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 경험 및 태도 조사
Nursing Students' Perception, Experience and Attitude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1 no.2, 2015년, pp.110 - 118  

임소희 (신성대학교 간호학과) ,  이주영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basic resource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CAT) by examining nursing students' perception, experience, and attitudes toward CA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argeting 230 nursing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은 병원치료와 병행하며 만성통증 및 근골격계질환자에게 보완대체전문가가 시행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경험은 인터넷 및 방송을 통해 정보를 얻었으며, 심리적 안정감과 치료보조를 목적으로 시행하였고, 요가와 마사지 순으로 경험하였다.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는 의료진의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의사소통이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성별, 학년, 보완대체요법의 경험 유무에 따라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4년제 간호대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경험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경험 및 태도에 대해 조사 연구하여 현재 병원치료 이외의 제도권 밖에서 행해지고 있는 보완대체요법이 간호학 영역에서 활용되어 간호중재를 마련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에 활용될 수 있도록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은 병원치료와 병행하며 만성통증 및 근골격계질환자에게 보완대체전문가가 시행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경험 및 태도에 대해 조사 연구하여 현재 병원치료 이외의 제도권 밖에서 행해지고 있는 보완대체요법이 간호학 영역에서 활용되어 간호중재를 마련하고 교육적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에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보완대체요법은 서양에서 한의학을 보완대체의료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한의학이 제도권의 범주에 포함되어 있어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을 제외 시키고 5가지 분류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일 대학의 간호 대학생들의 보완대체요법의 인식, 경험 및 태도에 대하여 파악함으로써 올바른 보완대체요법의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간호중재의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생각하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경험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앞으로 의료인으로서 활동할 간호대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중요하며, 더 나아가 보완대체요법 적용에 긍정적이며 수용적인 태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학문에서의 보완대체요법의 적용, 발전을 위해서 간호학생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경험 및 태도를 파악 하여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과 간호중재를 마련하기 위한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하는 미국 인구 비율은 어느 정도인가? 이에 질병의 치료가 아닌 증상의 조절,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접근을 중요시하는 보완대체요법(Complema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CAT)이 대두되고 있다(Wiliamson, Fletcher, & Dawson, 2003). 미국 인구의 41%, 호주 인구의 69%, 중국 인구의 90% 이상이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1년 69%로 추정되던 보완대체요법 이용인구가 2008년에는 86%로 약 20% 정도가 증가하였다(WHO, 2012). 이러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률이 증가하는 요인은 기존의 서양의학의 한계성, 보완대체요법 이용 시 질병 치유가능성 증가, 대상자들의 안전한 자연 치유법의 요구 증가, 대상자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 제공, 의료비 절감 등으로 나타나 보완대체요법이 대상자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Huber, Koch, Beisner, Zschocke, & Ludtke, 2004; Tseng, Tsai, & Chen, 2003).
보완대체요법의 이용률이 증가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미국 인구의 41%, 호주 인구의 69%, 중국 인구의 90% 이상이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1년 69%로 추정되던 보완대체요법 이용인구가 2008년에는 86%로 약 20% 정도가 증가하였다(WHO, 2012). 이러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률이 증가하는 요인은 기존의 서양의학의 한계성, 보완대체요법 이용 시 질병 치유가능성 증가, 대상자들의 안전한 자연 치유법의 요구 증가, 대상자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 제공, 의료비 절감 등으로 나타나 보완대체요법이 대상자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Huber, Koch, Beisner, Zschocke, & Ludtke, 2004; Tseng, Tsai, & Chen, 2003).
간호대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경험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1) 간호대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을 파악한다. 2) 간호대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경험실태를 파악한다. 3) 간호대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를 파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s, K. E., Cohen, M. H., Esenberg, D., & Jonson, A. R. (2002). Ethical consideration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al therapies in conventional medical setting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7(8), 660-664. doi:10.7326/0003-4819-137-8-200210150-00010 

  2. Choi, S. S. (2006). A study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the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3. Chung, M. S. (2012). Nursing students' attitude toward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and their curriculum expectations regarding i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188-196. doi:10.5977/jkasne.2012.18.2.188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 Davis, M. P., & Darden, P. M. (2003).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y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Archives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7(4), 393-396. doi:10.1001/archpedi.157.4.393 

  6. Gorden. J. S. (1996). Alternative medicine and the family physician. American Family Physician, 45(1), 34-37. 

  7. Huber, R., Koch, D., Beisner, I., Zschocke, I., & Ludtke, R. (2004). Experience and attitudes towards CAM-A survey of internal and psychosomatic patients in a german university hospital.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and Medicine. 10(2), 32-36. 

  8. Hwang, Y. Y. (2004). Nursing students' attitude towards complementary alternative therapy-Q methodological approach.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0(2), 297-307. 

  9. Jang, K. S. (2012). A study on recognition and use of CAM among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10. Jang, E. H., & Park, G. S. (2003). A Comparative Study of Nurses and Physicians" Attitudes abo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5(3), 402-410. 

  11. John, R., & David, K. (2003)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in Canadian medical schools: A survey.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60, 816-818. 

  12. Kang, H. S., Kim, W. O., Kim, J. H., Wang, M. J., & Hyun, K. S. (2009). In-home use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by stroke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5(2), 102-109. 

  13. Kim, H. J., & Hong, S. G. (2014). Nursing students' recognition of complemental alternative medicine and actual condition of use. Journal of the Society of Alternative Medicine, 3(3), 1-9. 

  14. Kim, Y. H. (2004). A study of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The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8(2), 276-285. 

  15. Kim, Y. H. (2005). A comparative study on nursing students' attitude toward establishing course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CA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1), 86-97. 

  16. Kreitzer, M. J., & Snyder, M. (2002). Healing the heart: integrating complementary therapies and healing practices into the care of cardiovascular patients. Progress in cardiovascular nursing, 17(2), 73-80. doi:10.1111/j.1751-7117.2002. tb00272.x 

  17. Lee, K. J., Kim, O. H., Chun, W. J., Roe, M. H., Kang, M. H., Kang, M. J., et al. (2007). A study on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1), 144-154. 

  18. Moore, K. (2010). Rationale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Nursing School Curriculum.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6(6), 611-612. doi:10.1089/acm.2009.0629. 

  19.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What i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0 [cited by 2014 August 10]. Available from http://nccam.nih. gov/health/whatiscam/ 

  20. Nichol, J., Elizabeth, A. T., & Shaw. A. (2011). Beliefs, Decision-Making, and Dialogue Abo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Within Families Using CAM: A Qualitative Study.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7(2), 117-125. doi:10.1089/acm.2010.0171 

  21. Oldendick, R., Coler, A. L., Wieland, D., Raymond, J. L. Probst, J. C., Schell, B. J., et al. (2000). Population-based survey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age, patient satisfaction, and physician involvement. Southern Medical Journal, 93(4), 375-381. 

  22. Park, M. K. (2012). The perception and using experience, receptive attitude of health care provider, patient and guardian towar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Seongnam. 

  23. Rossi, D. I., Lorenzo, G., Malpezzi, M., Faroni, J., Cearino, F., Di Lorenzo, C., & Nappi, G. (2005). Prevalence, pattern and predictors of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migraine patients attending a headache clinic in Italy. Cephalagia: an International Journal of Headache, 25(7), 493-506. doi:10.1111/j.1468-2982.2005.00898.x 

  24. Sadovsky, R. (2003).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al Therapies for Cancer. American Family Physician, 67(9), 1991-1996. 

  25. Son, H. M. (2002). Nurses' attitudes towar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4(1), 62-72. 

  26. Tseng, C. C., Tsai, T. L., & Chen, K. T. (2003). Choanal atersia: An unusual serious complic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al treatment.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29(4), 475-480. doi:10.1001/archotol.129.4.475. 

  27. Vallerand, A. H., Fouladbakhsh, J. M., & Templin, T. (2003). The use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therapies for the self-treatment of pain among residents of urban, suburban, and rural communiti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6), 923-925. doi:10.2105/AJPH.93.6.923 

  28. Wardle, J., Lui, C. W., & Adams, J. (2010).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Rural Communities: Current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The Journal of Rural Health, 28, 101-112. doi:10.1111/j.1748-0361.2010.00348.x 

  29. Wiliamson, A. T., Fletcher, P. C., & Dawson, K. A. (2003).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in an older population.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9(5), 20-28. doi:10.3928/0098-9134-20030501-06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The regional strategy for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2011-2010). WHO. 2012 [cited by 2014 August 10]. Available from http://www.wpro. who.int/publications/PUB_9789290615590/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