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뇌신경생물학적 문제로 발생하는 학습 부진 (난독증)검사도구 개발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 for Students with Nurological Problem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1, 2015년, pp.374 - 385  

송홍준 (건양대학교) ,  이병관 (단국대학교) ,  현상태 (대한난독증협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난독증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선행연구 사례를 참조했고, 5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자문을 받아 측정요인과 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조사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뢰도를 확보하기위하여 SPSS 21.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했고, 적합도를 얻기 위해 AMOS 18.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측정요인 8개와 문항 34개를 확보하였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신뢰도 통계량(Crombach ${\alpha}$)은 .922로 매우 높은 값을 얻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절대적 적합지수 GFI=.920, RMR=.057, RMSEA=.062, 증분적 적합지수 CGI=.960, TLI=.977의 결과 값을 얻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등학생 대상 난독증 척도검사 도구는 측정도구로써 적합함을 확인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urpose of study is to develop a dyslexia check list for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To ensure the contents validity, researching related studies was conducted, and then factors and items were made under the 5 experts advisory. The pilot test was done on 265 students who are in middle 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습장애아들 중 뇌신경 생물학적 문제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처치를 하기 위한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런 특징들을 고려하여 뇌 신경 생물학적 문제로 발생하는 학습부진(난독증)의 측정 도구를 만들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습장애아들 중 뇌신경 생물학적 문제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처치를 하기 위한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런 특징들을 고려하여 뇌 신경 생물학적 문제로 발생하는 학습부진(난독증)의 측정 도구를 만들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의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 신경학적 문제에 의해 발생하는 난독증의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이하여 앞서 제시한 절차와 과정으로 안정화 하였다. 그래서 선행연구사례에 대한 분석, [5]에 의해 개발된 초등학생 대상 난독증 척도개발 측정요인을 참고하고, 천안 H대학교, 논산 K대학교 교육심리학 교수 2명, 논산 K대학교 증등특수교육 교수 1명, 대한 난독증 협회 소속 난독증 관련 현장전문가 2명, 총 5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측정요소를 개발하였다.
  • 그런데 국내에선 이런 증상들을 가진 학생들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난독증 조기 진단을 하기 위해 측정도구를 만들었다. 개발된 측정도구는 8개의 측정요인과 3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 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독증이란 무엇인가? 난독증이란 신경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특정학습 장애로서, 단어인지가 정확 유창하지 못하고, 철자와 해독능력이 저조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어려움은 일반적으로 다른 인지 능력 및 효과적인 교수의 제공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되는 수준보다 낮은 음운론적인 언어 요소의 결함에 기인한다.
난독증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요인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난독증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요인은 뇌신경 생물학적요인, 뇌 기능적요인, 인지적요인, 청지각적요인, 시지각적요인, 운음인식적 요인 등 다양하게 언급되고 있다. [24]는 남자우세성, 정상이상의 지능, 여가선용으로서 독서를 즐기지 못함, 단어 뒤집어 읽기, 좌/우 우세성, 언어기호에 대한 시지각적 기억 빈약, 단어 찾기에 청각적 언어 정보사용의 문제, 들은 정도를 문자로 바꾸는 문제, 새 단어의 발음문제, 어휘들의 유사성과 상이성 구별의 문제, 글자들의 발음구별 문제, 독해문제, 읽어서 들었던 것을 학교나 사회적용의 문제, 가족력 등 총 14가지로 제시하였다.
난독증을 가진 사람이 정확하고 빠르게 글자를 인지하고 읽어내는 것에 어려움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눈으로 읽기와 소리 내어 읽기는 밀접한 관계에 있으나, 난독증을 가진 사람은 정확하고 빠르게 글자를 인지하고 읽어내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읽기에 장애를 가진 사람은 소리 내어 읽을 때 연음으로 읽는게 아니고 분절음으로 읽기 때문이다. [26]는 난독증이 비정상적 음운인식 단계로 인한 개별 단어들을 인지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분석, 한나라, 2007. 

  2. 김민정, "발달성 난독증에 대한 신경학적 연구," 특수교육연구, 제8권, 제2호, pp.259-278, 2009. 

  3. 김미화, 서경희, "읽기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과 읽기 유창성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19권, 제4호, pp.381-399, 2003 

  4. 강옥려, 성향 학습 부진학생들의 뇌영상적 진단 및 집행기능 중심 두뇌 훈련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토론(pp.117-123),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3), ADHD 성향 학습부진 학생들의 뇌영상적 진단과 중재 프로그램 처치 효과 (ORM 2013-7) 연구보고서, 교육부, 2013. 

  5. 김윤옥, 변찬석, 강옥려, 우정환, "난독증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학습장애연구, 제11권, 제2호, pp.99-128, 2014. 

  6. 김미경, 서경희, "읽기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과 읽기 유창성 연구," 정서.행동장애 연구, 제19권, 제4호, pp.381-399, 2003. 

  7. 김애화, 김의정, "읽기 부진학생의 읽기 이해점검력 및 읽기 이해 특성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7권, 제4호, pp.101-119, 2006. 

  8. 서봉연, "학습장애 치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제21권, pp.1-77, 1989. 

  9. 이옥경, "인지발달과 문자 및 언어 유형의 관점에서 본 난독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8권, 제1호, pp.80-94, 1995. 

  10. 이홍재, "난독증의 이해: 난독증의 분류와 평가," 한국심리연구, 제17권, 제1호, pp.1-24, 1998. 

  11. 송종용, 원효택, "한글독해장애 아동의 작업기억, 단기기억, 읽기 속도, 통사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제71권, 제2호, pp.105-121, 1998 

  12. 조성호, "난독증 검사기의 설계 및 구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7권, 제5호, pp.913-918, 2006. 

  13. 최소영, "안구운동기법을 활용한 읽기 장애연구의 도입과 전망: 국내연구 현황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제9권, 제2호, pp.121-136, 2012. 

  14. 최훈일, 장영건, 난독증 학습장애아를 위한 철자 및 음운의 청각-시각적 훈련 프로그램 연구, 2008년도 한국재활복지공학회 정기학술발표, pp.49-51, 2008. 

  15. D. V. M. Bishop, "Unfixed reference, monocular occlusion, and developmental dyslexia: a critique,"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Vol.73, No.3, pp.209-215, 1989. 

  16. S. Brady, D. Shankweiler, and V. Mann, "Speech-perception and memory coding in relation to reading-ability,"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goy, Vol.35, No.2, pp.345-367, 1983. 

  17. R. L. Cohen and C. Netley, "Short-term memory deficits in reading-disabled children, in the absence of opportunity for rehearsal strategies. Intelligence," Vol.5, No.1, pp.69-76, 1981. 

  18. M. Critchley, Developmental dyslexia. London, William Heinemann Medical Books Limited, 1964. 

  19. D. D. Duane and D. B. Gray, The reading brain: the biological basis of dyslexia, Parkton, York Press, 1991. 

  20. P. A. Filipek, "Nuroimaging in the developmental disorders: The state of the sci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Vol.40, No.1, pp.113-128, 1999. 

  21. F. W. Fischer, I. Y. Liverman, and D. Shankweler, "Reading reversals and developmental dyslexia-further study," Cortex, Vol.14, No.4, pp.496-510, 1978. 

  22. J. Frank and H. N. Levinson, "Compensatory mechanisms in C-V dysfunction, dysmelia dyslexia and dysplasiam," Academic Therapy, Vol.12, No.1, pp.5-27, 1976. 

  23. N. Geschwind and W. Levisky, "Left-right asymmetry in temporal speech region," Science, Vol.161, pp.186-187, 1968. 

  24. R. P. Harrie and C. Weller, What is dyslexia ? : 1984 digest. ERIC Clearinghouse on Handicapped and Gifted Children, Reston, Va., 1984. 

  25. R. R. Hudson, L. A. High, and S. Otaiba, "Dyslexia and the brain: What does current research tell us ?," The Reading Teacher, 제60 권, 제6호, pp.506-515, 2007 

  26. G. W. Hynd, J. Hall, E. S. Novey, E. Eliopulos, K. Black, and J. J. Gonzalez, "Dyslexia and corpus-callosum morphology," Archives of Neurology, Vol.52, No.1, pp.32-38, 1995. 

  27. W. Lovegrove, F. Martin, and W. Slaghuis, "A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case for a visual defit reading disability," Cognitive Neuropsychology, Vol.3, pp.225-267, 1986. 

  28. M. S. Livingstone, G. D. Rosen, and F. W. Drislane, "Physiological and anatomical evidence for a magnocellular defect in developmental dyslexi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Vol.88, pp.7943-7947, 1991. 

  29. I. Y. Liberman, "Basic research in speech and lateralization of language: Some implications for reading disability," Bulletin of the Orton Society, Vol.21, pp.71-87, 1971. 

  30. M. Mody, M. StuddaertKenndy, and S. Brady, "Speech-perception deficits in poor readers: Auditory processing or phonological coding?,"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17, No.2, pp.150-163, 1997. 

  31. S. Naidoo, Specific dyslexia: the research report of the ICAA Word Blind Center for dyslexia children, J. Wiley, 1972. 

  32. S. Newman, J. F. Wadsworth, R. Archer, and R. Hockly, "Ocular dominance, reading, and spelling ability in schoolchildren,"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Vol.69, No.3, pp.228-232, 1985. 

  33. C. Njiokiktjien, L. Desonneville, and . Vaal, "Callosal size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Behavioural Brain Research, Vol.64, No.2, pp.213-218, 1994. 

  34. J. C. Nunnally and I. 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3rd ed.), Mcgraw-Hill, 1994. 

  35. G. G. Javier, "The evolution of research on dyslexia," Anuario de Psicologia, Vol.32, No.1, pp.3-30, 2001. 

  36. R. K. Olson, J. P. Rack, F. A. Conners, J. C. DeFries, and D. W. Fulker, Genetic etiology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disability, In L. V. Feagans, E. F. Short, & L. J. Meltzer(Eds.), Sub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pp.113-135), Hillsdale, Lawrence Erlbaum, 1991. 

  37. S. T. Orton, Reading, writing, and speech problems in children, Norton, 1937. 

  38. B. F. Pennington, P. A. Filipek, D. Lefly, J. Churchwell, D. N. Kennedy, J. H. Simon, and C. M. Filley, "Brain morphometry in reading disabled twins," Neurolgoy, Vol.53, No.4, pp.723-729, 1999. 

  39. L. M. Rumsey, M. Casanova, G. B. Mannheim, N. Patronas, N. DeVaughn, S. D. Hamburger, and T. Aquino, "Corpus callosum morphology, as measured with MRI, in dyslexic men," Biological Psychiatry, Vol.39, No.9, pp.769-775, 1996. 

  40. J. M. Rumsey, B. Horwitz, B. C. Donohue, K. L. Nace, J. Maisong, and M. P. Andreason, "A functional lesion in developmental dyslexia: Left angular gyral blood flow predicts severity," Brain and Language, Vol.70, No.2, pp.187-204, 1999. 

  41. P. Tallal, S. Miller, and R. H. Fitch, "Neurobiological basis of speech: A case for the preeminence of temporal processing," Irish Journal of Psychology, Vol.16, No.3, pp.194-219, 1995. 

  42. A. A. Tomatis, Education of dyslexia, Paris: ESF, 1972. 

  43. M. E. Thomson, Developmental dyslexia, Baltimore, Edward Arnold, 1984. 

  44. J. K. Torgesen, B. R. Foorman, and R. K. Wagner, Dyslexia: A brief for educators, parents, and legislators in Florida, FCRR Technical Report #8, 2007. 

  45. I. T. Schweizer, "Orton Revisited," Reading Teacher, Vol.28, No.3, pp.295-297, 1974. 

  46. S. E. Shaywitz, M. D. Escobar, B. A. Shaywitz, J. M. Flether, and R. Makuch, "Evidence that dyslexia may represent the lower tail of normal-distribution of reading-ability," New Engaland Journal of Medicine, Vol.326, No.2, 1992. 

  47. F. R. Vellutino,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dyslexia-evidence in support of a verbal-deficit hypothesis,"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47, No.3, pp.334-354, 1977. 

  48. F. R. Vellutino, Dyslexia: Theory and research, Cambridge, MIT Press, 1979. 

  49. C. R. Wilsher, "Dyslexia and monocular occlusion," The Lancel, Vol.2, No.8460, pp.8883-8903, 1985. 

  50. M. Wolf, "Naming, reading, and the dyslexias - a longitudinal overview," Annals of dyslexia, Vol.34, pp.87-115, 1984. 

  51. N. Zigmond, Intersensory and intrasensory process in normal and dyslexic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196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