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개발사업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Public Attitudes to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and Its Effects on Marine Environment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1 no.5 = no.70, 2015년, pp.492 - 500  

백민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  최효연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새만금 개발사업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새만금 인근지역인 전북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400가구 및 새만금 인근지역 외 전국 600가구 등 총 1,0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새만금 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 및 해양환경 영향을 동시에 고려할 때 새만금 개발사업에 대해 판단하는 공공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서열프로빗 모형을 적용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인식조사 결과, 새만금 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와 해양환경 영향을 동시에 고려할 때, 새만금 인근지역조사 및 전국조사 응답자의 70 % 이상이 새만금 개발사업을 반대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응답자의 90 % 이상이 새만금 방조제 외해역의 해양환경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새만금 방조제 외해역 환경관리를 위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public's attitudes about the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and its impact on marine environment with the data from a national survey of 1,000 households obtained by a professional survey firm with face-to-face interviews using two split samples: a sample of 400 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열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새만금 개발사업의 두 가지 측면의 영향을 고려할 때의 새만금 개발사업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정량적으로 분석해보도록 한다.
  • 새만금호 내부수질은 관리가 되고 있지만 새만금 외해역 환경에 대해서는 실질적 관리방안이 마련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국민 및 지역주민들의 새만금 외해역 환경관리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하여 살펴보았다.
  • 새만금 개발사업에 대해서는 갯벌유실 고려 시 간척사업의 필요성, 새만금 개발사업의 개발방향 변화, 새만금 내부지역의 개발용도, 새만금 개발사업의 이해관계자간 의사소통에 대한 공공의 인식을 조사해 보았다.
  • 설문조사는 새만금 인접 기초지자체와 새만금 인접지역을 제외한 전국으로 구분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새만금 개발사업은 지역사업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두 그룹 간의 인식차이를 조사하고자 했다. 각각 400가구와 600가구를 지역별 가구 수와 성비를 기준으로 층화무작위표본추출(stratified random sampling)하여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였다.
  • 새만금 개발사업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지역주민들의 소득이 향상되는 긍정적인 기대가 있는 반면, 내부개발로 인해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문제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이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할 때, 새만금 개발사업에 대한 새만금 인근 지역주민 및 국민들의 태도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계량적인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새만금호 수질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수유통 등이 시행된다면 외해역의 오염 부하는 더욱 가중될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새만금 외해역 환경관리에 대한 공공의 의견을 조사해보았다.
  • 새만금 개발사업에 대한 반대 측의 주요의견 중 하나는 당시 국내 갯벌의 10 %에 해당하는 갯벌이 유실된다는 것이었다. 이에 갯벌유실과 다양한 용도로 개발될 용지조성을 같이 고려시 간척사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공공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Fig.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인접 기초지자체(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지역주민과 국민들을 대상으로 새만금 개발사업 관련 이슈 및 새만금 개발사업의 영향, 외해역 환경관리에 대한 다양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고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개발방향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새만금 개발사업 및 새만금 외해역 환경관리에 대한 공공의견을 나타내는 것으로 향후 관련 의사결정 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만금 개발사업은 무엇인가? 새만금 개발사업은 전라북도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앞바다를 연결하는 세계 최장 길이(33㎞)의 방조제를 건설하여 간척토지(291 ㎢)와 호수(119 ㎢)를 조성하는 국내 최대 간척사업이다. 동 사업은 국토균형발전의 일환으로 서해안 개발을 위해 추진되었으며, 새롭게 조성되는 부지는 서울 면적의 2/3배 (총 409 ㎢)에 해당하는데, 담수호, 농업용지, 산업용지, 관광레저용지, 환경생태용지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계획이다.
새만금 방조제 내부 개발지역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한편 새만금 방조제 내부 개발지역은 담수호, 농업용지, 비농업용지로 구분되며, 농업용지는 사업 초기 100 %에서 2007년 72 %, 2014년 34 %로 감소한 반면, 비농업용지는 2007년 28 %에서 2014년 66 %로 크게 증가하여 새만금 개발사업의 방향이 농지확보에서 농업, 산업, 국제업무, 주거, 연구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도시 개발로 변화하였다. 사업초기에는 없었던 생태환경지역도 비농업용지에 포함되었는데 이는 새만금 개발사업의 반대 측 의견을 일부 수렴한 결과이다.
새만금 개발사업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또한 새만금 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 및 해양환경 영향을 동시에 고려할 때 새만금 개발사업에 대해 판단하는 공공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서열프로빗 모형을 적용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인식조사 결과, 새만금 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와 해양환경 영향을 동시에 고려할 때, 새만금 인근지역조사 및 전국조사 응답자의 70 % 이상이 새만금 개발사업을 반대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응답자의 90 % 이상이 새만금 방조제 외해역의 해양환경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새만금 방조제 외해역 환경관리를 위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Elliott, E., B. J. Seldon and J. L. Regens(1997), Political and Economic Determinants of Individuals' Support for Environmental Spend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51, pp. 15-27. 

  2. Jeong, Y. H. and J. S. Yang(2015), The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ies in the Saemangeum Salt-Water Lake after the Sea-dike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Vol. 18, No. 2, pp. 51-63. 

  3. Jones, R. E., K. L. Davis and J. Bradford(2012), The Value of Trees: Factors Influencing Homeowner Support for Protecting Local Urban Trees, Environment and Behavior, Vol. 45, No. 5, pp. 650-676. 

  4. Kim, J.(2007), The Impacts of a Large-scale Reclamation Project on the Life of Local Residents, The Research of Environmental Sociology ECO, Vol. 11, No. 2, pp. 285-316. 

  5. Kim, M. S., J. H. Kim, J. Y. Jang and J. R Jang(2013), A Social Network Analysis on Stakeholders of Watershed Management in Saemanguem area, The Research of Environmental Sociology ECO, Vol. 17, No. 2, pp. 227-274. 

  6. Ku, D. W. and D. W. Hong(2011), Social effects of Saemanguem project, The Research of Environmental Sociology ECO, Vol. 15, No.2, pp. 39-80. 

  7. Lie, H. J.(2006), Changing Phases in Coastal Environment of the Saemangeum Area by Tideland Reclamation Project, Mid-we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28, No. 3, pp. 353-360. 

  8. Moon, Y. E., C. H. Lee and E D. Heang(2012), Analysis of Conflict in the Village Community Resulting from Saemangeum Project, Journal of Regional Studies, Vol. 27, No. 1, pp. 87-111. 

  9. Mostafavi, A., D. Abraham and A. Vives(2014), Exploratory Analysis of Public Perceptions of Innovative Financing for Infrastructure Systems in the U.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Vol. 70, pp. 10-23. 

  10. Ryu, J. S., J. S. Kim, S. J. Hong, J. S. Park, B. O. Kwon, S. J. Song, J. H. Nam and W. K. Chang(2014),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History of the Saemangeum Tidal Flat Ecosystem before and after Dike Construction, 2014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Seoul Univ., pp. 18-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