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온숙성마늘의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한 산화스트레스 억제 효과
Oxidative Stress Inhibitory Effects of Low Temperature-Aged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s throug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1, 2016년, pp.27 - 34  

황경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김가람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황유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황인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송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숙성 기간(15일, 30일, 60일)과 온도($60^{\circ}C$, $70^{\circ}C$)를 달리한 저온숙성마늘과 생마늘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DPPH와 ABTS의 라디칼 소거능과 FRAP법에 의한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250{\mu}g/mL$에서 생마늘 추출물보다 30일 $70^{\circ}C$ 추출물과 60일 $60^{\circ}C$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세포 내 활성산소 생성은 15일 $60^{\circ}C$ 추출물과 30일 $70^{\circ}C$ 추출물에서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xanthine oxidase에 대한 활성 저해 효과 역시 15일 $60^{\circ}C$ 추출물에서 우수하였다. 항산화 효소의 유전자 발현은 LPS를 처리한 군과 생마늘 추출물보다 30일 $70^{\circ}C$ 추출물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저온숙성마늘이 생마늘보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차후 항산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저온숙성마늘 추출물의 체내 생리활성 메커니즘 규명을 위해 동물실험 등의 추가적인 연구를 계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rlic has drawn attention as a food material for its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s well a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various aging methods for garlic have been attempted. In particular, thermally processed garlic is known to have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최근 마늘의 기능성을 증진시키되 HMF 함량을 낮추는 저온숙성마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마늘을 저온에서 기간별 숙성을 통해 제조한 저온숙성마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향후 이들 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 및 이를 통한 농산물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마늘 특유의 강한 향과 매운맛으로 인해 섭취 시 생기는 거부감을 줄이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마늘 제품은? 이러한 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마늘이 지니고 있는 생리활성 기능은 유지하면서 강한 향과 매운맛을 보완시키기 위한 연구 방법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 마늘에 열처리를 하거나 숙성기간의 변화를 주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가공된 제품이 흑마늘과 홍마늘로 이들은 일정한 온도에서 숙성을 거쳐 원하는 색을 띠게 되며, 가공 정도에 따라 화학적 성분 변화 및 풍미, 생리활성 기능의 차이를 나타낸다(11). 숙성마늘은 생마늘을 40~90°C의 온도에서 수십 일간 숙성시킴으로써 allicin 감소 및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증가 등의 성분 변화가 일어난다.
항산화 방어 시스템이 작동되는 이유는? 생체 내에서는 활성산소 및 활성질소를 포함하는 자유라디칼이 생성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항산화 방어 시스템이 작동되며, 정상적 상태에서는 이 시스템을 통해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그러나 항산화 방어시스템의 작동에 이상이 생기면 신체는 활성산소를 제거하지 못하는 산화스트레스 상태로 빠지게 되며, 세포와 조직을 구성하는 단백질, 지질, 세포막과 DNA 등의 손상을 초래하여 이로인한 돌연변이 및 염증, 발암 등 각종 질병을 유발시킨다(1-3).
항산화 방어시스템의 작동이 안될때 문제점은? 생체 내에서는 활성산소 및 활성질소를 포함하는 자유라디칼이 생성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항산화 방어 시스템이 작동되며, 정상적 상태에서는 이 시스템을 통해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그러나 항산화 방어시스템의 작동에 이상이 생기면 신체는 활성산소를 제거하지 못하는 산화스트레스 상태로 빠지게 되며, 세포와 조직을 구성하는 단백질, 지질, 세포막과 DNA 등의 손상을 초래하여 이로인한 돌연변이 및 염증, 발암 등 각종 질병을 유발시킨다(1-3). 최근 건강수명 연장에 관심이 높은 현대인들의 산화스트레스와 질병에 효과적인 기능성 소재를 의약품보다 식품을 섭취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어 기능성 식품 시장 확대 및 활성화를 불러왔고, 또한 관련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Halliwell B, Gutteridge JM, Cross CE.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where are we now?. J Lab Clin Med 119: 598-620. 

  2. Jiang WY. 2005. Therapeutic wisdom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 perspective from modern science. Trends Pharmacol Sci 26: 558-563. 

  3. Park DJ, Kim SG, Yoon MK, Park SY, Kim YH, Lee SJ, Choi YW. 2010. Effects of extracts from raw and black garlic on anticancer,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Korean J Hort Sci Technol 28: 39-40. 

  4. Kim JH, Ahn MS, Kim GH, Kang MH. 2006.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leurotus eryngii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 Korean J Food Sci Techonol 38: 799-804. 

  5. Atoui AK, Mansouri A, Boskou G, Kefalas P. 2005. Tea and herbal infusions: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propolis. Food Chem 89: 27-36. 

  6. Kang MJ, Yoon HS, Shin JH. 2012. 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shoots. J Agric Life Sci 46: 129-139. 

  7. Chun HJ, Park JE. 1997. Effect of heat treatment of garlic added diet on the blood of spontaneously hypertension r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03-108. 

  8. Katsuzi N, Park M, Ha SD, Kim GH. 2000. Effects of garlic extract for protecting the infection of influenza virus. J Korean Soc Food Nutr 29: 128-133. 

  9. Kim HK, Kwak HJ, Kim KH. 2002.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 Food Sci Biotechnol 11: 500-506. 

  10. Leelarungrayub N, Rattanapanone V, Chanarat N, Gebicki JM. 2006.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garlic and shallot preparations. Nutrition 22: 266-274. 

  11. Choi DJ, Lee SJ, Kang MJ, Cho HS, Sung NJ, Shin JH.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65-471. 

  12. Lawson LD, Wang ZJ. 2005. Allicin and allicin-derived garlic compounds increase breath acetone through allyl methyl sulfide: use in measuring allicin bioavailability. J Agric Food Chem 53: 1974-1983. 

  13. Choi YH, Shim YS, Kim CT, Lee C, Shin DB. 2007. Characteristics of thiosulfinates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from blanched garlic reacted with alliin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00-607. 

  14. Cho KJ, Cha JY, Yim JH, Kim JH. 2011. Effects of aging temperature and time on the convers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 compon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84-88. 

  15. Sharma VK, Choi J, Sharma N, Choi M, Seo SY. 2004. In vitro anti-tyrosinase activity of 5-(hydroxymethyl)-2-furfural isolated from Dictyophora indusiata. Phytother Res 18: 841-844. 

  16. Abdulmalik O, Safo MK, Chen Q, Yang J, Brugnara C, Ohene-Frempong K, Abraham DJ, Asakura T. 2005. 5-Hydroxymethyl-2-furfural modifies intracellular sickle haemoglobin and inhibits sickling of red blood cells. Br J Haematol 128: 552-561. 

  17. Monien BH, Frank H, Seidel A, Glatt H. 2009. Conversion of the common food constituent 5-hydroxymethylfurfural into a mutagenic and carcinogenic sulfuric acid ester in the mouse in vivo. Chem Res Toxicol 22: 1123-1128. 

  18. Mensor LL, Menezes FS, Leitao GG, Reis AS, dos Santos TC, Coube CS, Leitao SG. 2001. Screening of Brazilian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by the use of DPPH free radical method. Phytother Res 15: 127-130. 

  19.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0.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1. Wang M, Li J, Rangarajan M, Shao Y, LaVoie EJ, Huang TC,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 4869-4873. 

  22. Shin JH, Choi DJ, Chung MJ, Kang MJ, Sung NJ.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ged garlic at different tempera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174-1181. 

  23. Moreno FJ, Corzo-martinez M, Casrillo MD, Villamiel M. 2006.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of dehydrated onion and garlic during storage. Food Res Int 39: 891-897. 

  24. Lee SJ, Shin JH, Kang MJ, Jung WJ, Ryu JH, Kim RJ, Sung NJ. 2010. Antioxidants activity of aged red garlic. J Life Sci 20: 775-781. 

  25. Yoo KM, Kim DO, Lee CY. 2007.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antioxidant measurement. Food Sci Biotechonol 16: 177-182. 

  26. Hwang CR, Kang MJ, Shim HJ, Sub HJ, Kwon OO, Shin JH. 2015.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various color resources extracted from natur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65-172. 

  27. Kader KN, Coyle CH. 2007.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implications for cardiovascular device engineering. J Biomed Mater Res B Appl Biomater 83: 138-144. 

  28. Freeman BA, Crapo JD. 1982. Biology of disease: free radicals and tissue injury. Lab Invest 47: 412-426. 

  29. Noworyta-Sokolowska K, Gorska A, Golembiowska K. 2013. LPS-induce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reaction in the rat striatum. Pharmacol Rep 65: 863-869. 

  30. Iio M, Moriyama A, Matsumoto Y, Takaki N, Fukumoto M. 1985.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flavonoids. Agric Biol Chem 49: 2173-2176. 

  31. Kang JR, Hwang CR, Sim HJ, Kang MJ, Kang ST, Shin JH. 2015. Biological activities of yellow garli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983-992. 

  32. Hayashi T, Sawa K, Kawasaki M, Arisawa M, Shimizu M, Morita N. 1988. Inhibition of cow's milk xanthine oxidase by flavonoids. J Nat Prod 51: 345-348. 

  33. Cho K, Cha J, Lim J, Kim J. 2011. Formation of 5-HMF in making aged garlic (Allium sativum L.) under different condition. Planta Med 77: PJ4. 

  34. Chaudiere J, Ferrari-Iliou R. 1999. Intracellular antioxidants: from chemical to biochemical mechanisms. Food Chem Toxicol 37: 949-962. 

  35. Del Maestro R, Thaw HH, Bjork J, Planker M, Arfors KE. 1980. Free radicals as mediators of tissue injury. Acta Physiol Scand Suppl 492: 43-57. 

  36. Zelko IN, Mariani TJ, Folz RJ. 2002. Superoxide dismutase multigene family: a comparison of the CuZn-SOD (SOD1), Mn-SOD (SOD2), and EC-SOD (SOD3) gene structures, evolution, and expression. Free Radic Biol Med 33: 337-349. 

  37. Asimakis GK, Lick S, Patterson C. 2002. Postischemic recovery of contractile function is impaired in SOD2(+/-) but not SOD1(+/-) mouse hearts. Circulation 105: 981-986. 

  38. Imai H, Nakagawa Y. 2003. Biological significance of phospholipid hydroperoxide glutathione peroxidase (PHGPx, GPx4) in mammalian cells. Free Radic Biol Med 34: 145-169. 

  39. Deisseroth A, Dounce AL. 1970. Catalas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mechanism of catalysis, and physiological role. Physiol Rev 50: 319-375. 

  40. Kim HJ, Lee SG, Park SJ, Yu MH, Lee EJ, Lee SP, Lee IS. 2012.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fermented red ginseng added with medicinal herb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67-3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