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균물질 첨가에 의한 쌈장의 저장중 품질특성
Effect of Anti-Microbial Materials on Storages of Ssamjang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6 no.1, 2013년, pp.11 - 17  

강보라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  임고은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  김동한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원료 첨가를 달리하여 제조한 쌈장을 포장하여 $30^{\circ}C$에서 18주간 저장하면서 저장중 이화학적인 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쌈장의 색은 L-와 a-, b-값 모두 저장중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Delta}E$값의 변화는 대조구에서 심하였다. 쌈장 저장중의 가스 생성은 K-sorbate와 알코올, 겨자 첨가로 억제되었다. 저장중 쌈장의 효모수는 6주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겨자와 알코올, K-sorbate 첨가구에서 적었고, 매실즙과 울금 첨가구에서 많아 이들 첨가구에서 효모수의 증가가 가스 생성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산화환원전위(ORP)는 저장 6주, 수분활성도는 저장 12주까지 저하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근소한 증가를 보였다. 적정산도는 저장 중에 pH의 저하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K-sorbate와 알코올 첨가구에서 적었다. 환원당은 울금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저장 9주까지 증가되었으며, 알코올은 매실즙과 울금 첨가구는 저장 15주까지 증가되었다. 쌈장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맛과 향기에서 겨자와 울금 첨가구가 양호하였고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겨자 첨가구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additives on the quality of ssamjang was investigated during storage. The L-, a- and b-values of ssamjang decreased gradually during storage, and the total color difference (${\Delta}E$)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The gas production of ssamjang was reduced in K-sorb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쌈장의 저장성과 품질향상을 위하여 일반 공장에서 상업적으로 제조하는 쌈장의 제조방법을 기본으로 하고 항균활성이 있는 K-sorbate와 알코올, 겨자와 기호도 향상을 위하여 매실즙과 울금을 부원료로 첨가하여 쌈장을 제조하고 관능평가와 저장중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쌈장의 색도 변화를 Hunter scale로 측정한 결과는 어떠한가? 색도. 쌈장의 색도 변화를 Hunter scale로 측정한 결과는 Table 2와 같이 L-과 a-, b-값 모두 저장 6주까지 급격히 저하되었고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였다(p <0.05). 시험구간에는 저장 초기에는 대조구와 울금, 겨자 첨가구에서 L-과 a-, b-값이 높았으나 저장 후기에는 다른 시험구와 유사하였으며, 시판 제품은 가열살균 처리에 의한 갈변으로 L-과 a-, b-값이 낮은 수준이었다. 한편 된장의 경우 저장 중 L-과 a-, b-값 모두 15℃보다30℃에서 변화가 심하였으며 가열살균 처리하지 않은 경우 Maillard 반응보다는 효소적 갈변반응인 tyrosinase의 작용에 의한 L-dihydroxy phenyl alanine (L-DOPA)가 흑갈색인 melanin을 생성하였다고 보고(Kim 등, 1999b)하였다.
쌈장은 어떤 식품인가? 쌈장은 막장이나 된장에 고추장이나 마늘, 생강, 후추, 참기름 등의 양념류를 가미하여 제조하는 일종의 가공 된장으로, 식품공전에서는 장류 식품중 혼합장으로 구분하고 있다. 쌈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경위와 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고려시대에 쌈의 방식이 중국의 원나라로부터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Kang, 1986).
쌈장이 유통에 제한요소가 있는 이유는? 그러나 쌈장은 다른 장류와는 달리 그 제조방법의 과학화와 품질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으로 쌈장의 품질향상을 위여 Lee 등(2001)은 매실즙을 6% 첨가하거나 마늘, 생강 등 부재료로 사용하였다. 보통 쌈장은 부재료의 첨가로 염도가 낮아 일반 장류와는 달리 보존 중에 관능적, 이화학적인 품질 특성 유지가 어려워 유통에 제한요소가 되며, 다양한 제품개발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Kim 등, 2000a).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쌈장 등 장류는 보존중 품질유지를 위해서 보존료로 K-sorbate를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HY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Ulgeum (Curcuma longa L.) extract and its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 effects in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350-6. 

  2. Difco Laboratories (1984) Dehydrated culture media and reagents for microbiology. In Difco Manual (10th ed.), pp. 1064-5. Difco, Detroit, Michigan, USA. 

  3. Han SM and Kim DH (2008) Effect of combined use of anti-microbial materials on storage of low salted kochujang. J Korean Soc Biol Chem 51, 281-7. 

  4. Institute of Miso Technologists (1968) Official methods of miso analysis. pp. 1-34. Changpeung-dang, Tokyo, Japan. 

  5. James MJ (2000) Modern Food Microbiology (6th ed.), pp. 45-7. APAC, Nevada, USA. 

  6. Kang IH (1986) The History of Korea Food Pattern (in Korean). p. 148, Samyoungsa, Seoul, Korea. 

  7. Kim DH, Ahn HJ, Yook HS, and Kim MJ (2000a) Ouality properties of gamma irradiated samjang, seasoned soybean past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396-401. 

  8. Kim DH and Kwon YM (2001)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589-95. 

  9. Kim EL and Kang SC (2007) Quality evaluation by the addition of pine needle and Artemisia princeps extracts in vinegared kochujang.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67-77. 

  10. Kim GT, Hwang YI, Lim SI, and Lee DS (2000b) Carbon dioxide production and quality changes in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nd hot pepper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807-13. 

  11. Kim HL, Lee TS, Noh BS, and Park JS (1998a) Characteristics of samjangs prepared with different doenjangs as a main material.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4-61. 

  12. Kim HL, Lee TS, Noh BS, and Park JS (1999a) Characteristics of the stored samjangs with different doenjang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6-44. 

  13. Kim JS, Choi SH, Lee SD, Lee KH, and Oh MJ (1999b) Quality changes of sterilized soybean paste during its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69-75. 

  14. Kim MS, Oh JA, Shin DH, and Han MS (1998b) Fermentation properties of irradiated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34-40. 

  15. Kim ND (1996) Study on the browning and its inhibition in soybean paste(doenjang).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6. Kim YK, Kim SJ, and Chang KS (2005a) Browning characteristics of ssamjang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529-37. 

  17. Kim YK, Kim SJ, Han MS, Chang YI, and Chang KS (2005b) Physicochemical changes of commercial ssamjang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389-96. 

  18. Kwak EJ and Lim SI (2003) Effect of addition time of antibrowning agents on browning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495-500. 

  19. Kwon DJ, Kim YJ, Kim HJ, Hong SS, and Kim HK (1998) Changes of color in doenjang by different browning facto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000-5. 

  20. Lee KI, Moon RJ, Lee SJ, and Park KY (2001) The quality assessment of doenjang added with Japanese apricot, garlic and ginger, and samjang. Korean J Food Cookery Sci 17, 472-7. 

  21. Martin EP (1965) Use of acid, rose bengal, and streptomycin in the plate method for estimating soil fungi. Soil Sci 69, 215-32. 

  22. Seo JS, Lee TS, and Shin DB (2001)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amjang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82-7. 

  23. Thomas YD, Lulvwes WJ, and Kraft AA (1981) A convenient surface plate method for bacteriological examination of poultry. J Food Sci 46, 195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