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환자에게 요부안정화운동과 신경가동술의 치료적 효과
The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The Neurodynamic Technique o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Lumbar Instabilit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1 no.4, 2016년, pp.115 - 125  

정의용 (아산충무병원) ,  김선엽 (대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ith those of the neurodynamic technique on low back pain in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those with more than three tests with positive results for lumbar instability and those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요추부에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 환자에게 요부안정화 운동과 신경가동술을 적용하여 통증수준, 안정성, 체간 유연성 및 체간 근지구력, 요통기능장애수준, 공포-회피반응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요부안정화운동과 최근 요통 환자의 중요한 중재방법으로 부각되고 있는 신경가동술이 요통환자의 임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자들은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 환자들에게 문제가 있는 척추 주위를 지나는 신경조직들에 역동학적 운동성 제한이 동반된다면 요추부에 안정화 운동 중재뿐만 아니라 신경조직들의 동적 가동성에 초점을 맞춘 신경가동술의 중재도 요통 환자의 치료 관리에 필요한 중재법이 되지 않을까 라는 의문으로부터 연구가 시작되었다.
  • 체간 유연성 평가를 위해 선 자세에서의 체간 전방굴곡 가동범위검사(fingertip-to-floor test)를 이용하였다. 이 평가는 임상에서 체간의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평가법이며, 본 연구에서는 하지의 신경역동학적 상태를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 방법은 이 검사법의 측정 신뢰도는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부안정화운동의 역할 및 장점은 무엇입니까? 요부안정화운동은 척추분절조절과 안정성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요부 굴곡근과 신전근의 지구력 및 근력을 증진시키고 근육과 신경계통의 협조성 및 조절능력을 원활하게 하여, 요부 안정화에 관여한다(Akuthota와 Nadler, 2004). 안정화란 관절의 움직임을 의식 하거나 혹은 의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절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자세 유지와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동안 골반과 척추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움직임의 조절 및 균형 능력 증진이 목적이다(Kim과 Kwon, 2001).
체간 전방굴곡 가동범위검사를 이용하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체간 유연성 평가를 위해 선 자세에서의 체간 전방굴곡 가동범위검사(fingertip-to-floor test)를 이용하였다. 이 평가는 임상에서 체간의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평가법이며, 본 연구에서는 하지의 신경역동학적 상태를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 방법은 이 검사법의 측정 신뢰도는 .
요통으로 인한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요통은 자세 유지, 체간 움직임의 제한 및 체간 안정성의 문제로 신체의 기능적인 문제를 야기시킨다(Webright 등, 1997). 이러한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되는 요통은 체간의 연부조직의 손상과 척추 주위 근육들의 근력 약화 및 근지구력의 감소 등으로 이어져 요추부의 불안정성(instability)을 초래하게 되며(Lee, 2010), 불안정한 상태의 요추는 척추의 정렬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불균형을 유발함과 동시에 중력과 체중에 의한 부하를 불균형한 상태로 요추에 전달을 하게 된다(Lee와 Kim, 2013). 따라서 척추 주위의 근육들의 지구력과 근력, 감각 운동 조절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결과로 요추부의 불안정성과 운동조절 능력을 저하시켜 신체의 기능적인 문제를 야기시킨다(Johansson,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kuthota V, Nadler SF. Core Strengthening. Arch Phys Med Rehabil. 2004;85(3 Suppl 1):s86-92. 

  2. Bang HS.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muscle activity and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femal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Korean Soc Phys Med. 2015;10(2):63-71. 

  3. Bijur PE, Silver W, Gallagher EJ. Reliability of the visual analog scale for measurement of acute pain. Acad Emerg Med. 2001;8(12):1153-7. 

  4. Cha HG, Oh DW. Effects of sciatic nerve mobilization technique on perceived pain and knee strength in patient with chronic low back pain. Phys Ther Korea. 2010;17(3):31-9. 

  5. Christie HJ, Kumar S, Warren SA. Postural aberrations in low back pain. Arch Phys Med Rehabil. 1995;76(3):218-24. 

  6. Coleman JL, Straker LM, Cambell A, et al. Biering-Sorensen test performance of Japanese young males: comparison with other ethnicities and relationship to electromyography, near-infrared spectroscopy and exertion ratings. Ergonomics. 2011;54(7):636-55. 

  7. Deville WL, van der Windt DA, Dzaferagic A, et al. The test of lasegue: systematic review of the accuracy in diagnosing herniated. Spine. 2000;25(9):1140-7. 

  8. Ellis RF, Hing WA. Neural mobilization: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ith an analysis of terapeutic efficacy. J Man Manip Ther. 2008;16(1):8-22. 

  9. Gill KP, Callaghan MJ. The measurement of lumbar proprioception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Spine. 1998;23(3):371-7. 

  10. Hebert JJ, Koppenhaver SL, Magel JS, et al. The relationship of transversus abdominis and lumbar multifidus activation and prognostic factors for clinical success with a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A crosssectional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10;91(1):78-85. 

  11. Hicks GE, Fritz JM, Delitto A,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of clinical examination measure for identification of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2):1858-64. 

  12. Hicks GE, Fritz JM, Delitto A, et al.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clinical prediction rule for determining which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ill respond to a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Arch Phys Med Rehabil. 2005;86(9):1753-62. 

  13. Jang KR. Effect of neurodynamics on pain and paresthesia on lumbar hernia operated patient. Master's Degree. Daegu Catholic University. 2013. 

  14. Johansson JA. Psychosocial work factors, physical work load and associ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home care workers. Scand Psychol. 1995;36(2):113-29. 

  15. Joo MK, Kim TY, Kim JT,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Phys Ther Korea. 2009;16(2):24-30. 

  16. Kasai Y, Morishita K, Kawakita E, et al. A new evaluation method for lumbar spinal instability: Passive lumbar extension test. Phys Ther. 2006;86(12):1661-7. 

  17. Kim DY, Lee SH, Lee HY, et al.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pine. 2005;30(5):123-7. 

  18. Kim HH. The effects of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 on lumbar paraspinal and abdorminal muscles function for patients with the chronic low back pain. Korea Sport Research. 2007;18(4):135-45. 

  19. Kim SY, Kim TY, Park SJ. A clinical application with the principle of hanging point in the sling exercise 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aedic Manual Therapy. 2003;9(2):25-45. 

  20. Kim SY, Kwon JH.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the sling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Therapy. 2001;7(2):23-39. 

  21. Kim TY. The effects of spinal stability exercise using the sling and mat. Korea Sport Research. 2005;16(6):273-80. 

  22. Landel R, Kulig K, Fredericson M, et al. Intertest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otion assessments during lumbar spine accessory motion testing. Phys Ther. 2008;88(1):43-9. 

  23. Lee HO. Activation of trunk muscle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 in four-point kneeling. J Kore Phys Ther. 2010;22(5):33-8. 

  24. Lee HJ, Kim SY.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bdominal draw-in and expansion maneuvers on trunk stabilizatio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lumbar spine instability. Phys Ther Korea. 2015;22(1):33-48. 

  25. Lee KH, Son KH, Bang JH. The effects of neurodynamics and PNF on pain, flexibility, balance and gait of patients received a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surgery.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6;10(2):253-60. 

  26. Lee MK, Kim BK. Comparison of abdominal muscle activity after sling and swiss-ball exercises in asymptomatic adults. J Korean Soc Phys Med. 2014;9(3):333-8. 

  27. Lee SJ, Kim YM. The effects of gluteal muscle exercises combined lumbar stabilization on lumbar stability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J Korean Soc Phys Med. 2013;8(1):29-39. 

  28. Lundborg G, Rydevik B. Effects of stretching the tibial nerve of the rabbit. A preliminary study of the intraneural circulation and the barrier function of the perineurium. J Bone Joint Surg Br. 1973;55(2):390-401. 

  29. Maitland GD. The slump test: examination and treatment. Aust J Physiother. 1985;31(6):215-9. 

  30. McLellan DL, Swash M. Longitudinal sliding of the median nerve during movements of the upper limb.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76;39(6):566-70. 

  31. Mo MS, Park HS. The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neurodynamic techniques on lumbar muscular strength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in lumbar disc herniation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Therapy. 2016;22(1):1-7. 

  32. Park GD, Lee WJ, Park SJ. The effect of sling exercise on lumbar back strength stabilization for lumbar hernia operation patie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05;25:339-52. 

  33. Seo JK, Kim SY. The relationship between hip abductor muscle strength and lumbar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Kor Phys Ther. 2011;23(4):15-22. 

  34. Scrimshaw SV, Maher CG.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neural mobilization after spinal surgery. Spine. 2001;26(24):2647-52. 

  35. Shacklock M. Improving application of neurodynamic(neural tension) testing and treatments: A message to researchers and clinicians. Man Ther. 2005;10(3):175-9. 

  36. Sin IH. The effect of back pain program on pain, functional disability, back pain management behavior, muscle strength and flexibility for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Master's Degree. Kyung-won University. 2012. 

  37. Son HH. Trunk muscle activation during bridging exercise with various shoulder supporting surfaces. J Korean Soc Phys Med. 2015;10(3):299-304. 

  38. Talebi GA, Taghipour-Darzi M, Norouzi-Fashkhami A. Treatment of chronic radiculopathy of the first sacral nerve root using neuromobilization techniques. J Back Musculoskeletal Rehabil. 2010;23(3):151-9. 

  39. Topp KS, Boyd BS. Structure and biomechanics of peripheral nerves: nerve responses to physical stresses and implications for physical therapist practice. Phys Ther. 2006;86(1):92-109. 

  40. Waddell G, Somerville D, Henderson I, et al. Objective clinical evaluation of physical impairment in chronic low back pain. Spine. 1992;17:617-28. 

  41. Webright WG, Randolph BJ, Perrin DH. Comparison of nonballistic active knee extension in neural slump position and static stretch techniques on hamstring flexibility.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7;26(1):7-13. 

  42. Wiltse L, Rothman S. Spondylolisthesis: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natural history. Semin Spine Surg. 1989;1(1):78-94. 

  43. Yu CW, Kim SY. Comparison of lumbopelvic rotation angle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without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J Korean Soc Phys Med. 2015;10(4):39-48. 

  44. Yu JH, Hur JG, Ko TS. The effect of management of neurodynamic and mechanical interface in low back related leg pa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3;5(1):69-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