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단계 발효로 제조된 고산도 사과식초의 품질지표성분 설정
Determination of Quality Index Components in High-Acidity Cider Vinegar Produced by Two-Stage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4, 2015년, pp.431 - 437  

조윤희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박윤지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이현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이혜진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여수환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high-acidity cider vinegar (HACV) was produced by alcoholic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of apple concentrate without any nutrients and then the optimum alcohol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through a qualitative study. HACV was fermented with different initial alcohol concentratio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사과농축액의 2단계 발효를 통한 고산도 사과식초 제조 시 초기 알코올농도에 따른 초산발효 결과를 통해 최적의 초기 알코올농도를 설정하였다. 또한 사과농축액의 2단계 발효로 제조된 고산도 사과식초와 시판 주정발효 고산도 사과식초의 품질차별화를 위해 성분분석 및 관능적 품질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2단계 발효 고산도 사과식초의 품질지표성분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사과농축액의 2단계 발효를 통한 고산도 사과식초의 품질을 시판 주정발효 고산도 사과식초와 차별화하기 위해 지표성분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초기 알코올농도 6%의 HACV와 주정발효의 CHACV 3종에 대해 이화학적 품질과 관능적 품질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Table 4).
  • HACV 제조를 위한 2단계 초산발효 시 최종산도 12%까지 사과주(알코올농도 20%)를 유가식으로 첨가하였다. 이와 같이 사과농축액을 이용하여 초기 알코올농도에 따라 제조된 HACV의 품질 차별화를 목적으로 시판 고산도 사과식초(commercial HACV, CHACV)의 품질을 함께 분석하였다. 라벨에 표기된 초산함량을 기준으로 10% 이상의 제품 3종을 마트에서 구매하였으며, 2배 사과식초(CHACV1, CHACV2) 및 3배 사과식초(CHACV3)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주의 초기 알코올농도 차이에 따른 HACV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사과주의 초기 알코올농도에 따른 HACV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Table 2와 같다. 총 페놀은 초기 알코올농도 7% 및 8% 조건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는 6%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초기 알코올농도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 측정을 위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이들은 모두 초기 알코올농도 7% 및 8%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p<0.
사과는 어떤 과일인가? 사과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사과나무의 열매로써,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재배되고 많이 소비되는 과일 중 하나이다(1,2). 최근 시장개방의 확대로 과일의 수입이 증가하는 반면 소비는 감소하고 있어 과잉공급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식초는 어떤 성분을 함유하는가? 식초는 특유의 자극적인 향과 신맛을 지닌 발효식품 중 하나로, 휘발성 및 비 휘발성 유기산, 당, 아미노산, 에스테르 등을 함유하고 있다(4,5). 초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식초는 체지방 감소, 피로회복, 성인병 예방 등의 다양한 효과가 알려져 있고, 식초음료 열풍과 함께 기능성 식초 시장 또한 성장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Lee SJ, Jang HL, Shin SR, Yoon KY.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juice according to the sterilization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9: 178-184 (2012) 

  2. Jung HY, Kim SS. Identification of ideal size and drivers for consumer acceptability of apple. Korean J. Food Preserv. 21: 618-626 (2014) 

  3. Huh MY. Recognition and importance-satisfaction of apple processed products. J. Korean Soc. Food Cult. 25: 1-8 (2010) 

  4. Jeoung YJ, Lee MH.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industry. Food Ind. Nutr. 5: 7-12 (2000) 

  5. Lim EJ, Cha GH. Study on manufacturing of vinegar through literatures of the Joseon Dynasty. J. Korean Soc. Food Cult. 25: 680-707 (2010) 

  6. Kim KO, Kim SM, Kim SM, Kim DY, Jo DJ, Yeo SH, Jeong YJ, Kwon J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fruit vinegars with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36-742 (2013) 

  7. Jeong YJ.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the Korean vinegar industry. Food Sci. Ind. 42: 52-59 (2009) 

  8. Lee YC, Lee JH. A manufacturing process of high-strength vinegar. Food Ind. Nutr. 5: 13-17 (2000) 

  9. Park KS, Chang DS, Cho HR, Park UY. Investigation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high concentration ethanol resistant Acetobacter sp.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666-670 (1994) 

  10. Park MH, Lyu DK, Ryu CH. Characteristics of high acidity producing ace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industrial vinegar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94-398 (2002) 

  11. Lee YC, Park MS, Kim HC, Park KB, Yoo YJ, Ahn IK, Son SH. Production of high acetic vinegar by single stage fed-batch culture. Microbiol. Biotechnol. Lett. 21: 511-512 (1993) 

  12. Lee YC, Lee GY, Kim HC, Park KB, Yoo YJ, Ahn PU, Choi CU, Son SH. Production of high acetic acid vinegar using two stage fermentation. Microbiol. Biotechnol. Lett. 20: 663-667 (1992) 

  13. Sung NH, Woo SM, Kwon JH, Yeo SH, Jeong YJ.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 acidity apple vinegar manufactured using two stage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877-883 (2014) 

  14. Luchsinger WW, Cornesky RA. Reducing power by the dinitrosalicylic acid method. Anal. Biochem. 4: 346-347 (1962) 

  15. Jeong YJ, Seo KI, Kim K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rketing and intensive persimmon vinegars. J. East Asian Soc. Diet. Life 6: 355-363 (1996) 

  16. Singleton VL, Rossi Jr.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965) 

  17.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999) 

  18. Zou Y, Lu Y, Wei D. Antioxidant activity of a flavonoid-rich extract of Hypericum perforatum L. in vitro. J. Agr. Food Chem. 52: 5032-5039 (2004) 

  19. Blio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2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1999) 

  21. Jo YH, Baek JY, Jeong IY, Jeong YJ, Yeo SH, Noh BS, Kwon JH.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components of wine vinegars with high acidity based on fermentation stage and initial alcohol concentration. Food Sci. Biotechnol. 24: 445-452 (2015) 

  22. Kang BH, Shin EJ, Lee SH, Lee DS, Hur SS, Shin KS, Kim SH, Son SM, Lee JM.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 of apple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8: 980-985 (2011) 

  23. Lee DS, Woo SK, Yang CB.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ajor fruit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 134-139 (1972) 

  24. Kim CJ, Park YJ, Lee SK, Oh MJ. Studies on the induction of available mutant of acetic acid bacteria by UV light irradiation and NTG treatment-on the organic acids composition of apple wine vinegar. Microbiol. Biotechnol. Lett. 9: 139-143 (1981) 

  25. Seo JH, Kim YJ, Lee KS.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vinegars produced from two-stage fermentation. Food Ind. Nutr. 8: 40-44 (2003) 

  26.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al. Bio. Med. 20: 933-956 (1996) 

  27. Alonso AM, Castro R, Rodrıguez MC, Guilln DA, Barroso CG. Study of the antioxidant power of brandies and vinegars derived from Sherry wines and correlation with their content in polyphenols. Food Res. Int. 37: 715-721 (2004) 

  28. Yoon HN, Moon SY, Song SH.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odor properties of commercial vine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99-305 (1998) 

  29. Kim DH.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fi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3-60 (1999) 

  30. Kim SD, Jang KS, Kim MK. Fermentation of apple vinegar in the farmhouse. J. East Asian Soc. Diet. Life 4: 75-86 (1994) 

  31. Na HS, Choi GC, Yang SI, Lee JH, Cho JY, Ma SJ, Kim JY.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commercial fermented vinegars made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Preserv. 20: 482-487 (2013) 

  32. Yoon HN.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vine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40-1446 (1999) 

  33. Kim GR, Yoon SR, Lee JH, Yeo SH, Jeong YJ, Yoon KY, Kwon J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fruit vinegars. Korean J. Food Preserv. 17: 616-624 (2010) 

  34. Choi OJ, Park HR, Chough SH. Variation of free sugar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apples during the ripening period. J. Korean Soc. Food Cult. 12: 149-153 (1997) 

  35. Lee SJ, Jang HL, Shin SR, Yoon KY.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juice according to the sterilization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9: 178-184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