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자동차 기술의 개발 동향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v.42 no.9 = no.376, 2015년, pp.38 - 48  

유동주 (아주자동차대학)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전기자동차 에너지 공급원은 차량제어부와 같이 가속과 제동 패달이 눌려질 때 전력전자변환부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회생제동 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내에 탑재된 On-Board 충전기와 급속충전기를 통하여 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한다. <그림 6>은 에너지관리시스템(Energy ManagementSystem, EMS) 역할을 나타낸 것이다.
  • 직렬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와 비교했을 때 발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경우에 엔진과 변속기사이에 전기모터가 있어서 토크가 작아도 되지만 제어전략에 있어서는 직렬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보다는 복잡하다. 제어변수로는 차량속도, 엔진속도, 쓰로틀 위치 그리고 에너지공급원의 충전상태 등을 이용하여 가속와 제동 동작모드를 수행한다.병렬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내장된 에너지공급원 전력량은보통 2[kW]미만으로 주행시에 엔진 동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상 데이터

  • <그림 1>은 일반적인 배터리 전기자동차 시스템 구조이다. 시스템은 전기모터 추진시스템, 에너지 공급원 그리고 보조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전기모터 추진시스템는 차량제어부, 전력전자변환부, 전기모터 그리고 기계적 요소인 변속기와 구동 휠로 구성된다.
  • <그림 7>은 닛산자동차의 리프(Leaf) 전기자동차를 미국서부지역에서 네이케이션 정보 및 차량 내부신호를 사용하여 운행거리, 충전소, 냉난방온도 조절 및 충전시간 등 정보를 핸드폰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례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속전기자동차는 어떤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가? 가. 1회충전 주행거리 : “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및 등급표시에 관한 규정”에 따른 도심 1회 충전주행거리는 19 km 이상 나. 최고속도 : 60 km/h 미만
전기자동차의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역할은? <그림 6>은 에너지관리시스템(Energy ManagementSystem, EMS) 역할을 나타낸 것이다. EMS는 각 센서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배터리 SoC 상태에 따라서 배터리충전 알고리즘과 주행정보 최적화하여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네이게이션 정보와 결합하여 교통상태에 따라서 이동거리를 예측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10]
환경부의 환경친화적 자동차 요견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무엇을 친환경자동차라 정의하였는가? 환경부 “환경친화적 자동차 요견 등에 관한 규정”에서 친환경자동인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HEV), 그리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Plug-In HEV,PHEV)에 대한 에너지 소비 기준으로 친환경자동차를 정의하였다. <표1>은 전기자동차 기준을 나타낸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신성장동력산업정보기술연구회, 이차전지/전기자동차의 국내외 시장현황과 비즈니스 전략, 산업경제리서치, 2부 전기자동차, 2012 

  2. 환경부고시, 제2014-235호, 자동차 평균에너지소비효율기준. 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 및 기준의 적용.관리 등에 관한 고시, 12월, 2014. 

  3. 산업통산자원부고시 제2015-111호,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요건 등에 관한 규정, 6월, 2015. 

  4. 환경부보도자료, 친환경자동차 구매 지원 대폭 확대, 2월, 2015. 

  5. Iqbal Husain "Electric Hybrid Vehicles Design Fundamentals", CRC Press, pp. 1-26, 2011 

  6. James Larminie and John Lowry, "Electric Vehicle Technology Explained", Wiley, pp. 1-21, 2003 

  7. Mehrdad Ehsani and Yimin Gao and Ali Emadi, "Modern Electric Hybrid Electric and Fuel Cell Vehicles Fundamentals, Theory, and Design" CRC Press, pp. 105-122, 2010 

  8. Chan, C.C, and Wong, Y.S, "The state of the art of electric vehicles technology" IEEE Power Electronics and Motion Control Conference, 2004, IPEMC 2004. The 4th International, Vol.1, pp. 46-57, 2004 

  9. Z. Q. Zhu and David Howe "Electrical Machines and Drives for Electric, Hybrid, and Fuel Cell Vehicles", Proc. of The IEEE, Vol 95, No. 4, pp. 746-765, April, 2007 

  10. Chan, C.C, and Chau, K. T., "An Overview of Power Electroics in Electric Vehicles", IEEE Tra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44, No, 1, pp. 3-13, Feb., 1997 

  11. Juna de Santiago, and Hans Bernhoff, Boel Ekergrad, and Sandra Erisson, and Rafael Waters, and Mats Leijon, "Electrical Motor Drivelines in Commercial All-Electric Vehicles : A Review", IEEE Trans., On Vehicular Tech., Vol. 61, No. 2, pp. 475-484, Feb., 2012 

  12. 산업통산자원부보도자료 "전기차 충전은 표준으로 통한다", 5월, 2015 

  13. Muran Yilmaz, and Philip T. Krein, "Review of Battery Charger Topologies, Charging Power Levels, and Infrastructure for Plug-In Elecric and Hybrid Vehicles",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 Vol. 28, No.5, pp2151-2169, May, 2013 

  14. Masayuki Komatsu, and Toshifumi Takaka, "Development of Toyota Plug-In Hybrid System, SAE International 10.4071/2011-01-0874, 2011 

  15. Sanjaka G. Wirasingha, and Ali Emadi, "Classifiction and Review of Control Strategies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IEEE Trans. On Vehicular Tech., Vol. 60, No. 1, pp. 111-122, Jan., 2011 

  16. 안병기, "친환경 수소.연료전지차 개발 동향", 기계저널, Vol. 52, No. 2, pp34-3,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