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빙랩을 활용한 공공연구개발의 사업화 모델 도출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of Public R&D Based on Living Labs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0 no.2, 2017년, pp.458 - 486  

송위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정서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한규영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성지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김종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에서는 공공연구개발사업의 기술사업화 모델로 리빙랩 방식을 제안한다. 리빙랩은 최종 사용자가 살고 있는 공간을 실험실로 설정해서 최종 사용자와 기업, 연구기관, 공공기관이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실험 실증하는 모델이다. 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 사업화 모델과 달리 리빙랩 모델은 최종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업화를 논의한다. 리빙랩 일반 모델을 바탕으로 3가지 유형의 기술사업화 모델을 제시한다. 프로젝트형 리빙랩인 수요 탐색형 리빙랩 및 문제해결형 리빙랩, 그리고 리빙랩 플랫폼을 다루었는데 프로젝트형 리빙랩은 연구 개발과제를 추진할 때 모듈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리빙랩 플랫폼은 수요지향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기관, 기업, 지자체에게 리빙랩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부구조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suggests Living Lab approach as a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of public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s. Living Lab is a model for end-users, private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and public organizations to develop technology in a living space which works as a laborat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추격 혁신에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기술공급자, 기술사용자, 최종 사용자의 공동창조(co-creation) 활동이 필요한 것이다. 탈추격 혁신에서는 최종 사용자의 니즈에서 시작해서 그것이 기술・제품・서비스의 발전과정에 반영되고 같이 진화할 수 있는 ‘최종 수요 지향적 프레임’에 입각한 기술사업화 모델이 필요하다.
2014년 발표한 R&D성과확산을 위한 기술사업화 추진계획은 무엇을 강조하였는가? 기술공급 중심에서 시장지향 또는 기술수요자 중심의 기술사업화를 지향하면서 다양한 계획과 정책이 제출되었다. 2014년에 발표한 ‘R&D성과확산을 위한 기술사업화 추진계획’에서는 R&D 성과 확산을 위해 기술사업화 플랫폼 구축을 제시하여, R&D 기술사업화를 위한 전문지원기관 지정・육성 및 대학・출연(연)의 기술이전 전담조직의 사업화 역량 확대를 강조하였다(미래창조과학부, 2014). 최근 발표된 ‘기초・원천 연구성과 확산 촉진방안(안)’(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6.
공공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가 쉽게 이루어 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공공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는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대학・출연(연) 연구실에서의 연구활동, 기업에서의 제품・서비스 개발, 최종 사용자의 활용과 욕구충족이 각기 다른 세계에서 다른 논리로 작동되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연구개발성과가 실용화되려면 다른 세계로 넘어가는 몇 개의 계곡을 넘어야 한다(박종복,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지민 (2011), 개방형 혁신 활동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바이오.제약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6), 기초.원천 연구성과 확산 촉진방안(안). 

  3. 김병근.조현정.옥주영 (2011),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와 성과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4(3): 552-577. 

  4. 김영배 (2008), 사용자 혁신과 기술혁신시스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 김찬호.고창룡.설성수 (2012), "기술사업화 실패 사례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5(1): 203-223. 

  6. 미래창조과학부 (2014), R&D성과확산을 위한 기술사업화 추진계획. 

  7. 박재수.박정용 (2013), "성공적인 기술사업화를 위한 솔루션 프로세스-정부의 기술개발지원사업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7(7): 1522-1530. 

  8. 박종복 (2012), 한국 기술사업화의 실태와 발전과제-공공기술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9. 박종복.조윤애.류태규 (2015), 출연(연)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플랫폼 구축 방안, 산업연구원. 

  10. 박종복 (2016), "기술사업화의 이론과 동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전문가회의 발표자료. 

  11. 성지은.박인용 (2016),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사례분석과 시사점", 기술혁신학회지, 19(1): 1-28. 

  12. 성지은.송위진.김종선.박인용 (2015), ICT 분야의 한국형 리빙랩 구축 방안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13. 성지은.송위진.김종선.정서화.한규영 (2016가), "멘토링을 통해 본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 사업", STEPI Insight, 191. 

  14. 성지은.송위진.박인용 (2013), "리빙랩의 운영 체계와 사례", STEPI Insight, 127. 

  15. 성지은.송위진.박인용 (2014),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기술혁신학회지, 17(2): 309-333. 

  16. 성지은.한규영.박인용 (2016나), "국내 리빙랩의 현황과 과제", STEPI Insight, 184. 

  17. 성지은.송위진.김종선.장영재.정서화.한규영 (2016다),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 시민연구멘토단 구성.운영을 위한 전문기관 선정, 미래창조과학부. 

  18. 손상영.안일태.이철남 (2009),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의 플랫폼 경쟁정책,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9. 송위진 (2012), "Living Lab: 사용자 주도의 개방형 혁신모델", Issue & Policy, 59: 1-14. 

  20. 송위진 (2016),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 리빙랩", 기술과 경영, 395: 40-43. 

  21. 송위진.성지은 (201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 

  22. 안준모 (2015), "유출-개방형 기술혁신으로서의 기술사업화 정책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8(4): 561-589. 

  23. 이윤준.김선우 (2013), "대학.출연(연)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STEPI Insight, 123. 

  24. 최정덕 (2009), "시장지향적 R&D 의 피해야할 함정", LG Business Insight, 1. 

  25. 최치호 (2011), "출연(연)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 방안", KISTEP ISSUE PAPER. 

  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업화본부 (2016), "ETRI 기술사업화 혁신사례", ETRI-STEPI 공동 워크샵 발표자료. 

  27. 한정민.박철민.구본철 (2015), "연구개발성과의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영향요인 분석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문. 

  28. 황혜란.김경근.정형권 (2013),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지원정책 연구-대덕연구개발특구의 사례", 벤처창업연구, 8(3): 39-52. 

  29. Ballon, P., Pierson, J. and Delaere, S. (2005), "Test and Experimentation Platforms for Broadband Innovation: Examining European practice", Available at SSRN 1331557. 

  30. Chesbrough, H. (2003), 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Massachusetts. 

  31. Curley, M. and Salmelin, B. (2013), Open Innovation 2.0: A New Paradigm, Luxembourg: European Union. 

  32. Dell'Era, C. and Landoni, P. (2014), "Living Lab: A Methodology between User-Centred Design and Participatory Design",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23(2): 137-154. 

  33. D'Hauwers, R., Herregodts, A. L., Georges, A., Coorevits, L., Schuurman, D., Rits, O. and Ballon, P. (2016), "The Potential of Experimentation in Business-to-Business Living Labs", Open Living Lab Days 2016, Research Day Conference Proceedings, 37-49. 

  34. ENoLL (2015), Living Lab Services for Business Support & Internationalisation, ENoLL. 

  35. European Commission (2014), Open Innovation Yearbook, Luxembourg: European Union. 

  36. European Commission (2015), Open Innovation Yearbook, Luxembourg: European Union. 

  37. European Commission (2016), Open Innovation Yearbook, Luxembourg: European Union. 

  38. Folstad, A. (2008), "Living Labs for Innovation and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Literature Review", The Electronic Journal for Virtual Organization & Networks, 10: 99-131. 

  39. iMinds (2015), "Living lab Research: What We Do", iMinds, Accessed October 2, 2016: http://www.iminds.be/en/succeed-with-digital-research/go-to-market-testing/proeftuinonderzoek. 

  40. Jespersen, K. R. (2008), User Driven Product Development: Creating a User-Involving Culture, Samfundslitteratur, Copenhagen. 

  41. Kleibrink, A. and Schmidt, S. (2015), "Communities of Practice as New Actors: Innovation Labs Inside and Outside Government", Open Innovation Yearbook 2015, European Commission. 

  42. Leminen, S., Westerlund, M. and Nystrom, A. G. (2012), "Living Labs as Open-Innovation Network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2(9): 6-11. 

  43. Lichtenthaler, U. (2009), "Absorptive Capacity, Environmental Turbulence, and the complementarity of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2(4): 822-846. 

  44. Meijer, C. R., Nicholson, A. E. and Priester, R. (2016), "Open Innovation 2.0 calls for margnetic oranisations", European Commission (eds), Open Innovation 2.0 yearbook 2016, Luxembourg: European Union, 28-34. 

  45. Pallot, M. (2009), "The Living Lab Approach: A User Centred Open Innovation Ecosystem", Webergence Blog. http://www.cwe-projects.eu/pub/bscw.cgi/715404. 

  46. Patrycja, G. (2015), "Embedding a Living Lab approach at the University of Edinburgh", The university of Edinburgh. 

  47. Samlelin, B. (2015), "Open Innovation 2.0 Creations New Innovation Space", in Open Innovation Yearbook 2015, European Commission. 

  48. Schuurman, D. (2015), "Bridging the gap between Open and User Innovation?: exploring the value of Living Labs as a means to structure user contribution and manage distributed innovation", Doctoral dissertation, Ghent University. 

  49. Schuurman, D., Marez, L. D. and Ballon, P. (2016), "The Impact of Living Lab Methodology on Open Innovation Contributions and Outcome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6(1): 7-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