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별 대입지원자 감소에 대한 예측연구
A research for forecasting of rate of university quota according to the reducing of young gener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6 no.6, 2015년, pp.1175 - 1188  

김기환 (고려대학교 응용통계학과) ,  이창호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과) ,  최보승 (대구대학교 전산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년 이상 유지된 낮은 합계출산율은 학령인구 감소로 이어져 고등학교 졸업자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고, 교육부는 2014년 1월 향 후 10년간 약 16만 명에 해당하는 대학 입학정원을 강제로 감축하는 대학 구조개혁 추진 계획을 발표였다. 대학의 정원감축은 피할 수 없는 문제이지만, 대학 구조개혁 추진계획의 주된 근거로 교육부가 제시한 것은 통계청의 18세 전국 장래 추계인구와 2014년 전국단위 대학정원의 비교자료뿐이다. 대학정원의 감축이 학생, 대학, 지역경제까지 큰 파장을 미치는 것임을 고려할 때, 교육부의 근거가 세밀하지 못한 것에 아쉬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3 수험생, 재수생을 포함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자를 16개 시도 별로 2032년까지 전망하고 지역별 특성을 비교하였다. 16개 시도 별 현재의 대학정원이 2032년까지 계속된다는 가정 아래서 16개 시도 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자 전망결과를 이용하여 지역별 대학 충원율을 산출을 시도하였으나, 수험생의 지역 간 이동을 반영할 수 없어 현실적인 전망결과를 산출하지 못하였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4학년도 대학배치표 상의 학과순위가 계속 유지된다는 가정에서 전체 일반대학 7,277개 학과 순위를 추정하고, 이 학과들의 정원을 전체 대학 정원에서 차감해 가는 방법으로 지역별 대학 충원율을 2032년까지 산출하였다. 16개 시도 별로 산출된 대학 충원율은 전국단위로 보았을 때보다 지역별 특성과 문제점을 좀 더 확연하게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announced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lans which reduces 160,000 of the university entrance quota during 10 years from January 2014. Because the reduction plans of entrance quota influence regional economy as well as students and universities, naive evide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 정원은 정원 내 충원과 정원 외 충원으로 나눌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정원 내 충원만을 다루고자 하였다. 정원 내 충원율은 년 대입 응시생 수에서 년의 ‘재수/기타’ 응시생의 수를 빼는 것으로 계산하였다.
  • 너무나 분명한 미래이기 때문에 세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대비해야 하는 지역사회 입장에서는 그렇지만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부족한 지역별 연구 즉,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해 발생할 지역별 대학의 충격에 대한 것을 세세히 알아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육부에서는 질적 · 양적 요소로 나누어 대학을 5개 등급으로 평가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명입시학원의 학과 배치표를 대학의 평가 기준으로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정원 감축으로 인한 파장을 고려하여 중요한 정책의 근거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8세 (고3 학생) 인구가 아닌 대입 응시생 수에 초점을 맞추어 대학정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16개 시도의 관점에서 대학정원 감축으로 인한 파장을 평가하여 대학정원감축을 위한 좀 더 세밀한 계량적 근거를 만들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정원 감축으로 인한 파장을 고려하여 중요한 정책의 근거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8세 (고3 학생) 인구가 아닌 대입 응시생 수에 초점을 맞추어 대학정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16개 시도의 관점에서 대학정원 감축으로 인한 파장을 평가하여 대학정원감축을 위한 좀 더 세밀한 계량적 근거를 만들어 보고자 한다.
  • 우리나라 전체 고등학생 수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자. 다음 Figure 2.
  • 이제 전국단위에서 예측한 대학 입학 시험 응시생 수를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광역자치단체로 세분화하여 보자. 지역별 특성에 따라 구분해 보면 먼저 응시생 수가 고3 학생 수보다 많을 것으로 예측된 지역은 서울, 경기이며 응시생 수와 고3 학생 수가 유사할 것으로 예측된 지역은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남, 제주 7개 지역이었으며 마지막으로 응시생 수가 고3 학생 수보다 적을 것으로 예측된 지역은 울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7개 지역이었다.
  • 재수생의 숫자를 반영하는데 있어서는 대학 입학시험 응시생 가운데 재수/기타의 비율을 이용하는 것보다 전년도 고 3학생 응시생 수 대비 재수를 선택하는 학생의 비율이 더욱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Table 2.

가설 설정

  • Bae(2012)에서는 4년제 대학 충원율과 전문대학 충원율을 나누어서 제시하였으며 지역별 충원율을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동남권, 강원권, 제주권 7개 권역으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 비율을 가정한 충원율까지도 제시하였다.
  • 먼저 대학 입학정원에 대한 가설의 경우 현재의 입학정원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 전문대학의 입학정원은 고려하지 않았으며 일반대학의 입학정원만을 고려하였다.
  • 따라서 지역 간 이동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혀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모든 학과를 대상으로 하여 학과 순위에 따라 먼저 정원이 충원된다는 가정하에 가상 실험을 진행하였다. 가상 실험을 위하여 대학 입학 정원과 학과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몇 가지 가정을 설정하였다.
  • 인문계열과 자연계열의 입학 정원 비율도 현재의 비율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2032년까지 같은 비율로 유지될 것이라 가정하였다.
  • 전문대학의 입학정원은 고려하지 않았으며 일반대학의 입학정원만을 고려하였다. 이후 감소하게 되는 입학 정원은 현재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전체 비율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 인문계열과 자연계열의 입학 정원 비율도 현재의 비율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
  • 이후 감소하게 되는 입학 정원은 현재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전체 비율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 인문계열과 자연계열의 입학 정원 비율도 현재의 비율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2032년까지 같은 비율로 유지될 것이라 가정하였다.
  • 첫 번째 방법은 인위적인 정원 조정 없이 완전 경쟁상태에서 정원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였고 두 번째는 교육부에 계획에 따라 매년 같은 비율로 모든 대학의 정원을 줄여나가는데 같은 비율로 차감된다고 가정하였다. 첫 번째 가정은 완전 경쟁상태에 놓이게 되는 상황을 가정한 것이고 두 번째는 완전 계획에 의하여 동등하게 구조조정이 되는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다음 Table 4.
  • 가상실험은 다시 두 가지 상황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인위적인 정원 조정 없이 완전 경쟁상태에서 정원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였고 두 번째는 교육부에 계획에 따라 매년 같은 비율로 모든 대학의 정원을 줄여나가는데 같은 비율로 차감된다고 가정하였다. 첫 번째 가정은 완전 경쟁상태에 놓이게 되는 상황을 가정한 것이고 두 번째는 완전 계획에 의하여 동등하게 구조조정이 되는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년도 고3 학생 대비 재수생 비율의 예측을 위하여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이는 고3 학생의 감소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계속된 고3 학생의 감소로 인해 재수/기타의 비율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과거 값의 평균을 적용하는 것보다는 시계열 모형을 이용하여 예측값을 추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어 전년도 고3 학생 대비 재수생 비율의 예측을 위하여 감쇄추세지수평활법 (exponential smoothing with damping trend)을 사용하였다. 2032년까지 22개 시점 값을 예측하였고 이때 적합 된 모형의 계수는 LEVEL=0.
다른 지역에 비하여 지역 학생 수 대비 많은 대학정원을 갖고 있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강원, 충청, 경북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하여 지역 학생 수 대비 많은 대학정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유입이 이들 지역의 대학충원율을 유지시켜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들 지역은 계속적인 대학 신입생의 유입이 일어나도록 환경을 구축해야 할 것이며, 다른 지역들은 이와 반대되는 정책을 펴야할 것이다.
학령인구란? 학령인구의 감소가 뚜렷해지고 있는 가운데 교육부가 발표한 대학 구조조정 추진 계획에 대하여 대학들을 그 어느 때 보다 긴장된 모습을 보인다 학령인구란 초·중·고·대학에 재학하는 연령대인 만 6세에서 21세까지의 인구를 나타낸 것으로 그동안의 낮은 출산율을 고려한다면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의 정원 감축은 이미 예견된 것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볼 때 이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있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Bae, S. H. (2012). Study on Future changes in demand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of higher education,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Seoul. 

  2. Hwang, Y. J. and Choi, Y. S. (2011).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ing according to the changes predicted population change, Statistics Korea, Daejeon. 

  3. Kim, C. H. (2010). Study on Improve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manpower supply system in accordance with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4. Kim, J. (2011). The proposed algorithm for the student numbers in local governm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2, 1167-1173. 

  5. Lee, H. Y. (2011). Study on the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compared to education sector restructuring strateg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6. Yoon, Y. H. and Kim, J. (2010). Projection number of the graduate student in high school around the capital area and an entrance quota.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523-534. 

  7. Yoon, Y. H. and Kim, J. (2012). Estimations of the student numbers by nonlinear regress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71-77. 

  8. You, H. S. (2009). Research on University Higher Education Restructuring for Competitiveness,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