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산업은 우리나라의 문화에 대한 척도로서 국민들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산업일 뿐만 아니라 국경제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어 반드시 육성해야 하는 전략산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김치산업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국가적인 공감대의 형성 부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은행이 2015년에 발표한 2013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김치산업이 국민경제에 얼마만큼 기여하는지를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한국은행의 2013년 산업연관표흫를 활용하여 김치산업연관표 만들어 분석해야 한다. 분석결과 김치산업의 총샌산유발액은 564,254십억원, 생산유발계수는 1.8418(열), 1.1760(행), 감응도계수는 0.6136 영향력계수는 0.9611 소득유발계수 0.1876 생산세유발계수는 0.0084 그리고 노동유발계수는 0.003 등으로 나타났다.
김치산업은 우리나라의 문화에 대한 척도로서 국민들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산업일 뿐만 아니라 국경제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어 반드시 육성해야 하는 전략산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김치산업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국가적인 공감대의 형성 부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은행이 2015년에 발표한 2013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김치산업이 국민경제에 얼마만큼 기여하는지를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한국은행의 2013년 산업연관표흫를 활용하여 김치산업연관표 만들어 분석해야 한다. 분석결과 김치산업의 총샌산유발액은 564,254십억원, 생산유발계수는 1.8418(열), 1.1760(행), 감응도계수는 0.6136 영향력계수는 0.9611 소득유발계수 0.1876 생산세유발계수는 0.0084 그리고 노동유발계수는 0.003 등으로 나타났다.
The kimchi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boosts the self-esteem of the people as a measure of a country's culture industry, and is one of the strategic industries to be fostered. However, the kimchi industry is struggling due to the lack of national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value o...
The kimchi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boosts the self-esteem of the people as a measure of a country's culture industry, and is one of the strategic industries to be fostered. However, the kimchi industry is struggling due to the lack of national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kimchi indus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much the kimchi industry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by measuring economic effects of the kimchi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kimchi industry Input-Output Table of year 2013 of korea. The results shows that kimchi industry induce 510,013 billion won of national production, especially the retail trade distribution industry shows that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s 1.8418(row), 1.1760(column),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is 0.9611,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is 0.6136, income inducement coefficient is 0.1820, tax inducement coefficient is 0.0084 and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is 0.003.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kimchi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boosts the self-esteem of the people as a measure of a country's culture industry, and is one of the strategic industries to be fostered. However, the kimchi industry is struggling due to the lack of national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kimchi indus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much the kimchi industry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by measuring economic effects of the kimchi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kimchi industry Input-Output Table of year 2013 of korea. The results shows that kimchi industry induce 510,013 billion won of national production, especially the retail trade distribution industry shows that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s 1.8418(row), 1.1760(column),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is 0.9611,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is 0.6136, income inducement coefficient is 0.1820, tax inducement coefficient is 0.0084 and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is 0.003.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technolog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은행이 2015년에 발표한 2013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김치산업이 국민경제에 얼마만큼 기여하는지를 타산업과 비교분석함으로써 김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계량적으로 측정 평가하여 향후 김치산업의 정책 및 전략 수립에 일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은행이 2015년 발표한 2013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김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그 동안 다소 소홀히 취급되었던 김치를 하나의 산업으로 확대, 분석함으로써 김치의 학문적 연구범위를 확대시켰으며, 특히 김치산업의 역할을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2013년 단일 년도를 중심으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으나 김치산업의 구조변화와 경제적 효과를 년도 별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정년도를 기준으로 한 접속불변 산업연관표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제안 방법
따라서 김치산업의 산업간 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파악하여 국민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김치산업을 대상으로 한 산업연관표를 먼저 작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김치산업이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상 산업분류에서는 독립적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아 2013년 산업연관표[15]를 이용하여 기본분류인 328개 산업 중 김치산업과 관련된 채소작물재배업(002), 조미료 및 식품첨가물제조업(033) 그리고 과실, 채소가공 및 저장처리업(035)만을 김치산업으로 분류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산업은 대분류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16]. 따라서 김치산업의 산업연관표는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김치산업과 더불어 총31개 부문으로 정의될 수 있다[15].
본 연구는 김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은행이 2015년에 발표한 2013년 산업연관표 328개 산업 중 김치산업과 관련된 채소작물재배업(002), 조미료 및 식품첨가물제조업(033),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처리업(035) 만을 김치산업으로 분류하고 새로이 김치 산업연관표를 작성, 활용하여 김치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김치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열 합계는 1.
성능/효과
따라서 김치 산업의 영향력계수는 어떤 산업의 생산물에 대한 최중 수요가 한 단위 발생할 때 전 산업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즉 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 가를 해당 산업의 생산유발계수 열 합계를 전 산업 평균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영향력계수가 1보다 큰 산업은 그 산업에 대한 최종 수요가 경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큼을 가리키며, 영향력계수가 1보다 작은 산업은 그 재화에 대한 최종수요가 경제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감응도계수는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1단위씩 발생할 때 김치 산업이 받는 영향 즉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그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행 합계를 전 산업 평균으로 나눈 값이다.
김치 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광업, 석탄 및 석유제품, 전력, 가스, 도소매업, 운수업, 공공행정 및 국방, 보건 및 사회복지산업 등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농림어업, 음식료품, 섬유, 목재, 종이, 금속제품, 음식점 및 숙박업 등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표 2]에 김치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열 합계는 1.
이것은 김치 산업의 수요변화가 타 산업들의 수요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못해 다른 산업을 견인하는 정도가 작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김치산업은 감응도계수가 1보다 작고, 영향력계수도 1보다 작아 최종수요적 원시산업형이라 할 수 있다.
1%를 점하고 있다. 생산세 유발액은 총 2,492십억 원으로 이 중 김치산업 자체에서는 43십억 원의 생산세가 발생되어 전체의 약1.7%로 음식료품, 섬유, 목재, 석탄, 금속제품, 전기 전자, 전기, 정밀기기, 전력, 수송, 공공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김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은행이 2015년에 발표한 2013년 산업연관표 328개 산업 중 김치산업과 관련된 채소작물재배업(002), 조미료 및 식품첨가물제조업(033),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처리업(035) 만을 김치산업으로 분류하고 새로이 김치 산업연관표를 작성, 활용하여 김치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김치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열 합계는 1.8418, 행 합계는 1.1760으로 다른 산업 비해 낮은 생산유발효과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김치 산업이 자기자본비율이 낮고 중소영세기업이 대부분인 취약성을 반영한 것으로 김치산업이 국가의 전략산업의 하나로써 산업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김치산업의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는 각각 0.
1760으로 다른 산업 비해 낮은 생산유발효과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김치 산업이 자기자본비율이 낮고 중소영세기업이 대부분인 취약성을 반영한 것으로 김치산업이 국가의 전략산업의 하나로써 산업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김치산업의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는 각각 0.6136, 0.9611로 다른 산업 보다 다소 높으나 1보다 작은 값을 보여 경제여건에 상대적으로 다소 둔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김치 산업의 수요변화가 타 산업들의 수요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못해 다른 산업을 견인하는 정도가 작아 최종수요적 원시산업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김치산업의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0.
9611로 다른 산업 보다 다소 높으나 1보다 작은 값을 보여 경제여건에 상대적으로 다소 둔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김치 산업의 수요변화가 타 산업들의 수요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못해 다른 산업을 견인하는 정도가 작아 최종수요적 원시산업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김치산업의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0.6932로 다소 높은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보이는 것은 다른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자재의 수입의존도가 낮아 부가가치 창출의 기회가 국외보다는 국내에서 대부분 창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김치 산업의 소득유발계수는 0.
0084로 다른 산업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치 산업이 타산업보다 세 부담이 큼을 알 수 있다. 넷째, 김치산업의 노동유발계수는 0.003으로 이는 국가경제에 10억 원을 투입할 경우 3명의 노동이 유발되는데 이 중 직접적으로는 1명, 간접적으로는 2명의 노동이 유발됨을 의미한다. 이처럼 김치산업은 다른 어떤 산업보다 생산에 필요한 노동수요를 적게 유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김치산업은 다른 어떤 산업보다 생산에 필요한 노동수요를 적게 유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김치산업의 최종수요 9,497십억 원을 국가경제에 투입할 경우 전 산업에서 유발되는 총생산유발액은 564,254십억 원으로 김치산업 자체는 11,168십억 원(약 2%), 부가가치유발액은 201,586십억 원으로 김치산업은 4,736십억원(약2.3%), 소득유발액은 92,967십억 원으로 이중 김치산업 자체에서는 997십 억원(약 1.1%), 생산세 유발액은 총 2,492십억 원으로 이중 김치산업 자체에서는 43십억 원(약1.7%) 등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본 연구는 한국은행이 2015년 발표한 2013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김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그 동안 다소 소홀히 취급되었던 김치를 하나의 산업으로 확대, 분석함으로써 김치의 학문적 연구범위를 확대시켰으며, 특히 김치산업의 역할을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2013년 단일 년도를 중심으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으나 김치산업의 구조변화와 경제적 효과를 년도 별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정년도를 기준으로 한 접속불변 산업연관표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업연관표분석 방법이 지닌 여러 가정과 통계적 처리방법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산가능일반균형(CGE) 모형으로 실제의 김치산업의 경제 통계를 활용하여 정책, 기술 등의 요인에 대해 김치산업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2013년 단일 년도를 중심으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으나 김치산업의 구조변화와 경제적 효과를 년도 별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정년도를 기준으로 한 접속불변 산업연관표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업연관표분석 방법이 지닌 여러 가정과 통계적 처리방법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산가능일반균형(CGE) 모형으로 실제의 김치산업의 경제 통계를 활용하여 정책, 기술 등의 요인에 대해 김치산업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입산출분석은 어떤 분석방법인가?
한 나라의 국민경제에서는 재화와 서비스가 생산되고 그 생산과정에서 각 산업은 원재료의 거래관계를 토대로 직접, 간접으로 연관을 맺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생산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산업간 상호연관관계와 경제구조를 수량적으로 파악하는 분석방법이 산업연관분석 또는 투입산출분석(input-output analysis)이다[17][18].
김치산업 발전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김치산업은 우리나라의 문화에 대한 척도로서 국민들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산업일 뿐만 아니라 경제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어 반드시 육성해야 하는 전략산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김치산업의 국민경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김치산업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국가적인 공감대의 형성 부족과 김치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서의 가치 인식의 미미로 인하여 김치산업의 발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 김치산업의 산업 간 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파악하여 국민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김치산업을 대상으로한 산업연관표를 먼저 작성하는 이유는?
김치산업의 산업간 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파악하여 경제적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김치산업을 대상으로 한 산업연관표를 먼저 작성해야 한다. 왜냐 하면 한 나라의 경제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산업은 서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한 산업에서 생산에 대한 수요 변화는 그 산업의 자체의 재화 및 서비스 뿐만 아니라 여타 산업의 중간재로 이용되어 생산을 증대시키는 과정을 거쳐 결과적으로 자체 산업의 성장과 함께 다른 산업에게도 영향을 미쳐 성장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1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