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Living Lab as User-Driven Innovation Model: Case Analysis and Applicability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7 no.2, 2014년, pp.309 - 333  

성지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송위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박인용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로운 혁신활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혁신의 사회적 맥락과 사용자의 잠재적 니즈를 파악하여 기술과 사회를 동시에 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용자 경험 활용, 사회 기술기획 등으로 표현되는 '수요 구체화'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새로운 궤적을 형성하는 탈추격 혁신을 수행할 수 있고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빙랩(Living Lab)은 사용자가 혁신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사용자 주도형 혁신" 모델로서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의 이론적 논의와 주요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리빙랩은 특정 공간 또는 지역에서 최종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문제를 해결하는 개방형 혁신모델로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력을 증대함과 동시에 새로운 사회 기술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선구적 활동이다. 더 나아가 리빙랩은 탈추격 혁신, 수요지향적 혁신, 지역혁신,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 생태계 형성 지원, 사회 기술시스템 전환 등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혁신정책의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정책 수단으로서 우리 사회의 변화를 탐색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meet the challenge of new type of innovation activities requires us to understand the social context of innovation and the potential needs of innovation users and, based on this, to co-construct technology and society simultaneously. Effective 'demand articulation' activities such as the underst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요 구체화 활동은 무엇으로 표현되는가? 새로운 혁신활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혁신의 사회적 맥락과 사용자의 잠재적 니즈를 파악하여 기술과 사회를 동시에 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용자 경험 활용, 사회 기술기획 등으로 표현되는 '수요 구체화'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새로운 궤적을 형성하는 탈추격 혁신을 수행할 수 있고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빙랩(Living Lab)은 사용자가 혁신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사용자 주도형 혁신" 모델로서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 역시 새로운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이유? 또한 최근 중요한 정책 의제로 부상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 역시 새로운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경제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산업혁신과 달리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은 사회문제 정의에서부터 시장⋅비시장을 포함한 다양한 전달체계 형성까지 사회적⋅기술적 측면을 동시에 강조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성지은.박미영 (2012), "탈추격 지역혁신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Issue & Policy, 제64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 성지은.송위진 (2007), "총체적 혁신정책의 이론과 적용: 핀란드와 한국의 사례", 기술혁신학회지, 10(3): 555-579. 

  3. 성지은.송위진 (2010), "탈추격형 혁신과 통합적 혁신정책", 과학기술학연구, 10(2): 1-36. 

  4. 성지은.송위진.김왕동.김종선.정병걸.박미영.박인용.정연진 (2013), 저성장시대의 효과적인 기술혁신지원제도, 정책연구 13-02,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 성지은.송위진.박인용 (2013), "리빙랩의 운영체계와 사례", STEPI Insight, 제127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 송위진 (2012), "Living Lab: 사용자 주도의 개방형 혁신모델", Issue & Policy, 제59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7. 송위진.성지은 (201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 

  8. 송위진.성지은.김왕동 (2012b), 기술집약형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정책연구. 

  9. 송위진.성지은.장영배 (2011),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인문사회 융합 방안, 정책연구 11-04,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 송위진.성지은.홍성주.한재각.박진희 (2012a),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주요 이슈와 대응, 조사연구 12-0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 위정현 (2009), "사용자 혁신의 확장: 다수 유저 참여형 콘텐츠 개발 과정 분석: 온라인게임 '리니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10(5): 101-120. 

  12. 정병걸 외 (2012), 사용자 수요 구체화를 위한 IT연구기반 조성, 정보통신산업진흥원. 

  13. Alcotra (2011), Best practices Database for Living Labs. 

  14. Abowd, G. D. (1999), "Classroom 2000: An Experiment with the Instrumentation of a Living Educational Environment", IBM Systems Journal, 38(4): 508-530. 

  15. Baigier, S. M., Maragah, H. D., Saccucci, M. S., Verzilli, A. and Prybutok, V. R. (1991), "Introducing students to community operations research by using a city neighborhood as a Living Laboratory", Operations Research, 39(5): 701-709. 

  16. Birgitta, B. K., Eriksson, C. I., Stahlbrost, A. and Svensson, J. (2009), "A Milieu for Innovation - Defining Living Labs", Proceedings of the 2nd ISPIM innovation symposium : Simulating recovery - the Role of innovation management, New York City, USA 6-9 December 2009. 

  17. Dalvit, L., Sieborger, I. and Thinyane, H. (2012), "The Expansion of the Siyakhula Living Lab: A Holistic Perspective", Lecture Notes of the Institute for Computer Sciences, Social Informatics and Telecommunications Engineering, 92: 228-238. 

  18. De Moor, K., Berte, K., De Marez, L., Joseph, W., Deryckere, T. and Martens, L. (2010), "User-driven innovation? Challenges of user involvement in future technology analysis", Science and Public Policy, 37(1): 51-61. 

  19. Dutilleul, B., Birrer, F. and Mensink, W. (2010), "Unpacking European Living Labs: Analysing Innovation's Social Dimensions", Central European Journal of Public Policy, 4(1): 60-85. 

  20. Eriksson, M., Niitamo, V. P. and Kulkki, S. (2005), State-of-the-Art in Utilizing Living Labs Approach to User-centric ICT innovation - a European approach, CDT at Lulea University of Technology, Sweden, Nokia Oy, Centre for Knowledge and Innovation Research at Helsinki Scholl of Economics, Finland. 

  21. ECISM (European Commission, Information Society and Media) (2009), Living Labs for user-driven open innovation: An overview of the Living Labs methodology, activities and achievements. 

  22. ECISM (European Commission, Information Society and Media) (2010), Advancing and applying Living Lab methodologies: An update on Living Labs for user-driven open innovation in the ICT domain. 

  23. Franke, N. and Shah, S. (2003), "How communities support innovative activities: an exploration of assistance and sharing among end-users", Research Policy, 32: 157-178. 

  24. Gumbo, S., Jere, N. and Terzoli, A. (2012a), "A Qualitative Analysis to Determine the Readiness of Rural Communities to Adopt ICTs: A Siyakhula Living Lab Case Study", Proceedings of IST-Africa 2012. 

  25. Gumbo, S., Thinyane, H., Thinyane, M., Terzoli, A. and Hansen, S. (2012b), "Living Lab Methodology as an Approach to Innovation in ICT4D: The Siyakhula Living Lab Experience", Proceedings of IST-Africa 2012. 

  26. Kidd, C. D., Orr, R., Abowd, G. D., Atkeson, C. G., Essa, I. A., MacIntyre, B., Mynatt, E., Starner, T. E. and Newstetter, W. (1999), "The Aware Home: A Living Laboratory for Ubiquitous Computing Research", In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Workshop on Cooperative Buildings: 191-198. 

  27. Leminen, S., Westerlund, M. and Nystrom, A. G. (2012), "Living Lab as Open-Innovation Network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September 2012: 7-11. 

  28. Liedtke, C., Welfens, M. J., Rohn, H. and Nordmann, J. (2012), "Living Lab: user-driven innovation for sustain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13(2): 106-118. 

  29. MEE (Ministry of Employment and the Economy, Finland) (2010), Demand and User-driven Innovation Policy. 

  30. Pallot, M. (2009), "The Living Lab Approach: A User Centred Open Innovation Ecosystem", Webergence Blog, http://www.cweprojects.eu/pub/bscw.cgi/715404. 

  31. Rhodes University (2012), The Siyakhula Living Lab; An important step forward for South Africa & Africa. 

  32. von Hippel, E. (2001), "Open Source Shows The Way: Innovation by and for Users - No Manufacture Required!", Working Papaer 133, MIT Center for Digital Business. 

  33. Westerlund, M. and Leminen, S. (2011), "Managing the Challenges of Becoming an Open Innovation Company: Experiences from Living Lab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October 2011: 20-25. 

  34. ENoLL(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s). http://www.openlivinglabs.eu/ 

  35. Flemish Living Lab Platform. http://www.vlaamsproeftuinplatform.be/en/ 

  36. Habitat Living Lab. http://www.habitat.ufes.br/ 

  37. Siyakhula Living Lab. http://www.siyakhulall.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