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쌈장 제품의 품질 향상 및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판 중인 공장 및 수공업 생산 쌈장 제품 10종에 대한 이화학 성분 분석을 통해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분 함량은 공장생산 쌈장이 41.94~45.83%, 수공업생산 쌈장이 49.37~62.12%, 조단백 및 조지방 함량은 공장생산 쌈장이 각각 7.50~9.09%, 1.81~3.36%, 수공업생산 쌈장이 9.39~13.46%, 4.40~8.35%로 나타나 수공업생산 쌈장이 수분, 조단백, 조지방 함량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H와 적정산도는 공장생산 쌈장이 각각 5.29~5.78, 2.18~2.49 0.1 N NaOH mL/10 g, 수공업생산 쌈장이 5.11~5.49, 1.92~3.79 0.1 N NaOH mL/10 g으로 나타났고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FSS1과 HSS2를 제외하고는 수공업생산 쌈장(645.48~756.18 mg%)이 공장생산 쌈장(365.08~392.55 mg%)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염도는 공장생산 쌈장이 6.10~7.57%, 수공업생산 쌈장이 6.33~11.88%로 수공업생산 쌈장의 염도가 훨씬 높았고 제품 간 함량 차이도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평균 염도는 7.51%로 10여 년 전 시판 쌈장의 평균 염도인 8.73%에 비해 함량이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원당 함량은 HSS3을 제외하고 공장생산 쌈장(18.77~27.85%)이 수공업생산 쌈장(2.47~21.12%)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명도, 적색도, 황색도는 전반적으로 공장생산 쌈장의 값이 수공업생산 쌈장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 유리당유기산 함량은 각각 HSS3 및 FSS1을 제외하고 공장생산 쌈장(12.51~22.59%, 2,204.31~3,136.78 mg%)이 수공업생산 쌈장(0.58~11.04%, 948.36~1,738.60 mg%)보다 높았고 유리아미노산은 HSS1을 제외하고 공장생산 및 수공업생산 쌈장 모두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총 함량은 FSS1 및 HSS1을 제외하고 수공업생산 쌈장(343.50~429.31 mg%)이 공장생산 쌈장(204.08~306.19 mg%)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공장 및 수공업 생산 쌈장 제품 간 품질 특성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동일한 생산방식 내에서도 제품 간 품질특성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쌈장의 주원료인 된장의 제조방법 및 숙성도에 따라 조단백, 아미노태질소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차이가 발생하였고 이를 통해 쌈장은 다양한 원료와 재료 배합비 및 방식의 차이에 따라 품질 특성이 다양해 짐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actory-style ssamjang (FSS) and commercial handmade-style ssamjang (HSS) products.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SS groups (49.37~62.12%, 9.39~13.46%, and 4.40~8.35%) than the FSS groups (41.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이들 제품은 높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홈쇼핑 및 통신판매 등에 힘입어 꾸준히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7). 이처럼 기업체의 공장식 장류와 소규모 업체의 수공업식 장류 제품은 생산방식과 품질적인 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 업체들이 생산하는 쌈장 제품에 대한 품질 특성 규명을 통해 향후 쌈장 제품의 품질 향상과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규모 생산업체가 규모가 큰 생산업체 보다 뛰어난 점은? 규모가 큰 생산업체에서는 체계적인 생산설비와 기술력으로 표준화된 품질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지만 이러한 장류들은 재래장류의 맛과 품질과는 차이가 있다(6). 반면 대부분 소규모 업체의 수공업식 생산 장류들은 열악한 생산 환경으로 제품의 품질 표준화가 어려운 점이 있지만 최근 국산 원료의 전통장류를 선호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전통식품인증마크를 획득한 전통장류 제조업체들이 증가하면서 부가가치 높은 지역특산품을 활용한 장류 제품들이 대규모 공장제조 장류와 차별화된 제품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서고 있다. 또한 이들 제품은 높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홈쇼핑 및 통신판매 등에 힘입어 꾸준히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7).
쌈장은 식품공전의 분류에서 어떻게 구분되는가? 쌈장은 쌈과 함께 먹는 양념장을 말하는 것으로 막장이나 재래식 된장을 주원료로 하고 고추장, 마늘, 생강, 참기름 등의 양념 원료를 가하여 제조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조미식품이며, 식품공전의 분류에서는 장류 식품 중 혼합장으로 구분하고 있다. 쌈장은 대부분 집에서 주부들에 의하여 가법으로 간단하게 제조하여 이용되던 것이 외식산업의 발달, 육류와 채소의 소비 증가, 식생활의 편의성 추구 등과 같은 사회 환경 변화에 의하여 산업적 대량 생산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1).
쌈장이란 무엇인가? 쌈장은 쌈과 함께 먹는 양념장을 말하는 것으로 막장이나 재래식 된장을 주원료로 하고 고추장, 마늘, 생강, 참기름 등의 양념 원료를 가하여 제조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조미식품이며, 식품공전의 분류에서는 장류 식품 중 혼합장으로 구분하고 있다. 쌈장은 대부분 집에서 주부들에 의하여 가법으로 간단하게 제조하여 이용되던 것이 외식산업의 발달, 육류와 채소의 소비 증가, 식생활의 편의성 추구 등과 같은 사회 환경 변화에 의하여 산업적 대량 생산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YG, Kim SJ, Han MS, Chang YI, Chang KS. 2005. Physico-chemical changes of commercial ssamjang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389-396. 

  2. Kim HW. Jang-ryu market trends and technology demand in field. http://www.soyworld.org/kboard/kboard.php?boardthesis&actview&no788&page52&search_mode&search_word&cid (accessed Sep 2015). 

  3. Seo JS, Lee TS, Shin DB. 2001.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amjang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82-387. 

  4. Korean Agricultural Economic Association. Study on the future challenges and development strategy of small scalefood processing industry. http://www.prism.go.kr/homepage/theme/retrieveThemeDetail.do;jsessionid011D790F55ED1A07575F051D87293A5C.node02?cond_research_name&cond_organ_id&cond_research_year_start&cond_research_year_end&cond_brm_super_idNB000120061201100016465&research_id1543000-201400055&pageIndex13&left-MenuLevel110 (accessed Oct 2015). 

  5. Ma JH. Reduction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in traditional fermented food. http://rnd.mfds.go.kr/innorix/innofd/index.jsp?cd1document&cd2result&cd3101360&pdfYnY (accessed Mar 2015). 

  6. Chang YI. 2008. Globalization of Korean jang products (focused on the USA market). Food Science and Industry 41(3): 28-46. 

  7. Kim DH. 2008. Processing industries and marketing of soybean food in Korea. Page No 86 presented at International Symposium on quality improvement and globalization of soybean traditional foods. Miryang, Korea. 

  8.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35. 

  9. Hamilton LF, Simpson SG. 1964. Precipitation methods. In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12th ed. Macmillan Publishing Co., New York, NY, USA. p 284-297. 

  10. Kim OS, Sung JM, Ryu HS. 2012.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mended with different ratios of deodeok (Condonopsis lanceolata) roo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667-676. 

  11.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2. Hwang IG, Shin YG, Lee J, Jeong HS, Kim HY, Yoo SM.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paste (Capsicum annuum L.) added with garlic during ag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778-1784. 

  13. Hwang CR, Jeong EM, Lee SH, Hwang IG, Kim YB, Jeong JH, Lee J, Jeong HS. 2013. Chemical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y of hydroponic-cultured ginseng roots and leaves under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911-916. 

  14.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1. 2011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s. 8th ed. Functional Food & Nutrition Division, Jeonju, Korea. p 458. 

  15. Lee SY, Baik SH, Ahn YJ, Song J, Kim JH, Choi H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orean types of fermented soybean sauces in China.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96-800. 

  16. Lim SI, Song SM. 2010.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Kochujang with licorice (Glycyrrhiza glabra), mustard (Brassica juncea), and chitosan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60-566. 

  17. Kim HL, Lee TS, Noh BS, Park JS. 1999. Characteristics of the stored samjangs with different doenjang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6-44. 

  18. Kim YK, Kim SJ, Chang KS. 2005. Browning characteristics of ssamjang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529-537. 

  19. Kim JS, Choi SH, Lee SD, Lee GH, Oh MJ. 1999. Quality changes of sterilized soybean paste during its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69-1075. 

  20. Ahn SC, Bog HJ. 2007. Consumption pattern and sensory evaluation of traditional doenjang and commercial doenjang. Korean J Food Culture 22: 633-644. 

  21. Kim YS, Kwon DJ, Oh HI, Kang TS. 1994.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2-17. 

  22. Park JM, Lee SS, Oh HI. 1995. Change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me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8: 184-191. 

  23. Oh HJ, Lim JH, Lee JY, Jheon SB, Kang HY, Oh YS, Oh YJ, Lim SB.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ju traditional Doenjang. The Korean J Culinary Res 15: 298-308. 

  24. Jeong JH, Kim JS, Lee SD, Choi SH, Oh MJ. 1998. Studies on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isoflavones in commercial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0-15. 

  25. Kim MJ, Lee HS. 1993. Studies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during soy paste fermentation (II). Korean J Soc Food Sci 9: 257-260. 

  26. Chun MS, Lee TS, Noh BS. 1995. The changes in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in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ash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5-29. 

  27. Seo JS, Lee TS. 1995. The contents of organic acid and fatty acid in traditional soy sauce prepared from meju under different formations. Korean J Food & Nutr 8: 206-211. 

  28. Park SK, Seo KI, Shon MY, Moon JS, Lee YH.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me-made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Korean J Soc Food Sci 16: 121-127. 

  29. Kim MJ, Rhee HS. 1990. Studies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during soy paste fermentation (I). Korean J Soc Food Sci 6: 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