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 분해 효소를 이용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이 알코올 분해에 미치는 영향
Increased Alcohol Decomposition Efficacy of Hoveina dulcis Extract by Carbohydrate-Hydrolyzing Enzym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2 no.4, 2012년, pp.473 - 479  

이경석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김애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이기영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당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효소처리 시 알코올 분해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당분해효소인 Maxinvert(invertase), Optidex L-400(glucoamylase), Rohament CL(cellulase & pectinase)를 각각 농도별(0.01, 0.05, 0.1, 0,5, 1%)로 첨가하여 48시간 효소처리 하면서 6시간 간격으로 sample을 채취해 ADH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효소 농도가 높을수록 효소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활성이 높아졌다. Maxinvert 효소 처리 시 기존의 활성보다 약 10% 증가하여 가장 낮은 활성 증가를 보였고, Rohament CL 효소를 1% 첨가하여 효소처리할 경우, 기존의 활성에 비해 효소 활성이 67% 증가한 것으로 가장 많은 효소 활성 증가를 보였다. Rohament CL 효소를 1% 첨가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다가 30시간대부터 활성의 증가가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로 보아 36시간까지 효소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Rohament CL 효소 1% 첨가하여 36시간 효소 처리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동물 실험임상 실험을 실시한 결과, control군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군에 비해 알코올 농도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알코올 섭취 초기에 그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보아 효소 처리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이 기존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에 비해 더 많은 체내 알코올 농도 감소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되며, 음주 초기에 더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이는 기존의 배당체(glycoside) 형태로 존재하던 생리활성 물질이 당 분해 효소에 의해 당이 분해된 무배당체(aglycone) 형태로 전환되어 그 활성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사료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ncreased alcohol decomposition efficacy (ADH) of Hoveina dulcis extract by Carbohydrate-Hydrolyzing Enzymes was investigated. Carbohydrate decomposition enzymes such as Maxinvert (Invertase), Optidex L-400 (Glucoamylase) and Rohament CL (Cellulase & Pectinase) were added to Hoveina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들어 이러한 배당체 (glycoside) 형태의 물질을 무배당체(aglycone) 형태로 전환시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Choi et al(1999)은 대두 요구르트제조에서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가수분해를 연구하였고, Kang et al(2005)은 산 분해를 이용하여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분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당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효소처리 함으로써 기존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에 비해 당 분해 효소 처리한 헛개나무 열매 추출 물의 알코올 분해 효과가 증대되는지는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당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효소처리 시 알코올 분해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당분해효소인 Maxinvert(invertase), Optidex L-400(glucoamylase), Rohament CL(cellulase & pectinase)를 각각 농도별(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깨나무 열매 성분 중 알코올 분해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은? 헛개나무에 관한 연구로는 민간요법으로 헛개나무 잎, 줄기 및 열매로 만든 차가 주독 제거 및 과음 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황달, 지방간, 간경화증, 위장병 등의 간 기능 보호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Hong et al 2000). 또한 헛개나무 열매에서 분리한 dihydromyricetin는 알코올 분해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Mssayuki et al 1996), 헛개 나무 열매 추출물에서 분리한 hovenodulinol을 이용한 동물 실험 결과, 알코올 분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ong et al 2000). Hase et al(1997)은 쥐에 간염을 유발한 후에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경우, 간염 치료 효과를 보고하였고, Sakai et al(1987)은 헛개나무 추출물이 알코올 투여한 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민간요법에서 헛개나무 잎, 줄기 및 열매로 만든 차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 헛개나무(Hovenia dulcis)는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높이가 10~20 m, 직경 40~80 cm 내외로 자라는 나무로 헛개나무, 호깨나무, 호리깨나무라고 불리며, 열매는 10~11월경에 갈색으로 열리고, 과경 끝에 8 mm 정도로 3개의 방에 윤채가 있는 종자가 각각 1개씩 들어 있다. 헛개나무에 관한 연구로는 민간요법으로 헛개나무 잎, 줄기 및 열매로 만든 차가 주독 제거 및 과음 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황달, 지방간, 간경화증, 위장병 등의 간 기능 보호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Hong et al 2000). 또한 헛개나무 열매에서 분리한 dihydromyricetin는 알코올 분해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Mssayuki et al 1996), 헛개 나무 열매 추출물에서 분리한 hovenodulinol을 이용한 동물 실험 결과, 알코올 분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ong et al 2000).
헛개나무의 이명은? 헛개나무(Hovenia dulcis)는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높이가 10~20 m, 직경 40~80 cm 내외로 자라는 나무로 헛개나무, 호깨나무, 호리깨나무라고 불리며, 열매는 10~11월경에 갈색으로 열리고, 과경 끝에 8 mm 정도로 3개의 방에 윤채가 있는 종자가 각각 1개씩 들어 있다. 헛개나무에 관한 연구로는 민간요법으로 헛개나무 잎, 줄기 및 열매로 만든 차가 주독 제거 및 과음 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황달, 지방간, 간경화증, 위장병 등의 간 기능 보호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Hong et 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DC, Kim MS, Lee SY, Kang JH, Kim BH, Oh WK, Kim BY, Ahn JS. 2005. Increase of bioactive flavonoid aglycone extractable from Korea citrus peel by cabohydrate hydrolysing enzyme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3: 288-294. 

  2. An SW, Kim YG, Kim MH, Lee BI, Lee SH, Kwon HI, Hwang B, Lee HY (1999) Comparison of hepatic de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ing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sis Thunb and Alnus japonica Steud. Korean J Medicinal Crop Sci 7: 263-268. 

  3. Bergmeyer HU (1974)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2th ed. Academic Press, New York. pp 457-458. 

  4. Choi JT, Koo HK, Lee SK. 1995. The effect of Schzandrae fructus extract on alcohol ferment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Saccharomyces cerevisae. Agri Chem Biotech 38: 278-282. 

  5. Choi YB, Woo JG, Noh WS. 1999. Hydrolysis of $\beta$ -glycosidic bonds of isoflavone conjugates in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of soy milk.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89-195. 

  6. Detrich RA, Collins AC, Erwin VG. 1972. Genetic influence upon phenbarbital-induced increase in rat liver supernatant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J Biol Chem 247: 7232- 7236. 

  7. Gabuzda GJ. 1953. Fatty liver in man and the role of lipotropic factors. Am J Cli Nutr 6: 280-297. 

  8. Hase K, Basnet P. 1997. Effect of Hovenia dulcis on lipopolysaccharide- induced liver injury in chronic alcohol-fed rats. J Trad Med 14: 28-33. 

  9. Hong YL, Kim MH, Ahn C, Lee HY, Kim JD. 2000.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 from Hovenia dulcis Thunb inst. Agr Sci Kangwon Nat'l Univ 11: 1-11. 

  10. Hwang JY, Ham JW, Nam SS.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hbolizing enzyme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9-332. 

  11. Kang SH, Kim SM, Kim JH. 2005. Method of using acid hydrolysis to inctease the efficacy of decreasing alcohol concentration from Hovenia dulcis extract. Kor J Biotechnol Bioeng 20: 129-132. 

  12. Kim MH, Park CK. 1997. Inhibition of ethanol absorption by Rbodiala sacbalinensis in rats. Arch Pharm Res 20: 432-437. 

  13. Lebsack ME, Petersen DR, Collus AC. 1976. Preferntial inhibition of th low Km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by pargyline. Biochem Pharmac 26: 1151-1154. 

  14. Lowry OH, Roseb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 phonol reagent. J Biol Chem 193-263. 

  15. Mssayuki Y, Murakami T. 1996. Absolute stereostrutures of new dihydroflavonols, Hovenitins I, II and III, isolated from hovenia semen seu fructus of Hovenia dulcis Thunb. Chem Pharm Bull 117: 108-118. 

  16. Park SM, Kang BK, Chung TH. 1998. The effect of mildronate on serum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syndro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68-174. 

  17. Rubin E, Lieben CS. 1963. Hepatic microsomal enzymes in man and rats: Induction and inhibition by ethanol. Science 162: 690-691. 

  18. Sakai K, Saitoh Y, Ikawa C, Nishihata T. 1989. Effect of water extracts of aloe and some herbs in decreasing blood ethanol concentration in rats. Chem Pharm Bull 37: 155-159. 

  19. Sakai K, Yamane T, Saitoh Y, Ikawa C, Nishihata T. 1987. Effect of water extracts of crude drugs in decreasing blood alcohol concentrations in rats. Chem Pharm Bull 35: 4597-4604. 

  20. Shumate RP, Crowther RF, Zaraafshan HA. 1967. Study of the metabolism rates of alcohol in the human body. J Forensic Med 14: 83-88. 

  21. Song I, Choi IS, Yoon HK, Koo SJ. 2005. The effect of Camellia sinensis Linne on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in normal healthy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591-5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