensions and Types of Policy Networks"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21: 29-5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