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재난관리체제 관점의 화학사고 대응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in View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9 no.5, 2015년, pp.73 - 78  

이재석 (서울지방경찰청 화재.폭발감식팀) ,  최돈묵 (가천대학교 설비.소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2년 구미 불산 누출사고 이후 화학사고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계속적으로 화학사고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임시방편적 대응 혹은 화학 사고에 대한 실질적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국가적 시스템 정비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제 일련의 화학사고가 단순히 기업이나 공장의 화학물질 사고를 넘어 전(全) 국가 및 사회 전반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화학 사고에 있어 국가재난관리체계 확립방향의 길을 조금이나마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도달하기 위해 현재 재난관리체계의 문제점, 화학 사고에 대한 재난관리 실패의 구조적 원인 및 사고 대응의 문제점 도출을 통해 화학사고 대응체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hydrofluoric acid spill accident in Gumi in 2012, the current situation has continued to suffer from makeshift responses or feeble national system maintenance in preparing real countermeasures against chemical accidents, regardless of their repeated occurrence and seriousness. Industrial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화학 사고에 있어 국가재난관리체계 확립방향의 길을 조금이나마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도달하기 위해 재난관리체계의 문제점 및 화학 사고에 대한 재난관리 실패의 구조적 원인을 통해 화학사고 대응체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통상 사고원인 조사의 목적은 사고의 원인을 조사하여 추후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 그 위험성을 규명하고 방지대책을 연구하고자 함이다. 하지만 사고 원인 조사 후 책임자 및 관련 업체의 처벌에만 포커스가 맞추어지고 있다.
  • 화학사고 뿐만 아니라 각종 재난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컨트롤타워의 부재, 대응, 미흡이 언급되고 있다. 화학사고 발생 시 초동 상황 관리는 재난자료를 수집, 요약, 발췌, 보고 등을 정리하여 추후 정책 환류 과정에 각종 통계, 수학적 계량 모델, 경험지식, 상황 인력 관리 등 적용하기 위한 최적의 정보이다. 그러나 현재 화학사고 발생 시 경찰, 소방,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등 초기 현장에 진출하는 기관이 다양하고 각 기관별 목적이 다름에 따라 초기 대응에 실패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재난관리체계의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2012년 구미 불산 누출사고 이후 화학사고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계속적으로 화학사고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임시방편적 대응 혹은 화학 사고에 대한 실질적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국가적 시스템 정비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제 일련의 화학사고가 단순히 기업이나 공장의 화학물질 사고를 넘어 전(全) 국가 및 사회 전반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일으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 C. Kim and T. Y. Kim, "The Normative Structure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6 No. 1, pp. 8-17 (2001). 

  2. C. W. Lee, J. S. Gang and W. H. Lee,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Kore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Korean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Seminar Book, pp. 37 (2013). 

  3. M. K. Choi and D. M. Choi,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Measures Efficient Chemical Substances",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27, No. 3, pp. 37-50 (2013). 

  4. I. Yoon, H. S. Yang, C. H, Park, M. S. Cho, S. B. Kim and M. S. Lee, "Major Policies and Current Status of Ministry of Environment (MOE) for the Response to Chemical Accidents",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oery and Pratics, Vol. 3, No. 2, pp. 18-29 (2007). 

  5. J. K. Park, "Improvement of a System For Chemical Substance Accident Correspondenc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No. 2, pp. 25-42 (2013). 

  6. H. C. Shin, "How to Improv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f Korea?", The Institute for the Future of State (2014). 

  7. J. S. Le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in View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Gachon University (2015). 

  8. S. B. Kim, C. H. Park, M. S. Cho, J. M. Kim, H. R. No and K. S. Seok, "A Study on Improving Management of Substances Requiring Preparation for Accidents Facilities", Korean Institute of Safety, Vol. 27, No. 3, pp. 77-8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