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패션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적 자본 및 공동체의식 형성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ense Formation for the Sustainability of Fashion Social Enterprises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9 no.5, 2015년, pp.157 - 174  

나윤규 (중앙대학교 예술문화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tends to observ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regarding fashion social enterprises on the community sense of participating consumers, and verify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s that such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ense have on sustainability formation variable(shared values, su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 운영자와 사회적 책임 활동을 하는 연구자들에게 소비자의 동기요인과 그러한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요인을 사회적 자본과 공동체 의식의 측면에서 제시했다. 하지만 본 연구 변인인 외에도 고려하지 못한 측정요인과의 관계를 단계적으로 파악하고 검증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패션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공동체의식 차원의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사회적 기업의 관계 마케팅에서 연구되지 않았던 사회적, 정서적 영향력이 패션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형성과정에 필요함을 검증했다. 특히, 이러한 교류와 연결의 동기요인들이 패션 사회적기업의 기회와 접촉의 가능성을 확대시켜,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계형성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상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패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사회적 자본 형성 동기와 소비자와의 공동체 의식 형성 요인과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 형성관련 변수(공유가치, 가치적합성, 행위적 몰입, 인지적 믿음 및 장기관계지향성)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통해 패션 사회적 기업의 긍정적인 지속가능성에 대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상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패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사회적 자본 형성 동기와 소비자와의 공동체 의식 형성 요인과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 형성관련 변수(공유가치, 가치적합성, 행위적 몰입, 인지적 믿음 및 장기관계지향성)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통해 패션 사회적 기업의 긍정적인 지속가능성에 대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그리고 대체적으로 공동체의식도 공동체가 가지는 공동의 목적과 이해, 사회구성원간의 의사소통, 정서적 결속감, 상호의존성 등의 핵심 요소를 근거하여 규정되고 있다(Reich, Subrahmanyam, & Espinoza,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 사회적 기업에 대한 공동체의식을 단순히 개인적이고 지역적인 차원이 아닌, 소속감과 상호헌신, 연대의식 등의 정서적 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의 유지, 발전 및 참여를 위한 실천적인 개념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cMillan and Chavis(1986)의 척도를 기준으로 멤버쉽, 상호영향, 욕구의 통합 및 충족, 공유된 정서적 연대의 개념을 포괄하는 관계의 맥락에서 패션 소비자의 공동체의식을 체계화한다.
  • 본 연구는 패션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공동체의식 차원의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사회적 기업의 관계 마케팅에서 연구되지 않았던 사회적, 정서적 영향력이 패션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형성과정에 필요함을 검증했다. 특히, 이러한 교류와 연결의 동기요인들이 패션 사회적기업의 기회와 접촉의 가능성을 확대시켜,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계형성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패션 사회적 기업과 소비자의 지속가능성 행위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구성개념인 공유가치, 가치적합성, 행위적 몰입, 인지적 믿음 및 장기 관계지향성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 실증 분석을 통하여, 패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소비자 행동 및 사회 심리학적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는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이러한 영향관계를 통해 장기관계지향성를 형성하는 통합적인 구조적 모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가설 설정

  • H4. 패션 사회적 기업에 대한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가치적합성이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패션사회적 기업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현재 ‘The Street Style Surgery’, ‘People Tree’, ‘Kuyichi’, ‘Sari’, ‘Freitag’ 등의 글로벌 패션 사회적 기업들은 자체 브랜드력을 가지고 다양한 사회적 가치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국내에서도 봉제 노동자의 일자리 제공과 교육, 훈련을 제공하는 '수다공방', 윤리적 패션을 통한 환경 및 노동 가치 지향을 목표로 한 '오르그닷' 등의 패션사회적 기업이 활동 중에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 사회적기업은 브랜드 자생력보다는 정부지원에 의지하는 초기 단계로 밖에 볼 수 없으며, 게다가 일반 사회적 기업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연구들에 비해 패션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제한되어 있으며, 패션산업 내에서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연구들도 주로 사회적 기업이 아닌 일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의 형태적 관계에만 집중되어온 아쉬움이 있다(Kang & Kim, 2012).
사회적 자본은 무엇인가?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은 네트워크 내의 행위 자들 간의 관계 속에 내재된 일련의 자원이며, 상호 이익을 위하여 제도화된 네트워크들의 중첩된 관계에서 나타나는 실재적인 자원들의 총합이다(Bourdieu & Wacquant, 1992). 이에 이러한 사회적 자본은 네트워크 구조의 파악, 네트워크 내에 행위자들 간의 관계의 질, 그리고 공유된 언어와 문화관계 속에서 더 잘 이해될 수 있다(Inkpen & Tsang, 2005).
국내에서 활동 중인 패션사회적 기업은 무엇이 있는가? 현재 ‘The Street Style Surgery’, ‘People Tree’, ‘Kuyichi’, ‘Sari’, ‘Freitag’ 등의 글로벌 패션 사회적 기업들은 자체 브랜드력을 가지고 다양한 사회적 가치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국내에서도 봉제 노동자의 일자리 제공과 교육, 훈련을 제공하는 '수다공방', 윤리적 패션을 통한 환경 및 노동 가치 지향을 목표로 한 '오르그닷' 등의 패션사회적 기업이 활동 중에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 사회적기업은 브랜드 자생력보다는 정부지원에 의지하는 초기 단계로 밖에 볼 수 없으며, 게다가 일반 사회적 기업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연구들에 비해 패션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제한되어 있으며, 패션산업 내에서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연구들도 주로 사회적 기업이 아닌 일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의 형태적 관계에만 집중되어온 아쉬움이 있다(Kang & Kim,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breu, A., Macedo, P., & Camarinha-Matos, L. M. (2009). Elements of a methodology to assess the alignment of core-values in collaborative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47(17), 4907-4934. 

  2. Alder, P. S., & Kwon, S. W. (2002). Social Capital: Prospects for a New Concep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7(1), 17-40. 

  3. Becker-Olsen, K. L., Cudmore, B. A., & Hill, R. P. (2006). The impact of perceiv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39, 46-53. 

  4. Bourdieu, P., & Wacquant, L. J. D. (1992). Reponses: pour une anthropologie reflexive. Paris, FR: Ed. du Seuil. 

  5. Cho. Y. B., Yang, Y. H., & Kim, H. W. (2008). A Policy Direction for Creating and Fostering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 Studies, 1(2), 61-89. 

  6. Chun. S. H. (2006). New trend of enterprise culture innovation. L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902, 16-20. 

  7. Collins, J. C., & Porras, J. (1996). Building your company's vision. Harvard Business Review, September-October, 65-77. 

  8. Dalton, J., Elias, M,. & Wanderman, A. (2008). Community psychology: Linki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 Stanford, CT: Wadsworth. 

  9. Ellison, N. B., Steinfield, C., & Lampe, C. (2007).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12, 1143-1168. 

  10. Ferguson, K. M. (2006). Social capital and children’s wellbeing: a critical synthesis of the international social capit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15, 2-18. 

  11. Han, J. W., Yoo, C. W., & Choe, Y. C. (2009). The factors to promote internet knowledge sharing: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and self-expression concept.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6(1), 153-180. 

  12. Hinds, P., & Mortensen, M. (2005). understanding conflict in geographically distributed team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rganization Science, 16, 290-307. 

  13. Hwang, H. Y., Choi, Y. K., Kim, Y. G., & Kim, W. (2005). The effect of trust in peers on team performanc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18(1), 1515-1539. 

  14. Inkpen, A. C., & Tsang, E. W. (2005). Social capital, networks and knowledge transfe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46-165. 

  15. Jang. Y. S., & Kim, J. G. (2006). A Study on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Perception on Knowledge Activities by Financial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30(1), 59-91. 

  16. Jeong, G. J., Seo, I. S., & Jang, H. S. (2013).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22(1), 171-202. 

  17. Kang, J. H., & Kim, H. H. (2012). Developing a Scale for Measur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 Fashion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6), 67-79. 

  18. Kim, J. H., & Lee, J. H. (2010). Effect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Donor's Relationship Quality on Relationship Inten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5(3), 359-399. 

  19. Kim, W. T. (2001).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in social participation on the citizenship in the high school.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1), 49-88. 

  20. Lee, K. H., Oh, H. S., & Chung, M. H. (2008). Relational leadership and individual performance: Intergration LMX and social network perspectives. Korea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1(4), 545-573. 

  21. Lee, Y. H., Kim, A. K., Yoo, H. G., & Kim, M. R. (2007). Social capital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II): social capital of enterprises and corporate. KRIVET, 14, 259. 

  22. Lim, S. Y., & Park, S. Y. (2009).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Effect of Core Value.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1(3), 253-275. 

  23. Lin, K. Y., & Lu, H. .P. (2011). Why people use social networking sites: An empirical study integrating network externalities and motivation theor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 1152-1161. 

  24. McMillan, D. W.,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25. Moshe, S., & Lemer, M. (2006). Gauging the success of social ventures initiated by individual social entrepreneurs. Journal of World Business, 41(1), 6-20. 

  26. Morrow, P. C. (1993). The theory and measurement of work commitment. Greenwich, CT: JAL Press. 

  27. Oh, M. O. (2009). The Sustainable Growth Plan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nterprise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31, 79-98. 

  28. Park, G. N. (2009). The Effect of Youth participation on a Sense of Commun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10), 273-306. 

  29. Park. J. C., & Fang, G. Z. (2012).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the Formation of Trust: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Korean-Chinese Consumers. Consumption Culture Study, 15(4), 101-121. 

  30. Park, J. S. (2010).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adolescents' training activity, voluntary service,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4), 157-182. 

  31. Park. K. H., & Cho, C. H. (2004). The role of shared value in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rofessional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job satisfaction.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Journal, 46, 2263-2290. 

  32. Park, S. H., & Kim, D. J. (2011). The moderation effects of vision fit on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ts antecedences in social enterprise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8(3), 24-53. 

  33. Park. S. M. (2000).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New Intellectual Capital.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1), 171-203. 

  34. Peterson, N. A., Speer, P. W., & McMillan, D. W.(2008). Validation of a brief sense of community scale: confirmation of the principal theory of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6(1), 61-73. 

  35. Rhee, H. J., & Ryu, S. H. (2012). Effects of Social Values of Social Enterprises on Attitude towards Social Enterprises and Purchase Intention: Mediating Effects of Identification.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14(1), 197-216. 

  36. Reich, S., Subrahmanyam, K., & Espinoza, G. (2009). Adolesc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ing sites-should we be concerned? Denver, CO: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37. Revanera, Z., & Rajulton, F. (2010). Measuring social capital and its differentials by family structures. Social Indicator Research, 95, 63-89. 

  38. Sim, J. B. (2006). A study on value-congruence,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in the on-line environ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39. Song, J. S., & Yoo. T. Y. (2005). Th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value fit on person's attitude and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8(2), 361-384. 

  40. Spear. R., & Bidet. E. (2005). Social Enterprise for work intergration in 12 European countries: A descriptive analysis. Annals of Public and Cooperatives Economics, 76(2), 195-231. 

  41. Uphpff, N., & Wijayarayna, C. M. (2000). Demonstrated benefits from social capital: The productivity of farmer organizations in Gal Oya. Sri Lanka Development, 28(11), 1875-1890. 

  42. Yang, L. N. (2004). A Study of Oriented Value and Shared Value in Employees for the Clothing Enterpris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2), 239-248. 

  43. Zhang, J., & Bloemer, J. M. (2008). The impact of value congruence on consumer-service brand relationships. Journal of Service Research. 11(2), 161-1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