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MEA 기법 도입을 통한 병원 급식 품질 개선 사례 연구 - 배선서비스 품질 개선 및 환자만족도 중심으로 -
Case Study on Improvement of Hospital Foodservice by Introduction of FMEA Techniques - Focus on Food Delivery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1 no.1, 2015년, pp.25 - 36  

김혜진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영양팀) ,  홍정임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영양팀) ,  허규진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영양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mprove hospital food delivery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by using 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which is applied to the quality control of products in manufacturing plants. Subjective food delivery service quality improvement was judged ba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병원 급식서비스 향상을 위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급식서비스에 대한 환자들의 만족도와 요구도에 대한 원인 분석, 급식 질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과 더불어 QI(Quality Improvement)를 통해 환자 급식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활동이 이루어진 바가 있다(Chung 등 2007). 그러나 이러한 활동들은 급식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수 있는 내용이나, 급식서비스 개선 활동이 일부 영역에 국한하여 실시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급식품질 서비스 향상을 위해 급식 전반에 걸친 개선활동 사례를 제시하고자 FMEA(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기법의 새로운 도구를 도입하였다.
  • 또한 급식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은 식사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급식서비스 품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500병상 규모의 상급종합병원 급식을 대상으로 하여 FMEA 기법을 도입하고, FMEA risk tool을 중심으로 환자 급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발견하고, 구체적인 개선안 도출 및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을 신속히 제거함으로써 배선서비스 품질개선 및 환자만족도가 향상된 단일병원에서의 개선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FMEA기법을 병원 급식서비스에 도입한 사례가 없으므로, 새로운 불량 기법 도입을 통해 주관적이고 추상적인 요소인 급식품질을 수치화, 객관화함으로써 향후 급식의 일정한 품질 유지로 병원 급식에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4 조리장 감염관리’ 항목(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인 음식재료, 식기 및 조리기구, 냉장고 및 조리장 환경관리, 급식 종사자의 개인위생 등의 감염관리 수행으로 안전한 식사를 제공하여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는 데 있다. 또한 급식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은 식사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급식서비스 품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500병상 규모의 상급종합병원 급식을 대상으로 하여 FMEA 기법을 도입하고, FMEA risk tool을 중심으로 환자 급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발견하고, 구체적인 개선안 도출 및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을 신속히 제거함으로써 배선서비스 품질개선 및 환자만족도가 향상된 단일병원에서의 개선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FMEA기법을 병원 급식서비스에 도입한 사례가 없으므로, 새로운 불량 기법 도입을 통해 주관적이고 추상적인 요소인 급식품질을 수치화, 객관화함으로써 향후 급식의 일정한 품질 유지로 병원 급식에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급식품질 및 서비스 향상을 위해 최근 전 산업 영역에서 확대 적용되고 있는 FMEA 기법을 단일병원 급식에 도입하여 급식품질 불량 감소를 통한 안전한 환자 식사 제공으로 병원 급식에서의 품질개선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FMEA 도입을 통해 급식품질 불량을 수치로 나타낸 RPN 값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험도 우선순위 매트릭스는 어떤 방법인가? 2와 같다. 위험도 우선순위 매트릭스는 단계별 불량 항목들에 대해 심각도와 발생도 및 검출도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냄으로써 해당 불량이 향후 개선되어야 할 우선순위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위험도 우선순위 매트릭스는 4구간으로 나누었으며, 발생도와 검출도의 평균값(16.
병원에 FMEA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이룰 수 있는 것들은 무엇인가? 이러한 FMEA 기법의 병원에서의 도입은 환자 안전관리 활동으로 발생가능성이 있는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을 제거하여 의료사고를 예방하고 감소하기 위함이다. 즉, 환자, 직원및 내원객에 나타날 수 있는 손상의 가능성을 조기에 발견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을 제거하여 의료사고 감소 및 예방으로 동일 사건에 대한 재발방지로 환자에게 안전한 의료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Chiozza & Ponzetti(2009)는 병원에서의 FMEA 도입으로 임상과와 혈액검사에서의 오류 RPN 값이 평균 69% 감소되어 임상검사에 대한 안전성이 높아지고 의료비용은 감소되었다고 하였으며, Bonfant 등 (2010)도 투석실에 FMEA를 도입한 결과 투석과정중 임상 오류 RPN 값이 8.
FMEA 기법은 무엇이며, 어떤 분야에서 쓰이는가? 1960년대에 신뢰성 및 안정성을 요구하는 항공우주산업의 설계방법론의 정형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많은 일본기업이 전사적 품질관리기법의 하나로 FMEA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1990년대 들어서는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9000, TS(Technical Specification) 16949, TL(Telecommunication Leadership) 9000 등의 품질경영 시스템과 6-시그마(6-sigma) 품질활동 등에 있어서 품질 및 신뢰성 개선활동의 필수적인 기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Kim 등 2007). FMEA 기법은 제품이 의도한 대로 기능을 발휘하는가를 평가하고, 만족하지 못할 때는 개선활동을 통해 설계 단계로 개선사항이 피드백(feed-back)될 수 있도록 수행하는 신뢰성 평가 활동의 유용한 방법 중의 하나이며, 정성적 신뢰성 예측 기법 또는 고장 해석 기법으로서 제조분야에서 제품개발 또는 공정개발시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Jang & An 1997). 실제로 FMEA 기법을 제조과정에 도입한 예를 살펴보면 Arvanitoyannis & Varzakas(2008)는 연어가공 산업에 FMEA 기법을 도입하여 제조공정 중 불량 RPN(Risk Priority Number) 값이 평균 41% 감소되어 ISO22000 적용시와 유사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Varzakas(2011)의 연구에서도 패스츄리 제조공정에 FMEA 기법을 도입한 결과 원재료에서 최종 생산품 과정에서의 불량 RPN 값이 평균 34% 감소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kbari M, Khazaee P (2013): 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FMEA) for power transformers. 28th International Power System Conference 2013. Tehran, Iran. pp.1-7 

  2. Arvanitoyannis IS, Varzakas TH (2008): Application of ISO 22000 and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for industrial processing of salmon: a case study. Crit Rev Food Sci Nutr 48(5):411-429 

  3. Bonfant G, Belfanti P, Paternoster G, Gabrielli D, Gaiter AM, Manes M, Molino A, Pellu V, Ponzetti C, Farina M, Nebiolo PE (2010): Clinical risk analysis with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model in a dialysis unit. J Nephrol 23(1):111-118 

  4. Chiozza ML, Ponzetti C (2009): FMEA: A model for reducing medical errors. Clinica Chimica Acta 404(1):75-78 

  5. Chung SH, Yeom HS, Sohn CM (2007): The improvement of hospital food service in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by using 6-sigma strategy. J Korean Diet Assoc 13(4):331-344 

  6. Gam SO, Park JR, Kim MJ, Lee MK, Shin KH (2007): The study of patients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f hospital foodservice. Korean J Nutr 40(3):281-287 

  7. Jang JS (1999): A study on performing FMEA effectively. J Korean Inst Plant Eng 4(4):69-77 

  8. Jang JS, An DG (1997): How to perform FMEA effectively. J Korean Soc Qual Manag 25(1):156-172 

  9. Kim SY, Yun WY, Kim HG (2007): Reestablishment of RPN evaluation method in FMEA procedure for motors in household appliances. J Korean Soc Qual Manag 35(1):1-9 

  10.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 Accrediation standards for hospitals 2014.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KOIHA). Seoul. pp.157-158 

  11. Lee MJ, Lee YK (2000): Analysis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hospital foodservice quality. Korean Nutr Soc 33(4):464-476 

  12. Lee SJ (2005): Analysis of the effect of dietitians' work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on quality of hospital dietary services. Korean J Nutr 38(9):756-764 

  13. Lim HS, Yang IS, Cha JA (1999): Analysis of patient satisfaction and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n hospital foodservice quality. J Korean Diet Assoc 5(1):29-47 

  14. Mollah AH (2005): Application of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for process risk assessment. BioProcess Intern 3(10):12-20 

  15. Narayanagounder S, Gurusami K (2009): A new approach for prioritization of failure modes in design FMEA using ANOVA. World Acad Sci Eng Technol 49:524-531 

  16. Ozilgen S (2010): Application of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model to foodservice systems operated by chefs in practice and by chefs from a culinary school in Turkey. J Verbrauch Lebensm 5(3,4):333-343 

  17. Varzakas TH (2011): Application of ISO22000,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cause and effect diagrams and pareto in conjunction with HACCP and risk assessment for processing of pastry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51(8):762-7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