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세복수초(Adonis multiflora) 추출물의 항암 활성
Anticancer Effects of the Extracts of Adonis multiflor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8 no.5, 2015년, pp.561 - 567  

한효상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세복수초 추출물에 대한 항암활성을 평가하고자 간암세포주인 SK-Hep1 세포주에서 MTT를 통한 세포독성을 평가하고 자가포식(autophagy) 형성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종양형성능 측정(Xenograft assay)를 통하여 세복수초 추출물에 대한 항암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in vivo및 in vitro에서 모두 항암활성이 뛰어나게 나타났으며, 세복수초 추출물의 항암작용은 자가포식(autophagy)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복수초 추출물은 in vitro및 in vivo에서 모두 LC3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켜며 p62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세복수초 추출물은 자가포식(autophagy) 활성을 증가시켜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간암치료제 개발 및 간암치료제와의 병용요법 등 새로운 작용기전의 항암신약개발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ntitumor effect of Adonis multiflora, one of the plants in the Ranunculaceae, on mice to which hepatoma cells were transplanted and to suggest its possibility as a candidate natural substance to replace antitumor drugs. We performed the MTT assay to assess the ext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세복수초 추출물에 대한 항암활성을 평가하고자 간암세포주인 SK-Hep1 세포주에서 MTT를 통한 세포독성을 평가하고 자가포식(autophagy) 형성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종양형성능 측정(Xenograft assay)를 통하여 세복수초 추출물에 대한 항암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 , 2003).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세복수초의 성분과 작용에 관한 연구보고가 거의 없음에 착안하여 간암세포 이식한 마우스에서 항암효과를 평가하여 기존의 항암제를 대체하거나 병용요법 등의 항암보조제로서의 천연후보물질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세복수초 추출물은 자가포식(autophagy) 작용을 통해 간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기존 항암제에 대한 병용요법 등 새로운 항암치료 요법에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세복수초 추출물이 기존 항암제에 대한 상승효과 및 기존 항암제의 용량조절을 통한 부작용 억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jorkoy, G., T. Lamark, A. Brech, H. Outzen, M. Perander, A. Overvatn, H. Stenmark and T. Johansen. 2005. p62/SQSTM1 forms protein aggregates degraded by autophagy and has a protective effect on huntingtin-induced cell death. J. Cell. Biol. 171(4):603-614. 

  2. Chen, N. and V. Karantza. 2011. Autophagy as a therapeutic target in cancer. Cancer Biol. Ther. 11(2):157-168. 

  3. Corcella, EA., P. Puustinen and M. Jaattela. 2009. Apoptosis and autophagy: Targeting autopahgy signalling in cancer cells-‘trick or treats’? FEBS J. 276(21):6084-6096. 

  4. Cronquist, A. 1981. An inter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USA). pp. 116-127. 

  5. Cuervo, AM. 2004. Autophagy: in sickness and in health. Trends Cell Biol. 14(2):70-77. 

  6. Eisenberg-Lerner, A., S. Bialik, HU. Simon and A. Kimchi. 2009. Life and death partners:apoptisis, autophagy and the cross-talk between them. Cell Death Differ. 16(7):966-975. 

  7. Ham, Y.A., H.J. Choi, S.H. Kim, M.J. Chung and S.S. Ham. 2009. Antimutagenic and antitumor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25-31 (in Korean). 

  8. Hoffman, MH. 1998. Ecogeographical differentiation patterns in Adonis sect. Consiligo (Ranunculaceae). PI. Syst. Evol. 211:43-56. 

  9. Im, RJ. 1996. Flora Coreana 2.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DPRK. pp. 235-237. 

  10. Iman, M., J. Chrtek and Z. Slavikova. 2002. Effect of temperature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on the photosynthesis of Adonis amurensis. Kor. J. Hort. Sci. Technol. 20 (Suppl. I):970. 

  11. Jun, N.J., S.C Kim, E.Y. Song, K.C. Jang, D.S Lee and S.K. Cho. 2014. Isolation of anticancer compounds from Peucedanum japonicum Thunb. roots. Korean J. Plant Res. 27(3):215-222 (in Korean). 

  12. Kabeya, Y., N. Mizushima, T. Ueno, A. Yamamoto, T. Kirisako, T. Noda, E. Kominami, Y. Ohsumi and T. Yoshimori. 2000. LC3, a mammalian homologue of yeast Apg8p, is localized in autophagosome membranes after processing. EMBO J. 19(21):5720-5728. 

  13. Kang, C. and L. Avery. 2008. Tobe or not to be, the level of autophagy is the question:dual roles of autophagy in the survival response to starvation. Autophagy 4(1):82-84. 

  14. Kimmelman, AC. 2011. The dynamic nature of autophagy in cancer. Genes Dev. 25(19):1999-2010. 

  15. Lee, C.H., S. Lee, Y. Suh, S.H. Yeau and N.S. Lee. 2003. A morphological reexamination on the genus Adonis L. sensu lato (Ranunculace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3(4):435-454 (in Korean). 

  16. Lee, H.B., H.J. Kim, M.S. Chong, , H.E. Cho, Y.H. Choi, K.S. Lim and K.N. Lee. 2008.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ixed culture of medical herbs and mycelia of Tricholoma matsutake and Cordyceps militaris by fermentation. Kor. J. Herbology 23(1):1-8 (in Korean). 

  17. Lee, J.W., G.H. Park, H.J. Eo, H.M. Song, M.K Kim, M.J. Kwon, J.S. Koo4, J.R. Lee, M.H. Lee and J.B. Jeong. 2015. Anti-cancer activity of the flower bud of Sophora japonica L. through upregulating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Korean J. Plant Res. 28(3): 297-304 (in Korean). 

  18.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I. Kyohaksa, Seoul, Korea. p. 975. 

  19. Mabberley, DJ. 1990. The Plant 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pp. 99-102. 

  20. Maiuri, MC., E. Zalckvar, A. Kimchi and G. Kroemer. 2007. Self-eating and self-killing: crosstalk between autophagy and apoptosis. Nat. Rev. Mol. Cell Biol. 8(9):714-725. 

  21. Matsuyama, R., S. Reddy and T.J. Smith. 2006. Why do patients choose chemotherapy near the end of life? A review of the perspective of those facing death from cancer. J. Clin. Oncol. 24(21):3490-3496. 

  22. Meusel, H., E. Jaeger and E. Weinert. 1965. Vergleichende Chorologie der zentraleuropaischen Flora. G. Fischer. Stuttgart, Germany. pp. 557-583. 

  23. Mizushima, N., B. Levine, A.M. Cuervo and D.J. Klionsky. 2008. Autophagy fights disease through cellular self-digestion. Nature 451(7182):1069-1075. 

  24. Ohwi, T. 1984. Flora of Japan (in English). National Science museum. Tokyo, Japan. p. 450. 

  25. Park, C.W. 2007. Adonis: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84-185. 

  26. Schulze-Osthoff, K., D. Ferrari, M. Los, S. Wesselborg and M.E. Peter. 1998. Apoptosis signaling by death receptors. Eur. J. Biochem. 254(3):439-459. 

  27. Shin, J.H, H.Y. Jang, J.S Chung, K.H Cho, K.E. Hwang, S.Y. Kim, H.J. Kim, S.Y. Lee, M.K. Lee, S.A. Park, S.R. Moon, K.K. Lee, H.J. Jo and S.H. Yang. 2010. Induction of autophagy by low dose of cisplatin in H460 lung cancer cells. Tuberc. Respir. Dis. 69:16-23 (in Korean). 

  28. Tamura, M. 1990. A new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Ranunculaceae 1. Acta Phytotax. Geobot. 41(1-3):93-101. 

  29. Weinberg, R.A. 1994. Oncogenes and tumor suppressor genes. CA Cancer J. C lin. 44 (3):160-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