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연령별 건강 및 영양섭취상태 : 2010~2012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adults according to age and household food security: Using the data from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6, 2017년, pp.603 - 614  

박근아 (동덕여자대학교 임상영양학과) ,  김성희 (동덕여자대학교 임상영양학과) ,  김석중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양윤정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79세 한국 성인 총 16,595명을 대상으로 식품안정성에 따른 건강 및 영양섭취상태를 살펴보았다. 식품안정성 문항의 답변에 따라 Secure군은 7,256명 (43.7%), Mildly insecure군은 8,764명 (52.8%), Moderately/Securely insecure군은 575명 (3.5%) 이었다. 식품불안정은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일수록, 교육 및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독거인 경우, 체질량지수, 현재 흡연율, 운동유무,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20~39세 그룹에서 식품불안정성이 높은 군일수록 헤모글로빈은 낮았고, 철결합능은 높았으며, 40~59세 그룹에서 식품불안정성이 높은 군일수록 HDL-콜레스테롤이 낮았으며, 60~79세 그룹에서 식품불안정성이 높은 군일수록 총 콜레스테롤이 높게 측정되었다. 식품안정성이 불안정할수록 20~39세 남자에서는 수면시간이 적었고, 40~59세 남자에서는 우울증상과 자살을 생각해본 비율이 높았고 60~79세 남자는 수면시간이 많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우울증상과 자살을 생각해 본 대상자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식품안정성이 불안정한 여성은 40~59세, 60~79세 공통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며 우울증상과 자살생각과 같은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영양소 섭취량은 식품불안정이 높은 그룹일수록 전체적인 영양소 섭취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고, 전반적으로 20~39세 그룹에서는 Secure군과 Mildly insecure군의 섭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반면, 40~59세, 60~79세 그룹에서는 세 그룹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식품섭취량은 모든 그룹에서 식품불안정이 높은 그룹일수록 전반적인 식품섭취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식품안정성은 나이, 성별, 교육, 소득수준, 독거 유무, 직업 특성 및 활동 가능성 여부 등과 관련이 있으며 식품안정성은 식품섭취와 영양소 섭취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우울증, 자살생각과 성인의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한국 성인 및 노인에게 식품불안정이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상태와 식이섭취상태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젊은 성인보다 중년과 노인이 식품불안정에 따른 건강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연령에 따라 식품안정성과 건강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영양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adults according to food security by age group. Methods: The subjects were 20~79 year old adults (n = 16,595) who participated i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11 본 연구에서는 제5기 (2010~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남녀 성인을 연령별 (20~39세, 40~59세, 60~79세)로 구분하여 식품안정성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영양섭취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을 조사하였다. 따라서 식품안정성에 취약한 집단을 선별하고 그들의 영양 및 건강상태를 조사하여 각 연령 및 집단에 맞는 영양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79세 한국 남녀 성인을 대상으로 연령별로 구분하여 식품안정성에 따른 건강과 영양섭취상태를 살펴보았다. 대상자의 식품안정성은 미국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Ⅲ (NHANES Ⅲ)에서 사용했던 식품 불충분 조사항목 (food sufficiency question)을 이용하였다.
  • 한국 성인 및 노인에게 식품불안정이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상태와 식이섭취상태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젊은 성인보다 중년과 노인이 식품불안정에 따른 건강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연령에 따라 식품안정성과 건강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영양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안정성은 가구 내 식품의 안정적인 확보 가능 여부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1-3 식품안정 (food security)은 모든 사람들이 활기차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그들의 식품 필요량과 식품 선호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충분하고 안전한 영양적인 식품을 사회심리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법으로 항상 확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4 식품안정성은 분석 수준이나 단위, 측정 도구에 따라 다양하게 측정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가구 내 식품의 안정적인 확보 가능 여부에 따라 각각 식량 수급에 전혀 문제가 없는 food secure 단계, 식량 수급이 악화되어 가구 내 성인의 섭취량이 줄고 배고픔을 경험하는 food insecure without hunger 단계, 가구 내 성인의 식사량 감소가 지속되며 아동, 어린이의 식사량 감소와 배고픔이 동반되는 food insecure with hunger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2
식품안정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경제가 발전하면서 건강 관련 생활수준은 향상되어 왔으나 소득 계층에 따라 사회 양극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식생활의 차이, 건강 위험요인의 불평등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1-3 식품안정 (food security)은 모든 사람들이 활기차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그들의 식품 필요량과 식품 선호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충분하고 안전한 영양적인 식품을 사회심리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법으로 항상 확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4 식품안정성은 분석 수준이나 단위, 측정 도구에 따라 다양하게 측정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가구 내 식품의 안정적인 확보 가능 여부에 따라 각각 식량 수급에 전혀 문제가 없는 food secure 단계, 식량 수급이 악화되어 가구 내 성인의 섭취량이 줄고 배고픔을 경험하는 food insecure without hunger 단계, 가구 내 성인의 식사량 감소가 지속되며 아동, 어린이의 식사량 감소와 배고픔이 동반되는 food insecure with hunger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성인과 노인의 식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하지만 상기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신뢰성과 대표성이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우리 국민의 식품안정성과 영양 및 건강과의 관계를 연령에 따라 비교하였다는 데에 강점이 있다. 식품불안정과 각 변수들 간의 상관성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성인의 경우 연령, 소득수준, 교육수준, 가족형태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노인은 연령, 성별, 결혼 상태,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식품안정성과 영양섭취상태와의 관련성은 20~39세 보다 40대 이상 성인에서 더 밀접하게 관련이 있었고, 식품안정성과 정신건강상태도 20~39세 보다 40대 이상에서 더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him JS, Oh K, Nam CM. Association of household food security with dietary intake: based on the third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Korean J Nutr 2008; 41(2): 174-183. 

  2. Kim K, Kim MK, Shin YJ.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its characteristics in Korea. Health Soc Welf Rev 2009; 29(2): 268-292. 

  3. Jung SH. The Korean development strategy: trajectories of the Korean economic development, 1961-2010. J Econ Geogr Soc Korea 2011; 14(4): 453-466. 

  4.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01. 3rd edition.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in the United Nations; 2001. 

  5. Drewnowski A, Darmon N. Food choices and diet costs: an economic analysis. J Nutr 2005; 135(4): 900-904. 

  6. Monsivais P, Drewnowski A. The rising cost of low-energy-density foods. J Am Diet Assoc 2007; 107(12): 2071-2076. 

  7. Vozoris NT, Tarasuk VS. Household food insufficiency is associated with poorer health. J Nutr 2003; 133(1): 120-126. 

  8. Kendall A, Olson CM, Frongillo EA Jr. Relationship of hunger and food insecurity to food availability and consumption. J Am Diet Assoc 1996; 96(10): 1019-1024. 

  9. Guthrie JF, Nord M. Federal activities to monitor food security. J Am Diet Assoc 2002; 102(7): 904-906. 

  10. Oh SY, Kim MY, Hong MJ, Chung HR. Food security and children's nutritional status of the households supported by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Korean J Nutr 2002; 35(6): 650-657. 

  11. Kwon SO, Oh SY. Associations of household food insecurity with socioeconomic measures,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in low income elderly. Korean J Nutr 2007; 40(8): 762-768. 

  12. Kim K, Kim MK, Shin YJ.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food security.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 41(6): 387-396. 

  13. Park S.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behavior depending on the food security of the household [dissertation]. Yongin: Yong-In University; 2009. 

  14. Lim YS, Cho KJ, Nam HJ, Lee KH. A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 intakes and factors to influence on nutrient intake between low-incom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0; 29(2): 257-267. 

  1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16. Frongillo EA Jr. Validation of measures of food insecurity and hunger. J Nutr 1999; 129(2S Suppl): 506S-509S. 

  17. Yang YJ.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 adults depending on household food security: based on the 2008-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1): 30-40. 

  18. Kim K, Hong SA, Kim MK. Nutritional status and food insufficiency of Korean population through the life-course by education level based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2008; 41(7): 667-681. 

  19. Facchini LA, Nunes BP, Motta JV, Tomasi E, Silva SM, Thume E, Silveira DS, Siqueira FV, Dilelio AS, Saes MO, Miranda VI, Volz PM, Osorio A, Fassa AG. Food insecurity in the Northeast and South of Brazil: magnitude, associated factors, and per capita income patterns for reducing inequities. Cad Saude Publica 2014; 30(1): 161-174. 

  20. Chinnakali P, Upadhyay RP, Shokeen D, Singh K, Kaur M, Singh AK, Goswami A, Yadav K, Pandav CS. Prevalence of household-level food insecurity and its determinants in an urban resettlement colony in North India. J Health Popul Nutr 2014; 32(2): 227-236. 

  21. Lee JS, Frongillo EA Jr. Factors associated with food insecurity among U.S. elderly persons: importance of functional impairments.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2001; 56(2): S94-S99. 

  22. Seligman HK, Bindman AB, Vittinghoff E, Kanaya AM, Kushel MB.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diabetes mellitus: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1999-2002. J Gen Intern Med 2007; 22(7): 1018-1023. 

  23. Seligman HK, Laraia BA, Kushel MB.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 among low-income NHANES participants. J Nutr 2010; 140(2): 304-310. 

  24. Perez-Escamilla R, Segall-Correa AM, Kurdian Maranha L, Sampaio Md MF, Marin-Leon L, Panigassi G. An adapted version of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Insecurity module is a valid tool for assessing household food insecurity in Campinas, Brazil. J Nutr 2004; 134(8): 1923-1928. 

  25. Melgar-Quinonez HR, Zubieta AC, MkNelly B, Nteziyaremye A, Gerardo MF, Dunford C.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food expenditure in Bolivia, Burkina Faso, and the Philippines. J Nutr 2006; 136(5): 1431S-1437S. 

  26. Chan HM, Fediuk K, Hamilton S, Rostas L, Caughey A, Kuhnlein H, Egeland G, Loring E. Food security in Nunavut, Canada: barriers and recommendations. Int J Circumpolar Health 2006; 65(5): 416-431. 

  27. Kim K, Hong SA, Kwon SO, Oh SY. Development of food security measures for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2011; 44(6): 551-561. 

  28. Kim K, Hong SA, Kwon SO, Choi BY, Kim GY, Oh SY. Validation of food security measures for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6): 771-781. 

  29. Dixon LB, Winkleby MA, Radimer KL. Dietary intakes and serum nutrients differ between adults from food-insufficient and food-sufficient families: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J Nutr 2001; 131(4): 1232-1246. 

  30. McIntyre L, Williams JV, Lavorato DH, Patten S.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in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are an outcome of child hunger. J Affect Disord 2013; 150(1): 123-129. 

  31. Payab M, Motlagh AR, Eshraghian M, Rostami R, Siassi F. The association of family food security and depression in mothers having primary school children in Ray-Iran. J Diabetes Metab Disord 2014; 13(1): 65. 

  32. Carter KN, Kruse K, Blakely T, Collings S. The association of food security with psychological distress in New Zealand and any gender differences. Soc Sci Med 2011; 72(9): 1463-14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