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양납석광상의 열수변질 특징
Hydrothermal Alteration of Miryang Pyrophyllite Deposit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8 no.3, 2015년, pp.265 - 277  

문동혁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곽경윤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이부영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구효진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조현구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밀양납석광상의 지표시료와 시추시료의 광물조성과 화학조성 분석결과를 통하여 열수변질양상과 형성 환경을 연구하였다. 밀양납석광상의 열수변질대는 광물조합을 근거로 주로 엽납석-딕카이트(석영) 광물조합을 가지며 납석광체에 해당하는 강이질변질대와 견운모-석영-딕카이트를 주로 수반하는 필릭변질대 및 녹니석-석영이 주된 광물조합으로 수반되는 프로필라이트변질대 등 세 가지로 구분된다. 지표 및 시추시료의 수평적 수직적 변질양상 및 지화학적 특성을 통하여 연구지역 내 납석광체는 수차례의 열수변질작용을 통하여 형성되었으며, 현재 채광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표광체로부터 남쪽-남동쪽 심부에 이르기까지 대규모로 연장되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납석광체의 광물조합 및 엽납석의 다구조형(2M) 등을 통하여 밀양납석광상의 형성온도는 약 $300-350^{\circ}C$ 내외일 것으로 추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thermal alteration patterns and environment are studied by mineral assemblages and chemical analyses of surface and core samples from Miryang pyrophyllite deposit. The alteration zones of this deposit can be divided into three zones on the basis of mineral assemblage; advanced argillic, phyll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밀양납석광상 주변의 안산암질암내에 나타나는 변질대별 광물조성, 지화학적 결과의 특징을 이용하여, 본 광상이 열수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규명하고,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능한 생성환경을 유추하여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밀양납석광상 주변의 지표조사와 시추를 통하여 채취한 시료들의 광물조성과 화학조성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수평⋅수직적인 열수변질 양상을 조사하여 광상 형성의 환경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납석이란 무엇인가? 납석은 부드럽고 지방감을 주는 광석으로서 상품명 또는 광석명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용어이다(Cho, 1998). 광물학적으로는 엽납석(pyrophyllite)을 지칭하는 것이지만, 고령토군 광물에 속하는 딕카이트(dickite)와 카올리나이트(kaolinite)및 운모족 광물에 속하는 견운모(sericite)도 유사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광산 현장이나 가공 산업체에서는 총칭하여 납석으로 부르고 있다.
전남 남서부지역(해남-완도)과 경남 남동부지역(밀양-양산)에 위치한 납석광상들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 2007; Yoo et al., 2011), 이 지역의 납석광상들은 대부분 유문암질 내지 안산암질 응회암 또는 화산암류를 모암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납석은 무엇으로 사용되는가? 광물학적으로는 엽납석(pyrophyllite)을 지칭하는 것이지만, 고령토군 광물에 속하는 딕카이트(dickite)와 카올리나이트(kaolinite)및 운모족 광물에 속하는 견운모(sericite)도 유사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광산 현장이나 가공 산업체에서는 총칭하여 납석으로 부르고 있다. 납석은 내화물, 위생도기, 유리섬유, 타일 등의 주원료 및 시멘트 부원료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유리섬유용은 1990년대 중반부터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납석의 주요 생산국은 우리나라와 일본이며, 도기 문화가 발달한 양국은 동시에 주요소비국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nes, H.L. (1979)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Ore Deposits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798p. 

  2. Brindley, G.W. and Wardle, R. (1970) Monoclinic and triclinic forms of pyrophyllite and pyrophyllite anhydride. American Mineralogist, 55, 1259-1272. 

  3. Cho, H.G. (1998) Pyrophyllite deposits. In: Woo, Y.G. et al. (eds.) Ore Deposits of Korea, Memoirs of Prof. Hee-In Park's Retirement, Seoul, Korea, 189-205 (in Korean). 

  4. Cho, H.G. (2000) Pyrophyllite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Minerals and Industry), 13, 28-38 (in Korean). 

  5. Choo, C.O. (1996) Mineralogy and genesis of Napseok (sericite, pyrophyllite, dickite) in the Kimhae area,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0p. 

  6. Choo, C.O. and Kim, Y.K. (2005)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oscillatory zoned tourmaline from diaspore nodule, an aluminum-rich clay deposit, Milyang, South Kor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18, 227-2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Eberl, D. (1979) Synthesis of pyrophyllite polytypes and mixed layer. American Mineralogist, 64, 1019-1096. 

  8. Ellis, A.J. and McFadden, I.M. (1972) Partial molar volume of ions in hydrothermal solutions. Geochimica Cosmochimica Acta, 36, 413-426. 

  9. Hass, H. and Holdaway, M.J. (1973) Equilibria in the system $Al_2O_3-SiO_2-H_2O$ involving the stability limits of pyrophyllite, and thermodynamic data of pyrophyllite. American Journal of Science, 273, 449-464. 

  10. Helgeson, H. (1969) Thermodynamics of hydrothermal system at elevated temperature and pressure. American Journal of Science, 267, 729-804. 

  11. Hemley, J.J. and Jones, W.R. (1964) Chemical aspects of hydrothermal alteration with emphasis on hydrogen metamorphism. Economic Geology, 59, 538-569. 

  12. Hemley, J.J., Montoya, J.W., Marinenko, J.W. and Luce, R.W. (1980) Equilibria in the system $Al_2O_3-SiO_2-H_2O$ and some general implications for alteration/mineralization processes. Economic Geology, 75, 210-228. 

  13. Hong, S.H. and Choi, P.Y. (1988) Geological report of the Yuch'on sheet.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60p. 

  14. Koh, S.M., Takaki, T., Kim, M.Y. Naito, K., Hong, S.S., and Sudo, S. (2000) Geo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hydrothermal clay alteration in south Korea. Resource Geology, 50, 229-242. 

  15. Kim, S.J., Kim, J.J., and Choo, C.O. (1992) Mineralogy and genesis of hydrothermal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3) Miryang napseok deposit.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5, 93-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S.W., Lee, J.Y., Kim, Y.K., and Koh, I.S. (1991) Petrology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southern Yuchon minor basin. Journal of the Geology Society of Korea, 27, 24-39. 

  17. Kwack, K.W., Hwang, J.Y., Oh, J.H., Yoon, K.T., and Choi, S.J. (2009) Geological occurrence and mineralogy of pyrophyllite deposits in the Jinhae Area.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2, 163-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H.K., Moon, H.-S., and Oh, M.-S. (2007) Economic Mineral Deposits in Korea. Acanet, Seoul, 498-514 (in Korean). 

  19. Lee, K.W., Moon, H.S., Song, Y.G., and Kim, I.J. (1993) Wall rock alteration and genetic environment of the Miryang pyrophyllite deposit. Journal of the Mining Geology of Korea, 26, 289-3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Meyer, C. and Hemley, J.J. (1967) Wall rock alteration. In Barnes, H.L. (ed)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Ore Deposits. Holt, Rinehart and Winston, 166-235. 

  21. Oh, D.G., Chon, H.T., and Min, K.W. (1992) A geochemical study on pyrophyllite deposits and andesitic wall-rocks in the Miryang area, Kyeo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Mining Geology of Korea, 25, 27-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Park, H.I., Chang, H.W., and Moon, H.S. (1994) Processes of formation of metallic and non-metallic mineral deposits in the Gyeongsang Basin. KOSEF Report 91-06-00-03, 305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Robbie, R.A. and Waldbaum, D.R. (1968) Thermodynamic properties of minerals and related substances at 298.15K and 1 atmosphere pressure and at higher temperatures. U.S. Geological Survey Bulletin, 1259, 256p. 

  24. Rose, A.W. (1970) Zonal relations of wall rock alteration of sulfide distribution at porphyry copper deposits. Economic Geolology, 65, 920-936. 

  25. Rosenberg. R.E. (1974) Pyrophyllite solid solutions in the system $Al_2O_3-SiO_2-H_2O$ . American Mineralogist, 59, 154-260. 

  26. Rosenberg. R.E. and Cliff, G. (1980) The formation of pyrophyllite solid solutions. American Mineralogist, 65, 1217-1219. 

  27. Sang, K.N., Chung, W.W. and Lee, Y.J. (1996) Hydrothermal system of diaspore-dumortierite minerals from Korea. Journal of the Economy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Korea, 29, 439-4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Takagi, T., Koh, S.M., Kim, M.Y., Naito, K. and Sudo, S. (2000) Geology and hydrothermal alteration of the Miryang pyrophyllite deposit, Southeast Korea. Resource Geology, 50, 243-256. 

  29. Won, C.K. (1987) Igneous activity. In: Lee, D.S. (ed.) Geology of Korea, Kyohak-sa, Seoul, Korea, 287-344. 

  30. Yoo, J.H., Koh, S.M., and Moon, D.H. (2011)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ation of key beds for the effective surveys in the Jeonnam clay deposits.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4, 265-2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