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대학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건강센터 이용 실태 조사
International Students' Use of a University Health Center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1, 2016년, pp.29 - 36  

안진희 (부산대학교 병원) ,  안영미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우성일 (인하대학교 병원 & 인하대학교 의학전문 대학원) ,  송미령 (인하대학교 대학건강센터) ,  손민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ternational students' use of university health center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eason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descriptive study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electronic record system of one university health center. The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건강센터를 이용하였던 외국인 유학생들의 전산화된 검진기록을 통해 유학생들의 건강문제 및 서비스 이용 현황을 조사한 후향적 서술 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12월 1일부터 2015년 4월 1일까지였다.
  • 본 연구는 일 대학의 대학건강센터를 방문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이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연구로써, 대학건강센터의 이용현황을 유학생의 개인 특성 및 연중 이용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학생들의 가장 주된 대학건강센터 방문 이유는 호흡기계 및 이비인후과 질환이었으며, 시기적으로도 봄과 가을에 가장 빈번한 방문을 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본 연구는 한 해 동안 대학건강센터를 이용한 외국인 유학생 전수를 대상으로, 전산화된 건강기록을 이용하여 그들의 건강문제 및 서비스 이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논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그리고 개인의 기억을 바탕으로 인터뷰 및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기에 정보의 정확성을 보장하기가 어려웠으며 단편적 서술연구가 대부분으로 시기에 따른 건강상태 등을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건강센터를 이용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건강문제 및 서비스 이용현황을 대상자 특성과 년 중 시기별로 탐색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대학 건강서비스에서 지속적 관심과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감염 질환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건강 문제, 즉 정서적 문제, 흡연 및 음주와 같은 건강습관의 경우에도 대학 건강서비스에서 지속적 관심과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특히나 부모와 가족으로부터 독립하여 스스로 건강을 관리해야 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어린 나이에 겪는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와 건강문제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실제로 외국인 유학생들의 우울 정도는 한국학생보다 높았으며[6],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건강실태조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흡연율이 22.3%이였으며, 외국인 유학생이 음주하는 경우도 전체의 72.3%를 차지한 것[4]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서적인 문제와 흡연과 음주 같은 건강 위해 행위는 장기적인 유학생활을 하는 데에 어려움을 줄 수 있어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감염 질환 중 홍역의 경우 어디에서 유행했는가?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들의 건강문제는 감염 질환이 발생하여 문제시될 때 주로 주의를 끌어왔다. 감염 질환 중 홍역의 경우 필리핀,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에서 유행하였으며, 이것이 국내로 유입되면서 학교를 중심으로 2차 전파가 이루어져 2013년 107건에서 2014년 442건으로 증가한 바 있다[3]. 이뿐만 아니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4년 우리나라의 해외 유입 감염병은 뎅기열(41%), 말라리아(20%), 세균성 이질(10%), 장티푸스(6%), A형간염(5%), 홍역(5%)순으로 많았으며, 주요 유입 국가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인도, 중국, 캄보디아, 태국, 말레이시아 등의 아시아 지역(전체 81%)과 가나, 적도기니 등의 아프리카 지역(17%)이었다고 보고 하였다[3].
대학생이 청소년 건강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중요한 대상인 이유는 무엇인가? 대상자는 일반적으로 10-19세 사이를 의미하나, 성인기로의 전환기에 있는 20-24세까지의 초기 성인기에 있는 대상자까지 포함할 수 있다[1]. 특히, 대학생의 경우 아직 성인으로써의 역할의 변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고, 학생으로써의 집단생활의 특성 및 이들의 건강상태 및 건강 행위가 이후 생애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청소년 건강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매우 중요한 대상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National Research Council and Institute of Medicine. Committee on Adolescent Health Care Services and Models of Care for Treatment, Prevention, and Healthy Development. Adolescent health services: Missing opportunities [Internet]. Washington: National Academies Press; 2009 [cited 2016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books.nap.edu/openbook.php?record_id12063&page1ExternalWebSitePolicy. 

  2. Ministry of education. Statistics Korea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2013 [Interne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013 [cited 2014 June 10] Available from: http://www.moe.go.kr/web/100099/ko/board/view.do?bbsId350&boardSeq50887&modeview.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fectious diseases surveillance yearbook 2014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ited 2015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23929&page1. 

  4. Lee NY, Han JY. Health statu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1;17(1):48-56. 

  5. Park CM, Kim YB. Health promotion services and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university health clinic.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0;27(2):151-163. 

  6. Do EY, Cho IS. Comparison of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depression between Korean and foreign students at a women's university. Journal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9;20(2):161-168.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formation on expanded application of health insurance to foreigners and overseas nationals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6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CONT_SEQ324551&page1. 

  8. Jung S. Factors affecting medical care utilization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master's thesis]. Gyeonggi-do: Gachon University; 2015. p. 1-88. 

  9. Lee B.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status and health determinants of foreign workers and nativ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4;23(3):180-188. http://dx.doi.org/10.5807/kjohn.2014.23.3.180 

  10. Lee SW, Kim KS, Kim TG, Ryu HW, Lee MY, Won YL,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grant workers in Kyung-gi provinc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9;21(1):76-86. 

  11. Lee SM. Effects attitude of cross-culture and personal traits on acculturation for foreigner students living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4):368-378.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4.368 

  12. Ahn YJ, Choi BD.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eoretical review and 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2008;11(3):476-491. 

  13. Kim JA, Kim IK. Acculturative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 efficacy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1):52-61. 

  14. Son HK, Lee H, Kim M.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i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a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4):314-321. http://dx.doi.org/10.4094/chnr.2014.20.4.314 

  15. Park S. Factors affecting cigarette use and an increase in smoking frequency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7;13(3):318-328. 

  16. Seo JY, Kim MY. Stress, physical symptoms, and coping styles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6;12(4):470-477. 

  17. Moon YI, Lee IS. Health risk behaviors and related variables in students rewriting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5;11(1):90-98. 

  18. Baek SS, Ha EH, Ryo EN, Song MS. Effect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undergraduates on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2;18(4):157-163.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4.157 

  19. Moon SH, Cho HH. Gender differences in self-competence,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upper level prim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0;16(3):230-238.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3.230 

  20. Park NH, Kim MO.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5;11(4):436-443. 

  21. Lee JH. Self-related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of migrant workers living in metropolitan area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1. p. 1-82. 

  22. Kang HK, Kim TB, Kim KH, Kim MJ, Kim JH, Kim HY, et al. Development and effect of a metabolic syndrome preven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using mobile applica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3):205-214. http://dx.doi.org/10.4094/chnr.2014.20.3.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