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Focusing on Compani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5, 2021년, pp.668 - 680  

이정연 (성균관대학교 예술학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회적기업의 성공적인 정착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들이 중요한 화두가 되면서 사회적기업 관련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문화예술분야에 특정하여 사회적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지속가능성을 탐구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성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근거이론을 이용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범주화를 도출하였으며, 범주들 간의 통합을 도식화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여 수익구조를 구체화하고 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간 네트워크 강화와 연대를 통해 제도적 지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가나 준비 중인 예비 창업가들이 현장(field)에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에 대한 실증연구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수행을 통해 더욱 유의미한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easures for successful settlement and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have become an important topic. Accordingly, research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are increasing, but studies measuring sustainability are still insufficient. In this study, in order to seek the sustainability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과 창출을 위한 전략모형을 설계함으로써, 문화 예술 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실무적 제언을 마련하고, 정부의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의 지원 방향을 재정립하기 위한 정책적인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가나 준비 중인 예비 창업가들 이 현장(field)에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써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기업에 대한 실증연구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모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참여자인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기업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 면담 내용을 분석한 후, 자료의 초기 범주화를 위한 개방 코딩을 통해 반복적 비교 분석 과정를 거쳐 개념과 범주를 명명하고 유사한 개념들끼리의 범주화를 반복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 사회적기업 공연예술 장르 분야의 대표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한 후 근거이론 방법론에 따라 내용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과 창출을 위한 전략모형을 설계함으로써, 문화 예술 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실무적 제언을 마련하고, 정부의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의 지원 방향을 재정립하기 위한 정책적인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가나 준비 중인 예비 창업가들 이 현장(field)에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써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기업에 대한 실증연구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에 본 절에서는 도출된 분석 내용을 토대로 문화 예술 분야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시사점과 제언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한세억,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7, No.1, pp.115-154, 2017. 

  2. 예술경영지원센터, 2015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실태조사, 2015. 

  3. 박진아, 최명길, 정재엽, "사회적 기업가정신, 사회적 네트워크, 정부지원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제30권, 제6호, pp.75-95, 2016. 

  4.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20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실태조사, 2020. 

  5. 연수현,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경제조직의 지속가능성 연구, 한국문화관광 연구원, 2018. 

  6. 이영범, 박성우, 남승연, 정무권, "근거이론을 통한 사회적기업의 지속발전 모형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2권, 제4호, pp.355-387, 2012. 

  7. 김종수, "문화영역 사회적기업의 역할," 행정언어와 질적연구, 제1권, 제1호, pp.97-120, 2009. 

  8. 최유진,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문화콘텐츠연구, 제4호, pp.7-32, 2014. 

  9. 노태협, "사회적기업의 지속 가능성: 문화로 놀이짱 사례,"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1호, pp.87-95, 2017. 

  10. 장구보, 이해준, "예술인의 일자리창출을 위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경제조직 사례연구-무용, 연극, 국악단체를 중심으로," 한국무용학회지, Vol.17, No.2, pp.1-14, 2017. 

  11. 권순봉, 정재엽, 최명길, "문화예술 사회적기업의 창업의도 영향요인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31권, 제5호, pp.259-283, 2016. 

  12. B. Luke and V. Chu, "Social enterprise versus social entrepreneurship: An examination of the 'why'and 'how'in pursuing social change,"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Vol.31, No.7, pp.764-784, 2013. 

  13. DTI, A strategy for success. London,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2002. 

  14. 류정아,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국내외 사례 조사 및 활성화 방안, 한국문화관광 연구원, 2011. 

  15. 이광우,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16. M. Jonathan and P. Tracey, "Strategy Making in Social Enterprise: The Role of Resource Allocation and Its Effects on Organizational Sustainability," Systems Research and Behavioral Science, Vol.27, No.3, pp.252-266, 2010. 

  17. A. Kerlin, Janell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lobal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Voluntas. Vol.21, No.2, pp.162-179, 2010. 

  18. B. A. Weisbrod, "The Future of the Nonprofit Sector: Its Entwining with Private "Enterprise and Government,"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Vol.16, No.4, pp.541-555, 1997. 

  19. J. Bebbington and R. Gray, "An account of sustainability: failure, success and a reconceptualiza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accounting, Vol.12, No.5, pp.557-588, 2001. 

  20. J. H. Joo, M. M. Sin, and T. I. Eom, "Business Ecosystems as a New Source of Competitiveness and a Role of Social Capital,"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3, No.4, pp.93-117, 2014. 

  21. 전은영, 변병설, "사회적기업의 특성이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9권, 제2호, pp.69-96, 2017. 

  22. 예술경영지원센터, 2020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실태조사, 2019. 

  23. 고용노동부, 예술경영지원센터,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인증가이드, 2010. 

  24. 이연수, "무용예술분야 예비 사회적 기업의 지속경영을 위한 사례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지, Vol.29, pp.111-125, 2013. 

  25. 김명희, "공예분야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인도 인더스트리 크래프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pp.73-83, 2014. 

  26. S.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Revised and Expanded from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Jossey-Bass Publishers, 350 Sansome St, San Francisco, CA 94104, 1998. 

  27. 김민선, 박은실, "학업중단 청소년의 예술치유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 신체활동을 수반한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Vol.15, No.4, pp.127-149, 2020. 

  28. J. Corbin, A. Strauss,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008. 

  29.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2012. 

  30. 이은진, "문화예술과 사회적기업의 공생 가능성," 플랫폼, pp.24-30, 2010. 

  31. 김수진, 김남숙,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 간의관계에서 사회공헌활동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pp.771-782, 2021. 

  32. 서순복, "문화예술 사회적기업 운영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159-169, 2012. 

  33. 전현수, 최균, "사회적기업의 조직역량이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 경제적 성과의 조절효과 분석," 사회적기업연구, Vol.13, No.3, pp.139-166, 2020. 

  34. 한상우, 허종구, "경남지역 문화예술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정책포커스, 2012 May, pp.1-41, 2012. 

  35. 조남규, 최자인, "국내 문화예술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생태계 현황 및 사례 비교분석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4, pp.39-54, 202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