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헛개나무를 이용한 모주의 품질 특성 및 생리활성(in vivo) 효능 검증
Quality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oju Made with Hovenia dulcis Thunb.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1, 2015년, pp.1599 - 1606  

박연희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옥경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초롱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연수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 함량을 달리한 모주를 제조한 후 관능검사를 통해 최종 레시피를 선정하였으며, 개발 모주를 실험군, 일반 모주를 대조군으로 하여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리활성 검증을 위한 동물실험은 6개의 군[증류수섭취군(NC), 알코올섭취군(EC), 알코올+일반 모주 저농도섭취군(MCL), 알코올+일반 모주 고농도섭취군(MCH), 알코올+헛개나무 모주 저농도섭취군(MDL), 알코올+헛개나무 모주 고농도섭취군(MDH)]으로 나눠 실시하였다. 헛개나무 모주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86.77 g/100 g, 탄수화물 11.86 g/100 g을 함유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화학적 분석결과 수율 60%, pH 4.91, 산도 0.28%, 당도 $12.63^{\circ}Brix$, 환원당 68.97 mg/mL, 알코올 농도 0.1%, 알코올 밀도 $0.998g/cm^3$로 측정되었으며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SOD 활성은 헛개나무 모주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헛개나무 모주를 실험동물(ICR mice)에게 4주 동안 투여한 결과 혈중 중성지방은 알코올섭취군(EC)에 비해 헛개나무 모주 저농도섭취군(MDL), 헛개나무 모주 고농도섭취군(MDH)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고,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알코올섭취군(EC)에 비해 헛개나무 모주 저농도섭취군(MDL), 헛개나무 모주 고농도섭취군(MDH)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콜레스테롤은 알코올섭취군(EC)에 비해 헛개나무 모주 저농도섭취군(MDL), 헛개나무 모주 고농도섭취군(MDH)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간 중 중성지방은 에탄올섭취군(EC)과 비교하여 일반 모주 저농도섭취군(MCL)과 헛개나무 모주 저농도섭취군(MDL)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는 헛개나무 모주를 개발하고, 개발된 모주의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및 체내 지질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헛개나무를 이용한 모주가 무알코올 음료 및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ju made with Hovenia dulcis Thunb. and its physiological effects on ICR mice. According to the sensory score, we selected Moju made with 1% Hovenia dulcis Thunb. among Moju made with 0, 0.5, 1, 5, and 10% Hovenia dulcis Thunb.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헛개나무를 전주지역의 전통주인 모주에 활용하여 건강기능성 모주 및 무알코올 음료로써 모주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헛개나무 모주를 제조한 후 관능적, 이화학적 분석 및 항산화 활성과 동물실험을 통한 생리활성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헛개나무는 무엇인가?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일명 호리깨나무, 허리깨나무, 지구 (枳俱), 백석목(白石木), 목밀(木密), 현포리(玄圃梨)라고도 한다. 열매는 갈색이 돌고 단맛과 은은한 향기를 가지며, 알코올 분해 효과 및 간 손상 예방 효과(6-8)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주는 무엇인가? 그중 약재의 잎이나 뿌리 등을 부원료로 이용한 건강기능성 주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천연식물류를 첨가하여 알코올 해독과 건강 보조 및 질병 예방 등의 기능성을 추구한 약주 등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1,2). 모주는 막걸리에 인삼, 칡, 감초, 계피, 대추, 생강 등 생약재와 흑설탕을 넣고 일정 시간 교반가열한 후 여과해서 만드는 저농도 알코올성 음료이다. 모주의 유래는 몇 가지가 있는데 ‘대비모주설’이 가장 대표적으로 조선조 광해군 때 인목대비의 모친이 제주도로 귀양가서 술지게미를 재탕한 막걸리를 만들어 섬사람들에게 팔아 이를 대비(大妃) 모주라 부르다 나중에 모주라 불렀다는 것이다(3).
헛개나무 열매의 특징은 무엇인가? )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일명 호리깨나무, 허리깨나무, 지구 (枳俱), 백석목(白石木), 목밀(木密), 현포리(玄圃梨)라고도 한다. 열매는 갈색이 돌고 단맛과 은은한 향기를 가지며, 알코올 분해 효과 및 간 손상 예방 효과(6-8)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헛개나무 잎과 줄기 등에서도 생리활성 물질이 보고되어(9,10) 그 효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헛개나무 열수 추출물에서 분리된 3-methoxy-4-hydroxybenzoic acid와 3-methoxy-4-hydroxycinnamic acid는 항산화 및 항균 작용(11)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ang KS, Yu YJ. 1981.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sogukju and commercial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07-313. 

  2. Cha JY, Cho YS. 2001. Biofunctional activities of citrus flavonoid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122-128 

  3. Jo JH. 1999. The recovery of our traditional liquor. Seohaemunjib, Seoul, Korea. p 168. 

  4. Lee BY, Kim SJ, Doo HS, Kwon TH, Kim JW. 2011.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oju sold at restaurants located in Jeonju. Korean J Food Preserv 18: 907-915 

  5. Kwon YH, Jo SJ, Kim HR, Lee HJ, Kim JH, Ahn BH.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compounds in Jeonju Mo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03-508. 

  6. Choi JY, Kim JH, Kim G, Kim CK, Choi MS. 2014. Effect of fermented Hovenia dulcis Thunb fruit water extract on biomarker for liver injury and body weight changes in rats given oral administration of ethanol. Korean J Food Preserv 21: 412-420. 

  7. Kim MH, Chung YT, Lee JH, Park YS, Shin MK, Kim HS, Kim DH, Lee HY. 2000.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cis THUNB from Korea and Chin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225-233. 

  8. An SW, Kim YG, Kim MH, Lee BI, Lee SH, Kwon HI, Hwang B, Lee HY. 1999. Comparison of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ing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cis THUNB and Alnus japonica Steud. Korean J Medicinal Crop Sci 7: 263-268. 

  9. Lee SE, Bang JK, Seong NS. 2004.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venia dulcis Thunb. cortex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79-84. 

  10. Park SH, Chang EY, Chang JS, Yoon KY. 2009. Protective effect of Hovenia dulcis Thumb leaves extract on hepatic injury induced by benzo( ${\alpha}$ )pyrene in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69-573. 

  11. Cho JY, Moon JH, Park KH. 200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3-methoxy-4-hydroxybenzoic acid and 3-methoxy- 4-hydroxycinnamic acid from hot water extracts of Hovenia dulcis Thunb and confirmation of their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03-1408. 

  12. Choi S, Park GS. 2005. A study on the noodle quality made from Hovenia dulcis composite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586-1592. 

  13. Kim HH, Park GS, Jeon JR.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Sikhe prepared with extracts from Hovenia dulcis THUNB.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48-857. 

  14. Hwang S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 containing different amount of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520-525. 

  15. Won SB, Oh KH, Jung SY, Song HS. 2012. Sensory evaluation of Hutgae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for soy sauce development. Korean J Food & Nutr 25: 266-273. 

  16. Lee JK, Jo HJ, Kim KI, Yoon JA, Chung KH, Song BC, An JH. 201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the fruit of Akebia quinata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619-627. 

  17. Jeon MH,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44-449. 

  18. Choi KW, Lee JK, Jo HJ, Lee KJ, Yoon JA, An JH, Chung KH. 2013.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made with loquat fruits (Eriobotrya japonica Lindl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975-982. 

  19. Lee JS, Lee JS. 2007. Physiological function and development of beverage from Grifola frondos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241-1247. 

  20. Park GS, Kim HH. 2005.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extract from leaf, fruit stalk and stem of Hovenia dulcis Thunb.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65-70. 

  2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Chapter 45, p 70. 

  22. Kato A, Minoshima Y, Yamamoto J, Adachi I, Watson AA, Nash RJ. 2008. Protective effects of dietary chamomile tea on diabetic complications. J Agric Food Chem 56: 8206- 8211. 

  23. Tung YT, Wu JH, Hsieh CY, Chen PS, Chang ST. 2009. Free radical-scavenging phytochemicals of hot water extracts of Acacia confusa leaves detected by an on-line screening method. Food Chem 115: 1019-1024. 

  24. Lanoix D, Lacasse AA, Reiter RJ, Vaillancourt C. 2013. Melatonin: the watchdog of villous trophoblast homeostasis against hypoxia/reoxygenatio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Mol Cell Endocrinol 381: 35-45. 

  25. Moon YJ, Cha YS. 2008. Effects of persimmon-vinegar on lipid metabolism and alcohol clearance in chronic alcoholfed rats. J Med Food 11: 38-45. 

  26. 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27. Park CS,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28. Lee JW, Shim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during freezing storage. Food Eng Prog 14: 328-334. 

  29. Song JC, Park HJ, Shin WC. 2006. Suppression of solid matters precipitation of Takju and its quality improvement by carrageenan. Korean J Food & Nutr 19: 288-295. 

  3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31. Park YM, Kim SJ, Jo KH, Yang EJ, Jung ST. 2006. Anticari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medicinal herb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84-293. 

  32. Joo SY.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pla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512-519. 

  33. Masaki H, Sakaki S, Atsumi T, Sakurai H. 1995.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34. Baraona E, Lieber CS. 1972. Effects of chronic ethanol feeding on serum lipoprotein metabolism in the rat. J Clin Invest 49: 769-778. 

  35. Lee JS, Kim NY, Lee KH, Kim GS, Park HJ, Choi JW, Kim SH. 2000. Effects of flower of Pueraria lobata on lipid peroxidation and activities of alcohol metabolic enzymes in alcohol-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35-942 

  36. Rifkind BM, Tamir I, Heiss G, Wallace RB, Tyroler HA. 1979. Distribution of high density and other lipoproteins in selected LRC prevalence study populations: a brief survey. Lipids 14: 105-112. 

  37. Hong YL, Kim MH, Ahn C, Lee HY, Kim JD. 2000.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Hovenia dulcis Thumb. J Agr Sci 11: 1-11. 

  38. Decarli LM, Lieber CS. 1967. Fatty liver in the rat after prolonged intake of ethanol with a nutritionally adequate new liquid diet. J Nutr 91: 331-336. 

  39. Lieber CS, Jones DP, DeCarli LM. 1965. Effects of prolonged ethanol intake: production of fatty liver despite adequate diets. J Clin Invest 44: 1009-10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