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자의 시설 입소 영향 요인
Factors Related to Nursing Hom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using Home Care Service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0 no.3, 2016년, pp.512 - 525  

한은정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황라일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  이정석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geing in place ma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frail elderly and decrease their costs of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using home care services in a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Methods: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일개 지역에서 일부 특정 대상자만을 포함하여 단면적 조사 연구로 진행되었거나 노인장기요양 시설 입소 전환을 단기간 추적조사 통해 분석하였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전국 단위로 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여, 장기간의 추적을 통하여 시설 입소 전환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재가서비스 이용을 선택하고 이를 유지하는데 어떠한 요인이 관련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장기요양제도는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따라 노인에 대한 수발 부담을 사회연대원리에 따라 해결하고자 도입한 노인장기요양제도는 서비스 이용자 증가, 시설, 인력 등 인프라 확대와 더불어 가족부양부담 경감, 심리적, 정서적 안정감 증가, 이용자 만족도 제고 및 국민의료비 절감 등 제도 시행 이후 단기간에 안정적으로 연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Kwon, Kim, Choi, & Kim, 201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NHIS], 2016). 그러나 세계에서 유례없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진행 속도와 함께 국민들의 생활수준과 의식수준 향상 그리고 서비스 요구도 증가 등으로 인해 아직까지는 GDP 대비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 규모 비율이 OECD 국가 평균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2050년에는 다른 OECD 국가보다 오히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노인장기요양 재원의 안정적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Ha, 2015).
노인장기요양제도의 목적은 무엇인가?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따라 노인에 대한 수발 부담을 사회연대원리에 따라 해결하고자 도입한 노인장기요양제도는 서비스 이용자 증가, 시설, 인력 등 인프라 확대와 더불어 가족부양부담 경감, 심리적, 정서적 안정감 증가, 이용자 만족도 제고 및 국민의료비 절감 등 제도 시행 이후 단기간에 안정적으로 연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Kwon, Kim, Choi, & Kim, 201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NHIS], 2016). 그러나 세계에서 유례없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진행 속도와 함께 국민들의 생활수준과 의식수준 향상 그리고 서비스 요구도 증가 등으로 인해 아직까지는 GDP 대비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 규모 비율이 OECD 국가 평균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2050년에는 다른 OECD 국가보다 오히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노인장기요양 재원의 안정적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Ha, 2015).
재가서비스 중심으로 노인장기요양체계를 운영하는것은 어떤 정책방향인가?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재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 중에서 서비스 급여 범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조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일환으로 OECD 국가들은 대부분 시설 보다는 재가서비스 중심으로 노인장기요양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재정 안정성 확보뿐만 아니라 노인이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자택에서 재가서비스를 받게 함으로써 ‘현 거주장소에서의 노화(ageing in place)’를 실현하는 중요한 정책 방향이다.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서도 장기요양 제공의 기본 원칙을 재가서비스 우선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재가서비스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주야간보호 활성화 정책(월 20일 이상 이용시 월한도액 150% 상향), 가족수발자 지원 정책(치매가족휴가제, 24시간 방문요양 도입, 가족수발자 상담지원프로그램 개발), 통합재가서비스 모델 개발 등 다각적인 정책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de Vugt, M. E., Stevens, F., Aalten, P., Lousberg, R., Jaspers, N., & Verhey, F. R. (2005). A prospective study of the effects of behavioral symptoms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atients with dementia.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7(4), 577-589. 

  2. Eska, K., Graessel, E., Donath, C., Schwarzkopf, L., Lauterberg, J., & Holle, R. (2013). Predictors of institutionalization of dementia patients in mild and moderate stages: a 4-year prospective analysis.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EXTRA. 3(1), 426-45. http://dx.doi.org/10.1159/000355079.eCollection2013. 

  3. Gaugler, J. E., Kane, R. L., Kane, R. A., Clay, T., & Newcomer, R. (2003). Caregiving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ognitively impaired older people: utilizing dynamic predictors of change. Gerontologist, 43(2), 219-229. 

  4. Ha, H. S. (2015). Evaluation of Long term care insurance (Serial Number 339). Seoul: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5. Hajek, A., Brettschneider, C., Lange, C., Posselt, T., Wiese, B., Steinmann, S., Weyerer, S., Werle, J., Pentzek, M., Fuchs, A., Stein, J., Luck, T., Bickel, H., Mosch, E., Wagner, M., Jessen, F., Maier, W., Scherer, M., Riedel-Heller, S. G., & Konig, H. H. (2015). Longitudinal predictors of institutionalization in old age. PLoS One. 10(12), e0144203.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44203. 

  6. Han, E. J., Kang, I. O., & Kwon, J. H. (2011). A study of determinants on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using home care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2), 259-276. 

  7. Hwang, E. H., Jung, D. Y., Kim, M. J., Kim, K. H., & Shin, S. J. (2012). Comparison of frequency and difficulty of care helper job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and client hom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101-112.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1.101 

  8. Kim, E. J. & Jung, S. Y. (2009). The association between dimensions of social service quality and service user's satisfaction: focused on domiciliar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Social Welfare Policy, 36(2), 191-217. 

  9. Kim, S. H., Park, C. Y., & Nam, C. M. (2011). Related factors of in-home service utilization i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among certificated elderly living alone. Health and Social Science, 29, 237-258. 

  10. Kwon, J. H., Kang, I. O., & Han, E. J. (2009). Study of long - term care service satisfaction.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11. Kwon, S. M., Kim, H. S., Choi, S. J., & Kim, Y. H. (2015). Financial projection for long term care insurance. Seoul: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12. Lee, Y. K. (2009). Factors of long term care service use by the elderl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9(1), 213-235. 

  13. Luppa, M., Luck, T., Weyerer, S., Konig, H. H., Brahler, E., & Riedel-Heller, S. G. (2010). Prediction of institutionalization in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ge & Ageing, 39(1), 31-38. http://dx.doi.org/10.1093/ageing/afp202.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Notification no. 223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notice of such long-term care benefit and cost estimation methods. Sejong: Author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June). Receive home-visit care, home-visit nursing & home-visit bathing at once. Retrieved July 25, 2016, from http://www.mohw.go.kr/m/noticeView.jsp?MENU_ID0403&cont_seq332648&page1#contents 

  16.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2010). 2008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Wonju: Author. 

  1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2014). 2013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Wonju: Author.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2016). 2015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Wonju: Author. 

  19. OECD Korea Policy Centre. (2014). Health at a glance 2013 OECD indicators (Korean version). Seoul: Author 

  20. Okura, T., Plassman, B. L., Steffens, D. C., Llewellyn, D. J., Potter, G. G., & Langa, K. M. (2011). Neuropsychiatric symptoms and the risk of institutionalization and death: the aging, demographics, and memory study.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9(3), 473-481.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1.03314.x. 

  21. Park, J. (2015). Determinants of long term care service types of family caregiver.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0, 31-51. 

  22. Peng, R. & Wu, B. (2015). Changes of health status and institutionalization among older adults in China.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7(7), 1223-1246. http://dx.doi.org/10.1177/0898264315577779. 

  23. Ryu, H. S. & Arita, K. (2015). Policy implications for home-visit nursing(hvn) of the Korean long term care insurance through the implications of the Japanese HV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3), 403-411. http://dx.doi.org/10.5932/JKPHN.2015.29.3.403 

  24. Seon, U. D. (2013). A study on the trend and its implication for long term care insurance in Japan. Issue & Focus, 213, 1-8. 

  25. Song, M. S. & Lim K. S. (2016). The barriers and solution of providing long-term care services at home for the beneficiaries with mild dementia: a focus group interview.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2), 259-273.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2.259 

  26. Sorbye, L. W., Hamran, T., Henriksen, N., & Norberg, A. (2010). Home care patients in four Nordic capitals-predictors of nursing home admission during one-year follow up.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Healthcare, 24(3), 11-18. 

  27. Wergeland, J. N., Selbaek, G., Bergh, S., Soederhamn, U., & Kirkevold, O. (2015). Predictors for nursing home admission and death among community-dwelling people 70 years and older who receive domiciliary care.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EXTRA. 4(5), 320-329. http://dx.doi.org/10.1159/000437382. 

  28. Yoo, A. J. (2015). Analysis of the contents of revision of the japanes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2015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5(4), 985-1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