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방도일 기반 대한민국 행정구역별 기후존 구분 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Climatic Zones in Korean Building Code Based on Heating Degree-Days 원문보기

설비공학논문집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27 no.11, 2015년, pp.574 - 580  

노병일 (충북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  최재완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서동현 (충북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ic zone in building code is an administrative district classification reflecting regional climatic characteristics. Use of Degree-Days is a fundamental method that can be used in various building design codes, analysis of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d establishment of minimum thermal trans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기후존 구분의 기준으로 활용하는 도일(degree-days)을 이용하여 국내의 부위별 열관류율 기준을 위한 기후존 구분기준을 평가하고, 법규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행정구역별 기후존 구분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건축물 외피의 부위별 열관류율 기준은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가? 국내의 건축물 외피의 부위별 열관류율 기준(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에 부속된 건축물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별표 1. 지역별 건축물 부위별 열관류율 기준)은 국가적으로 30년이 넘게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관리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중부, 남부, 제주도로 구분하는 기준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않아 이 기준의 합리성을 평가하기 힘든 상황이다.
도일법은 어떻게 활용되는가? 도일법은 건물의 에너지 성능평가 뿐만 아니라 기후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활용되고 있다. 도일법을 활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수요예측 및 분석을 한 Tony(2)는 도일법 계산 방법과 이를 활용한 건물의 에너지 예측 및 관리에 관한 연구 등 도일법을 활용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국내의 건축물 외피의 부위별 열관류율 기준이 안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지역별 건축물 부위별 열관류율 기준)은 국가적으로 30년이 넘게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관리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중부, 남부, 제주도로 구분하는 기준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않아 이 기준의 합리성을 평가하기 힘든 상황이다. 다시 말해, 세 개의 존으로 나눈 근거가 제시되면 이에 따른 지역별로 건축물 부위별 열관류율 기준의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평가결과를 확장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수요감축량 평가 및 건축물에너지 성능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Lee, K., 2007, Architectural Environmental Science, third edition, Munundang. 

  2. Tony, D., 2006, Degree-days : theory and application, The Chartered Institution of Building Services Engineers(CIBSE). 

  3. Christenson, M., Manz, H., and Gyalistras, D., 2006, Climate warming impact on degree-days and building energy demand in Switzerland,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47, pp. 671-686. 

  4. Al-hadhrami, L. M., 2013, Comprehensive review of cooling and heating degree days characteristics over Kingdom of Saudi Arabia,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27, pp. 305-314. 

  5. Rosa, M., Bianco, V., Scarpa, F., and Tagliafico, L., 2014, Heating and cooling building energy demand evaluation; a simplified model and a modified degree days approach, Energy, Vol. 128, pp. 217-229. 

  6. Altan Dombayci, O., 2009, Degree-days maps of Turkey for various base temperatures, Energy, Vol. 34, pp. 1807-1812. 

  7. Kim, S. S., Cho, S. H., Choi, C. Y., Kim, S. H., and Kim, Y. H., 2007, Study on the revision of Heating Degree-days for Korea, Proceedings of the SAREK 2007 Winter Annual Conference, pp. 17-22. 

  8. Kim, J. B., Kang, S. M., Sung, H. S., Kim, Y. K., Doe, G. Y., and Lee, J. J., 2001, A Basic Study on Framing climate Zone using the AWS weather data in Pusan-Kyeongnam Area, Bull. Proceeding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1 Conference, Vol. 21, pp. 661-664. 

  9. Seo, D. H. and Song, Y. J., 2013, A Study on Heating and Cooling Degree-days Calculation Methods with NCDC Data, Journal of the Korea Solar Energy Society, Vol. 33, pp. 77-84. 

  10. Seo, D. H., 2013, A Study on Heating and Cooling Degree-Days Calculation Methods for South Korean Cities, Proceedings of the Korea Solar Energy Society 2014 Autumn Annual Conference, Vol. 33, pp. 198-201. 

  11. Cho, S. H., Kim, S. S., and Choi, C. Y., 2010, Study on the Revision of HDD for 15 Main Cities of Korea,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2, pp. 436-441. 

  12. Lee, H. R. and Jung, J. H., 2011, Calculation of cooling and heating degree days using the method of weighting factor per 10 years, Proceedings of the AIK 2011 Autumn Annual Conference, pp. 421-426. 

  13.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011, 2011 Energy Consumption Survey. 

  14. Halverson, M., Athalye, R., Rosenberg, M., Xie, Y., Wang, W., Hart, R., Zhang, J., Goel, S., Mendon, V., 2014, ANSI/ASHRAE/IES Standard 90.1-2013 Determination of Energy Savings : Quantitative Analysis, PNNL. 

  15. ASHRAE(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2004, Energy Standard for Building Except Low-Rise Residential Buildings. 

  16. Trevor, L. and Mark, S., 2005, The Australian climate data bank project. 

  17. Huang, J. and Deringer, J., 2007, Status of Energy Efficient Building Codes in Asi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