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ED 광원에 따른 미세조류 Scenedesmus obliquus의 성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Microalgae Scenedesmus obliquus by LED Light Sour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1, 2020년, pp.70 - 77  

유용진 (선문대학교 나노과학과) ,  김송이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  이건우 (선문대학교 나노과학과) ,  이영복 (선문대학교 나노과학과) ,  김진우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  김호섭 (선문대학교 나노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수행하는 독립영양생물로 배양 환경을 변화시켜 미세조류 유래 유용물질의 축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S. obliquus의 세포 성장에 주요 인자인 배지와 광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MBBM, Neo 배지와 7가지의 광원을 사용하여 39일 동안 배양하여 세포 성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MBBM과 Neo 배지에서 성장한 S. obliquus의 경우, Fluorescent light 광원과 Red2 LED (R660) 광원에서 세포 성장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고, Infra Red LED (R741) 광원에서는 세포 성장이 가장 낮게 관찰되었다. 평균 세포 성장률은 MBBM 배지에서 17.7 %, Neo 배지에서 15.4 %의 성장률을 확인하였다. MBBM과 수생식물 생산용 영양소를 포함한 Neo 배지의 건조세포무게(dry cell weight)를 비교하였을 때, Blue LED (B450)를 제외한 LED 광원에서 Neo보다 많은 세포 성장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MBBM 배지가 Neo 배지보다 미세조류 세포량 증대에 보다 적합함이 증명되어 향후 미세조류 대량배양을 통한 유용물질 생산에 있어 광원 선정이 중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algae are independent organisms that perform photosynthesis and can alter the culture environment to increase accumulation of useful substances derived from microalgae. In this study, cell growth was measured by incubation for 39 days using MBBM, Neo medium, and seven light sources, which is th...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LED의 광량은 광양자 밀도 측정계 (LI-1500 Light sensor logger, LI-COR, USA)를 이용하여 150 µmol/m2·s로 동일 조건으로 조절하였으며, 광주기는 12시간 명조건과 12시간 암조건으로,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빛 차단막을 설치하였다.
  • S. obliquus가 MBBM 배양 배지에서 39일 동안 파장이 다른 7가지의 LED 광원에서 성장하는 동안 흡광도값을 측정하였다. 39일 배양동안 최대 성장을 보인 F.
  • 배양된 미세조류는 원심분리 후 24시간 건조 시킨 후 dry cell weight을 3번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Table 2.는 S. obliquus의 MBBM, Neo 배지에서 성장한 미세조류의 O.D.값과 dry cell weight을 mg/L 단위로 측정해 비교하였다.
  • obliquus는 –60 ℃로 1차 냉각하고 동결건조기(FDU-1200, Eyela, Japan)에서 –57 ℃로 약 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샘플을 Au 코팅한 후 EPMA (JEOL JXA-8200 EPMA)에서 가속전압 10 kV, 배율 3,000배에서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미세조류 S.
  • 미세조류 S. obliquus가 Neo 배양 배지에서 39일 동안 7가지의 광원에서 성장하는 동안 흡광도값을 측정하였다. MBBM의 배지보다 전체적으로 낮은 흡광도값이 관찰되었으며, 39일 배양 동안 최대 성장을 보인 Red2 LED (R660) 광원에서 성장한 미세조류의 흡광도값은 0.
  • 배양액은 50 ml 튜브 (Falcon Centrifuge Tube, Wisd, Germany)를 이용하여 배양부피 30 mL로 진행하였다. 미세조류의 성장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UV/Vis 분광광도기(Optizen 2120 UV, Mecacy Ltd, Korea) 를 이용하여 680 nm에서 흡광도 (O.D.)를 측정하여 세포의 성장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였다. 흡광도값 측정 전 배양한 미세조류의 팔콘 튜브를 회전교반기 (VM-10, Daihan Scientific Co.
  • 배양된 미세조류는 원심분리 후 24시간 건조 시킨 후 dry cell weight을 3번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Table 2.
  • 본 연구에서는 7가지의 LED 광원을 이용하여 해양 미세조류인 S. obliquus의 성장을 2종류의 배지에 적용하여 세포 성장을 관찰하였다. 7가지 광원은 white LED (W12), Red+Blue, Red와 Blue 혼합 (RB12), Blue LED (B450), Red1 LED (R640), Red2 LED (R660), Infra Red LED (R741), 형광등 (F.
  • obliquus는 약 150 µmol/m2·s에서 최대 성장률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12]. 본 연구에서는 광원에 따른 미세조류 성장을 비교하기 위해 각기 다른 파장의 광원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광원의 종류와 특성을 Table 1.에 정리하였다.
  • obliquus를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분양받은 미세조류는 MBBM 배지를 이용하여 25 ℃ 항 온배양기에서 형광등을 12시간 명조건과 12시간 암조건으로 조사하여 15일 단위로 계대배양하였다. 이전의 논문에서와 같이 주사 전자 현미경(SEM) 관찰을 위해서, 배양된 S.
  • L)이며, 미세조류의 배양 배지는 Modified Bold’s Basal Medium (MBBM) 와 수중식물 배양을 위한 상업용 배지인 Neo 배지를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배양에 필수 요소인 광원과 배지 조성에 따른 S. obliquus의 성장을 흡광도 (optical density, O.D.)측정과 건조세포무게 (dry cell weight)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LED 광원을 이용한 S.
  • 미세조류 배양 후 건조세포무게 (dry cell weight)를 측정하기 위하여 원심분리기 (SIB-05RH, 정 바이오텍, Korea)로 8000 RPM으로 10분간 세포를 상등액과 분리하고[15] 증류수 5 ml를 분주하여 회전 교반기로 균일하게 혼합 후 칭량 접시에 담아 드라이 오븐에서 60℃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이후 분석용 전자저울 (WBA-220, Wisd, Germany)을 이용하여 건조세포무게를 측정하였으며, MBBM 및 Neo 배지 사용에 따른 세포량을 비교하였다.
  • )를 측정하여 세포의 성장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였다. 흡광도값 측정 전 배양한 미세조류의 팔콘 튜브를 회전교반기 (VM-10, Daihan Scientific Co., Ltd, Korea)로 균일한 세포 상태로 혼합하여 흡광도값을 주 2회 측정하였으며, 측정은 각 광원에 따라 3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세포의 성장을 비교하였다. 미세조류 배양 후 건조세포무게 (dry cell weight)를 측정하기 위하여 원심분리기 (SIB-05RH, 정 바이오텍, Korea)로 8000 RPM으로 10분간 세포를 상등액과 분리하고[15] 증류수 5 ml를 분주하여 회전 교반기로 균일하게 혼합 후 칭량 접시에 담아 드라이 오븐에서 60℃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대상 데이터

  • 7가지 광원은 white LED (W12), Red+Blue, Red와 Blue 혼합 (RB12), Blue LED (B450), Red1 LED (R640), Red2 LED (R660), Infra Red LED (R741), 형광등 (F.L)이며, 미세조류의 배양 배지는 Modified Bold’s Basal Medium (MBBM) 와 수중식물 배양을 위한 상업용 배지인 Neo 배지를 이용하였다.
  • 7가지 광원을 동일 조건 150 µmol/m2·s로 조정하고 배양에 사용하였다.
  • 미세조류의 배양을 위하여 Modified Bold’s Basal Medium (MBBM)와 Neo 배지를 사용하였다.
  • 미세조류인 S. obliquus를 2종류의 배지(MBBM, Neo)와 파장이 다른 7가지의 LED 광원에서 총 28개의 S. obliquus를 39일 동안 배양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MBBM 배지에서 성장한 S.
  • 본 연구에서 배양한 해양시료도서관 (JeJusi, Korea) 로부터 미세조류는 S. obliquus를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분양받은 미세조류는 MBBM 배지를 이용하여 25 ℃ 항 온배양기에서 형광등을 12시간 명조건과 12시간 암조건으로 조사하여 15일 단위로 계대배양하였다.
  • 건조된 샘플을 Au 코팅한 후 EPMA (JEOL JXA-8200 EPMA)에서 가속전압 10 kV, 배율 3,000배에서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미세조류 S. obliquus의 대한 SEM 이미지로 가속전압 10 kV, 배율 3,000배에서 관찰하여 Fig. 1에 나타내었다[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P. Kaewkannetra, P. Enmak, and T. Chiu, "The effect of CO2 and salinity on the cultivation of Scenedesmus obliquus for biodiesel production,"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 17, No. 3, pp. 591-597, Jun. 2012. DOI: http://dx.doi.org/10.1007/s12257-011-0533-5 

  2. Y. J. Bae, "The Diverse Use of Microalgae and its Potential Contribution to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Afric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African Studies, 2017, Vol. 52, No. 1, pp. 49-86(38 pages) 

  3. Abomohra, A. E. F, W. Jin, R. Tu, S. F. Han, Eid, M, Eladel, H, "Microalgal biomass production as a sustainable feedstock forbiodiesel: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Renewable and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64, pp. 596-606, Oct. 2016 DOI: https://doi.org/10.1016/j.rser.2016.06.056 

  4. X. Li, H. Y. Hu, J. Yang "Lipid accumulation and nutrient removal properties of a newly isolated freshwater microalga, Scenedesmus sp. LX1, growing in secondary effluent", New Biotechnology, Vol. 27, Issue 1, pp. 59-63, Feb. 2010 DOI: https://doi.org/10.1016/j.nbt.2009.11.006 

  5. L. L, Mathieu & J. Xue, "Microalgae (Scenedesmus obliquus) dewatering using forward osmosis membrane: Influence of draw solution chemistry" Algal Research. Vol. 15. pp.1-8, Apr 2016 DOI: https://dx.doi.org/10.1016/j.algal.2016.01.014 

  6. Mata T. M, Martins A. A, Caetano N. S, "Microalgae for biodiesel production and other applications: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4, No. 1, pp.217-232 2010 

  7. D. G. Kim, Y. E. Choi, "Microalgae Cultivation Using LED Light",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Vol. 52, No. 1, pp. 8-16, Feb. 2014. DOI: https://doi.org/10.9713/KCER.2014.52.1.8 

  8. Sforza E ,Urbani S ,Bertucco A . "Evaluation of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s in the cultivation of Scenedesmus obliquus: effect of light intensity and regime"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Vol. 27 No. 4 pp. 1453-1462, 2015 DOI: https://doi.org/10.1007/s10811-014-0460-x 

  9. G. W. Bang, Y. H. Kim "LED for plant growth regulators for the study of Light on the div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7, pp.267-272 Jan 2012 

  10. S. J. Oh, H. K. Kwon, J. Y. Joon, H. S. Yang "Effect of Monochromatic Light Emitting Diode on the Growth of Four Microalgae Species (Chlorella vulgaris, Nitzschia sp., Phaeodactylum tricornutum, Skeletonema s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 21, No. 1, pp.1-8, Feb 2015 DOI: http://dx.doi.org/10.7837/kosomes.2015.21.1.001 

  11. Y. J. Yoo, G. W. Lee, D. H. Baek, J. W. Kim, Ho S. Kim, "Growth Evaluation of Scenedesmus Obliquus Microalgae Using Raman Spectroscop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1, No. 5, pp. 223-229, May 2020 DOI: https://doi.org/10.5762/KAIS.2020.21.5.223 

  12. S. Eleonora, G. Barbara, D. F. S. Carlos, B. Alberto, "Effects of Light on Cultivation of Scenedesmus Obliquus in Batch and Continuous Flat Plate Photobioreactor", Chemical Engineering Transactions, Vol. 38, pp. 211-216, 2014 DOI: https://www.doi.org/10.3303/CET1438036 

  13. S. J. Joo, H. J. Hwang, S. Zhang, S. J. Hwang, "Effects of light condition in the continuous mass cultivation of microalgae scenedesmus dimorphus",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 Vol. 29, No. 3, pp. 319-323, Jun 2015. DOI: https://doi.org/10.11001/jksww.2015.29.3.319 

  14. S. J. Joo, S. Zhang, K. J. Choi, S. M. Lee, S. J. Hwang, "Effects of sodium bicarbonate as an inorganic carbon source on the growth of scenedesmus dimorphus."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stewater, Vol. 28, No. 5, pp.555-560, Oct 2014 DOI: http://dx.doi.org/10.11001/jksww.2014.28.5.555 

  15. S. Y. Kim, S. J. Jung, H. S. Kim, D. H. Gam, and J. W. Kim,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astaxanthin from haematococcus pluvialis",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Vol. 34, No. 4, pp.346-351 Dec 2019 DOI: http://dx.doi.org/10.7841/ksbbj.2019.34.4.3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