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고창군 하전 갯벌의 미세조류 및 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microalgal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of the Hajeonri tidal flat, Gochang,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5, 2015년, pp.743 - 752  

정상옥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조윤식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최윤석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정희도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송재희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한형균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4년 2월부터 11월까지 전북 고창의 하전 해수와 갯벌 표면의 식물플랑크톤과 저서규조 및 그 서식환경의 시공간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해수에서는 2월부터 10월까지 매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조성과 개체수 및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는데,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lpha}$ 농도와 개체수는 2월에 가장 높았고 규조가 우점군이었으며 총 113종이 출현하였다. 저서규조 및 그 서식환경인 표층퇴적물에 관한 연구는 하전리 측선에서 간조 시에 계절별(2, 5, 8, 11월)로 각 9개의 정점에서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주로 사질실트와 사질니로 이루어졌으며, 유기물 오염도는 낮게 나타났다. 저서미세조류 생물량(엽록소 ${\alpha}$)은 봄과 여름에 높게 나타났다. 저서규조는 총 163종이 출현했으며 Navicula sp.1과 Paralia sulcata 두 종이 우점하였다. 해수와 저서 표층에서 동일시기에 출현한 종은 5종으로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spatio-temporal microalgal (phytoplankton and benthic diatom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Hajeonri intertidal zone from February to November 2014. Seawater and phytoplankton analysis were conducted all through the months.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phytoplankto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해안 중남부에 위치한 반 폐쇄적인 곰소만 조간대의 저서규조 군집 및 표층 퇴적환경의 시공간적 변동과 조간대 하부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환경 요인 변화를 살펴 곰소만 미세조류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갯벌에 서식하는 미세조류의 구분은? 갯벌에 서식하는 미세조류는 바닷물 속의 식물플랑크톤과 표층퇴적물에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미세조류는 해수와 갯벌 표면에서 광합성을 하는 1차생산자로서 기능을 하며 그 과정에서 영양염 순환과 이산화탄소 고정, 산소 형성 및 퇴적물 안정화(Lee, 1989; De Jonge and van Beusekom, 1995; Underwood and Kromkamp, 1999)에 기여한다.
미세조류의 생체량에 변동을 주는 요인은? 미세조류는 해수와 갯벌 표면에서 광합성을 하는 1차생산자로서 기능을 하며 그 과정에서 영양염 순환과 이산화탄소 고정, 산소 형성 및 퇴적물 안정화(Lee, 1989; De Jonge and van Beusekom, 1995; Underwood and Kromkamp, 1999)에 기여한다. 또한 이들의 시공간적인 군집 종조성 및 현존량 또는 생체량은 초식자와 같은 먹이피라미드의 상위 영양자나 영양염, 온도, 빛 등의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변동을 겪는다(Montani et al, 2003). 특히 저서미세조류는 표층퇴적물의 입도 등에 따라 다양한 변동 양상을 보여준다(Du et al, 2010; Jesus et al, 2010).
미세조류의 역할은? 갯벌에 서식하는 미세조류는 바닷물 속의 식물플랑크톤과 표층퇴적물에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미세조류는 해수와 갯벌 표면에서 광합성을 하는 1차생산자로서 기능을 하며 그 과정에서 영양염 순환과 이산화탄소 고정, 산소 형성 및 퇴적물 안정화(Lee, 1989; De Jonge and van Beusekom, 1995; Underwood and Kromkamp, 1999)에 기여한다. 또한 이들의 시공간적인 군집 종조성 및 현존량 또는 생체량은 초식자와 같은 먹이피라미드의 상위 영양자나 영양염, 온도, 빛 등의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변동을 겪는다(Montani et al,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ang, J.H. and J.Y. Choi (1998) Seasonal accumulation 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The Sea J. Kor. Soc. Oceanogr. 3(3): 149-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ihara, M. and M. Murano (1997) Marine plankton in Japan. Tokai Univ. Press, Tokyo. 1574pp. 

  3. Choi, Y.S. Park, K.J. Yoon, S.P. Chung, S.O. An, K.H. and J.H. Song (2013)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marine shellfish farm in Namhae-po tidal flat of Taean. Koran J. Malacol.. 29(1): 51-63. 

  4. Choi, Y.S. Song, J.H. Yoon, S.P. Chung, S.O. An, K.H. and K.J. Park (2014)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n the culture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ium) at Hwangdo and Jeongsanpo of Taean in West coast of Korea. Koran J. Malacol.. 30(2): 117-126. 

  5. Colijin, F. and K.S. Dijkema (1981)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diatoms and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 on an intertidal flat in the Dutch Wadden Sea. Mar. Ecol. Prog. Ser. 4: 9-21. 

  6. Cupp, E.E. (1943) Marine plankton diatoms of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Univ. California Press, Berleley and Los Angeles, 237pp. 

  7. De Jonge, V.N. and J.E.E. van Beusekom (1995) Wind-and tide-induced respensions of sediment and microphytobenthos from tidal flats in the Ems estuary. Limnol. Oceanogr. 40(4): 766-778. 

  8.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Hobbs the printers of Southhampton, London, U.K., 303pp. 

  9. Du, G.Y. Son, M. An, S. and I.K. Chung (2010) Temporal variation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microphytobenthos in intertidal flat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86: 62-70. 

  10. Falasco, E. Bona, F. Ginepro, M. Hlubikova, D. Hoffmann, L. and L. Ector (2009) Morphological abnormalities of diatom silica walls in relation to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artificial growth conditions. Water SA. 35: 595-606. 

  11.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 Hemphill Publishing Co., Austin, TX, U.S.A., 170pp. 

  12.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n of grain size parameters. J.Sed.Petol. 27: 3-26. 

  13. Helling, G.R. and M.A. Baars (1985) Changes of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 and phaeopigment in grazing experiments. Hydrobio. Bull. 19: 41-48. 

  14. Jeong, Y.H. Kim, Y.T. Kim, K.H. Kim, S.Y. Kim, B.H. and J.S. Yang (2006) Mass balance of salts, DIP, DIN and DON in the Gomso tidal flat. The Sea J. Kor. Soc. Oceanogr. 11(2): 69-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Jesus, B. Brotas, V. Ribeiro, L. Mendes, C.R. Cartaxana, P. and D.M. Paterson (2009) Adaptations of microphytobenthos to sediment type and tidal position. Continental Shelf Research 29: 1624-1634. 

  16. Jin, D.X. Chen, Z.D. Li, J.M. Junmin, L. and S.C. Li (1985) The Marine Benthic Diatoms in China. Vol 1. China Ocean Press, Beijing, China, 314pp. 

  17. Jung, R.H., Hwang, J.D. Kim, Y.G. Koh, B.S Song, J.H. and H.G. Choi (2010) Temporal variations in the sedimentation rate and benthic environment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around Bteonsan peninsula.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6): 723-7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ang, C.K. Kim, J.B. Lee, K.S. Kim, J.B. Lee, P.Y. and J.S. Hong (2003) Trophic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to macrozoobenthos in coastal bay systems in Korea: dual stable C and N isotope analyses. Mar. Ecol. Prog. Ser. 259: 79-92. 

  19. Lee, R.E. (1989) Phycology (2nd ed.).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645pp. 

  20. Lee, Y.W. Park, M.O. Yoon, J.K. and S.B. Huh (2012)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microalgal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in seawater and surface sediment of the Gomso bay as determined by chemotaxonomic analysis. The Sea J. Kor. Soc. Oceanogr. 17(2): 87-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orenzen, C.J. (1967)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phaeopigments: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Limnol. Oceanog. 12: 343-346. 

  22. Lucas, C. (2003) Observations of resuspended diatoms in the turbid tidal edge. J. of Sea Research 50: 301-308.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ject (II), Korea, 1855pp. (in Korean) 

  24. Montagna, P.A. Blanchard, G.F. and A. Dinet (1995) Effect of production and biomass of intertidal microphytobenthos on meiofaunal grazing rates. J. Exp. Mar. Biol. 185: 149-165. 

  25. Montani, S. Magni, P. and N. Abe (2003) Seasonal and interannual patterns of intertidal microphytobenthos in combination with laboratory and areal production estimates. Mar. Ecol. Prog. Ser. 249: 79-91. 

  26. Oh, J.K., Do, J.D. and Y.G. Jo (2006) Sedimentary characteristics in the tidal flat of Janghwa-ri, Kanghwa island, eastern yellow sea. J. Kor. Eart. Sci. Soc. 27(3): 328-3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Oh, S.J. Moon, C.H. and M.O. Park (2004) HPLC analysis of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microphytobenthos in The Seamankeum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37(3): 215-2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Park, J.S., Khim, J.S., Ohtsuka, T. Araki, H. Witkowski, A. C.H. Koh (2012) Diatom assemblage on Nanaura mudflat, Ariake Sea, Japan: with reference to the biogeography of marine benthic diatoms in Northeast Asia Botanical Studies 53: 105-124. 

  29. Park, J.S. (2005) Taxonomic study of benthic diatoms in Nanaura mudflat, Ariake Sea, Japan. M.S. Dissertation, Seoul Nat. Univ., Seoul, Korea, 195pp. 

  30. Park, S.K., Kim, B.Y. Choi, H.G. Oh, J.S. Chung, S.O. An, K.H. and K.J. Park (2013)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microphytobenthos at Jinsanri, Teaan. Korea. J. Kor. Fish. Soc. 46(2): 176-1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Pitcher, G.C. and L.B. Joyce (2009) Dinoflagellate cyst production on the southern Namaqua shelf of the Benguela upwelling system. J. Plankton Res. 31: 865-875. 

  32.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lankton. Academic Press, San Diego, 858pp. 

  33. Underwood, G.J.C. (1994)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in epipelic diatom assemblages in the severn estuary. Diatom Res. 9: 451-472. 

  34. Underwood, G.J.C. and J. Kromkamp (1999)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and microphytobenthos in estuaries. Adv. Ecol. Res. 29: 93-153. 

  35. Woelfel, J. Schumann, R. Adler, S. Hubener, T. and U. Karsten (2007) Diatoms inhabiting a wind flat of the Baltic Sea: species diversity and seasonal succession. Estuar. Coast. Shelf Sci. 75: 296-307. 

  36. Yoo, M.H. and J.K. Choi (2005) Seasonal distribution and primary production of microphytobenthos on an intertidal mud flat of the Jandhwa in Ganghwa island, Korea. The Sea J. Kor. Soc. Oceanogr. 10(1): 8-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www.algaebase.org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