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사과식초의 산도에 따른 품질특성 비교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Cider Vinegars by Their Acidity Level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6, 2012년, pp.699 - 703  

조덕조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은주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귀란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여수환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판 사과식초의 총산 함량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사과식초 산도의 증가에 따라 pH는 감소하였고, 총 산도는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 및 갈색도는 산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제조과정의 차이가 최종 제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리당은 산도에 관계없이 fructose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glucose의 함량이 그 뒤를 이었다. 총 유리당 함량은 저산도, 2배 산도, 일반산도, 3배 산도식초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유기산의 경우 acetic acid와 malic acid가 주로 확인되었다. 원료 중 과즙의 함량이 가장 높은 저산도 식초에서는 ox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등이 확인되었고, 구연산이 사용된 3배 산도 식초의 경우 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총 페놀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저산도 식초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어 사과과즙 함량의 차이가 최종 제품의 함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되었다. 시료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항산화물질의 함량이 높은 저산도 식초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of commercial cider vinegars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ir acidity levels (low, general, double strength and triple strength). The pH, reducing sugar content and brown color intensity decreased, while the total acidit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cidity levels, which may be resul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판 식초와 관련된 연구에는 정치배양 및 시판 현미식초의 품질 비교(5), 시판 정치배양 현미식초의 아미노산 및 향기성분 특성 분석(6), 시판 과실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향기성분 비교(7), 시판 현미식초의 주정첨가 유무에 따른 특성 비교(8,9), 국내 시판 식초의 항산화 활성(10), 2단계 발효 사과식초와 시판 사과식초의 품질 비교(11), 식초의 종류별 미량성분과 관능적 특성 비교(12) 등이 있으나, 시판 식초의 산도에 따른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고, 특히 과일을 이용한 고산도 식초의 품질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산도 식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의 일환으로 산도에 따른 시판 사과식초의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초란? 식초는 탄수화물이 풍부한 재료의 알코올발효와 초산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초산이 풍부한 신맛의 조미료이다. 식품공전(1)에 따르면 식초는 크게 발효식초, 합성식초, 기타식초로 구분되는데, 이 중 발효식초는 과실, 곡물술덧(주요), 과실주, 과실착즙액, 곡물주, 곡물당화액, 주정 또는 당류 등을 원료로 하여 초산발효한액 및 이에 과실착즙액 또는 곡물당화액을 혼합 숙성한 것이고, 합성식초는 빙초산 또는 초산을 물로 희석하여 만든 것이다.
저산도 식초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조미용 식초는 산도에 따라 총산도 4-5%의 저산도, 6-7%의 일반산도, 13-14%의 2배 산도, 18-19%의 3배 산도로 나눌 수 있고, 사과식초의 경우 1984년에 소개되어 2배 식초(1993년), 3배 식초 (1998년), 저산도 식초(2010년)의 순으로 출시되어 현재 시판 중이다(4). 저산도 식초는 산도가 낮고 신맛이 부드러워 음식 고유의 맛과 풍미를 살려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고산도 식초는 초 발산도를 7-10%, 알코올을 5%로 조정하고 당류와 영양원을 혼합하여 발효를 실시한 후 원하는 산도에 도달하고 알코올 함량이 0%에 근접했을 때 초산발효액의 일부를 배출하고 당류와 영양원을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보충하여 다음 단계의 발효를 이어나가는 반연속적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식품공전에 따르면 식초의 종류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식초는 탄수화물이 풍부한 재료의 알코올발효와 초산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초산이 풍부한 신맛의 조미료이다. 식품공전(1)에 따르면 식초는 크게 발효식초, 합성식초, 기타식초로 구분되는데, 이 중 발효식초는 과실, 곡물술덧(주요), 과실주, 과실착즙액, 곡물주, 곡물당화액, 주정 또는 당류 등을 원료로 하여 초산발효한액 및 이에 과실착즙액 또는 곡물당화액을 혼합 숙성한 것이고, 합성식초는 빙초산 또는 초산을 물로 희석하여 만든 것이다. 한편, FDA(2)에서는 식초를 사과과즙으로 만든 cider vinegar, 포도과즙으로 만든 wine vinegar, 보리 맥아로 만든 malt vinegar, 설탕 시럽으로 만든 sugar vinegar, 포도당으로 만든 glucose vinegar 외 총 8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FDA. Korea Food Standar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won, Korea. pp. 5-21-1 (2012) 

  2. FDA homepage. http://www.fda.gov/ICECI/ComplianceManuals/CompliancePolicyGuidanceManual/ucm074471.htm Accessed Aug. 1, 2012. 

  3. Kang BH, Shin EJ, Lee SH, Lee DS, Hur SS, Shin KS, Kim SH, Son SM, Lee JM.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 of apple. Korean J. Food Preserv. 18: 980-985 (2011) 

  4. Lee YC, Lee JH. A manufacturing process of high-strength vinegars. Food Indus. Nutr. 5: 13-17 (2000) 

  5. Woo SM, Jo JY, Lee SW, Kwon JH, Yeo SH, Jeong YJ. Quality comparison of static-culture and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s. Korean J. Food Preserv. 19: 301-307 (2012) 

  6. Kim GR, Yoon SR, Lee SW, Jeong MS, Kwak JY, Jeong YJ, Yeo SH, Kwon JH. Analysis of the free amino acids and volatile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brown-rice vinegar prepared via static acetic-acid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8: 803-810 (2011) 

  7. Kim GR, Yoon SR, Lee JH, Yeo SH, Jeong YJ, Yoon KY, Kwon J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fruit vinegars. Korean J. Food Preserv. 17: 616-624 (2010) 

  8. Yoon SR, Kim GR, Lee SW, Jeong YJ, Yeo SH, Choi HS, Kwon JH.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s fermented with and without ethanol.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27-532 (2010) 

  9. Kim GR, Yoon SR, Lee JH, Yeo SH, Kim TY, Jeong YJ, Yoon KY, Kwon JH.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 fermented with and without ethanol. Korean J. Food Preserv. 16: 893-899 (2009) 

  10. Lee SM, Choi Y, Kim Y, Kim DJ, Lee J. Antioxidnat activity of vinegar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n markets. Food Eng. Prog. 13: 221-225 (2009) 

  11. Jeong YJ, Seo JH, Lee GD, Park NY, Choi TH. The quality comparison of appl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apple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53- 358 (1999) 

  12. Moon SY, Chung HC, Yoon HN, Comparative analysis of commercial vinegar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tic tas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63-670 (1997) 

  13. Marais JP, de Wit JL, Quicke GV.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Nelson-Somogyi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s. Anal. Biochem. 15: 373-381 (1966) 

  14. Singleton VL, Rossi Jr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Viticult. 16: 144-158 (1965) 

  15.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999) 

  16. Zou Y, Lu Y, Wei D.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rich extract of Hypericum perforatum L in vitro. J. Agr. Food Chem. 52: 5032-5039 (2004) 

  17. Blio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958) 

  1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Catherine RE.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1999) 

  19. Jeong YJ, Seo JH, Jung SH, Shin SR, Kim KS. The quality comparison of uncleaned rice vinegar by two stage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uncleaned rice vinegar. Korean J. Postharv. Sci. Technol. 5: 374-379 (1998) 

  20. Kim MJ, Park EJ. Feature analysis of different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assays and their application to fruit and vegetable samp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53-1062 (2011) 

  21. Chung HJ.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ic extracts of some tea materials on red pepper seed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6-1320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