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독부산물 제어를 위한 자연유기물(NOM) 제거와 고도정수처리공정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NOM) and Application of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es for Controlling Disinfection By-Products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1 no.5, 2015년, pp.563 - 568  

김현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에너지공학과) ,  엄한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에너지공학과) ,  이동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에너지공학과) ,  주현종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 Organic Matter (NOM) is a precursor of disinfection by products. Recently, with the increase in NOM concentration caused by a large amount of algae, the crea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is becoming a big issue. Therefore, in this study, PAC+Membrane+F/A hybrid process was organized to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cale test 결과를 바탕으로 고도정수처리공정을 구성하였다. PAC+Membrane+F/A 복합공정 구성을 통해 NOM 제거와 후염소 주입을 통한 소독부산물 제어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복합공정 구성은 부지가 좁은 중・소규모 정수장의 특성상 소요부지가 적은 F/A를 추가 고도정수처리공정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소독부산물 생성의 전구물질인 NOM을 제거하기 위해 PAC와 막여과시설 및 F/A 복합공정을 구성하였으며, Lab. scale test와 Pilot plant 운전을 통해 고도정수처리공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Lab.
  • 본 연구에서는 조류발생에 따른 NOM 제거와 소독부산물을 제어하기 위해 PAC+Membrane+F/A가 결합된 고도정수처리공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Lab.
  • 먹는 물 수질기준 이내로 소독부산물의 발생을 최소로 하기 위해 NOM 농도별 소독부산물 발생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고도처리를 거친 후 최대로 유출 가능한 NOM 농도를 설정하고자 하며, 후염소 주입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소독부산물 발생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Lab.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조류 대량발생에 따른 문제로 NOM 제거를 위해 분말활성탄(Powdered Activated Carbon, PAC)과 막여과시설 및 F/A (Filter/Adsorber) 복합공정을 적용하였으며, 소독부산물 제어를 위한 후염소 주입방안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도정수처리란 무엇인가? 이에 따라 기존의 재래식 정수처리공정으로 처리가 어려운 미량의 유기화합물 및 합성유기물과 조류를 제거하기 위해 고도정수처리공정 도입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상수도시설기준에 따르면 고도정수처리는 활성탄, 오존, 생물처리 및 스트리핑(Stripping) 처리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라고 정의하고 있다(MOE, 2011). 소독은 수인성 질병을 억제하는데 필수적이나 일부 발암성이 있는 소독부산물을 형성한다.
자연유기물질에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자연유기물질(Natural Organic Matter, NOM)은 인체에 유해한 소독부산물을 형성하는 전구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최근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Gang et al., 2002).
고도정수처리공정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된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한강수계의 수돗물 이취미로 인한 민원발생과 부영양화 현상으로 조류 문제가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의 재래식 정수처리공정으로 처리가 어려운 미량의 유기화합물 및 합성유기물과 조류를 제거하기 위해 고도정수처리공정 도입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k, Y. A., Joe, W. H., Kim, J. M., and Choi, Y. J. (2007). Reduced Post Chlorine Dosage Required for Disinfection: Improvement with Ozonation and GAC Process,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1(4), pp. 455-452. [Korean Literature] 

  2. Choi, J. S., Lee, D. H., Lee, K. H., and Joo, H. J. (2014). Removal of High Concentration Geosmin Using a GAC Filter and a Cross Flow Typ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Combined with PAC,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 53(9), pp.1-10. 

  3. Gang, D. D., Segar Jr., R. L., Clevenger, T. E., and Banerji, S. K. (2002). Using Chlorine Demand to Predict TTHM and HAA9 Formation, Journal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94(10), pp. 76-86. 

  4. Ishii, H., Nishijima, M., and Abe, T. (2004). Characterization of Degradation Process of Cyanobacterial Hepatotoxins by a Gram-negative Aerobic Bacterium, Water Research, 38(11), pp. 2667-2676. 

  5. Kameya, T., Hada, T., and Urano, K. (1998). Changes of Adsorption Capacity and Pore Distribution of Biological Activated Carbon on Advanced Water Treatment, Water Science Technology, 35(7), pp. 155-162. 

  6. Kim, S. S. and Seo, G. T. (2011). Effect of Fluidized Bed Powdered Activated Carbon Impregnated by Iron Oxide Nano-particles on Enhanced Operation and NOM Removal of MF Membrane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 33(5). pp. 332-339. [Korean Literature] 

  7. Maria, D. K., Chun, H. K., Yangali, V. A. Q., Bas, G. J. H., and Jan, C. S. (2005). Natural Organic Matter (NOM) Fouling of Ultrafiltration Membranes: Fractionation of NOM in Surface Water and Characterization by LC-OCD, Desalination, 178(1-3), pp. 73-83. 

  8.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0). Water Supply Facilities Standard,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9.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1). Drinking Water Quality Monitoring Guidelin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0.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2). Water Treatment Plant Algae Corresponding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1. Nishijima, W. and Speitel Jr., G. E. (2004). Fate of Biodegradable Dissolved Organic Carbon Produced by Ozonation on Biological Activated Carbon, Chemosphere, 56(2), pp. 113-119. 

  12. Oh, H. K., Kim, H. C., Ku, Y. H., Yu, M. J., Park, H., and Chang, H. S. (2003). Characterization and Disinfection By-Product Formation Potential of Natural Organic Matter in Drinking Water Treat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 25(10), pp. 1252-1257. [Korean Literature] 

  13. Park, J. H. (2006). A Study of Pretreatment on the Efficiency of Membrane Filtration Process,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25-30. [Korean Literature] 

  14. Stewart, M. H., Wolfe, R. L., and Means, E. G. (1990). Assessment of the Bacteriological Activity Associated with Granular Activated Carbon Treatment of Drinking Water,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56(12), pp. 3822-3829. 

  15. Thurman, E. M. (1985). Organic Geochemistry of Natural Waters, Developments in Biogeochemistry, 2, pp. 1-489. 

  16. Westerhoff, P., Rodriguez-Hernandeza, M., Bakerb, L., and Sommerfeld, M. (2005). Seasonal Occurrence and Degradation of 2-methylisoborneol in Water Supply Reservoirs, Water Research, 39(20), pp. 4899-4912. 

  17. Wetzel, R. G. (1984).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Elsevier Academic Press, 3rd edition, pp. 972-985. 

  18. Whelton, A. J. and Dietrich, A. M. (2004). Relationship Between Intensity,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for Drinking Water Odorants, Water Research, 38, pp. 1604-1614. 

  19. Zhang, Q., Kuang, W. F., Liu, L. Y., Li, K., Wong, K. H., Chow, A. T., and Wong, P. K. (2009). Trihalomethane, Haloacetonitrile and Chloral Hydrate Formation Potentials of Organic Carbon Fractions from Sub-tropical Forest Soil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72, pp. 880-8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