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 및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연구 Study of Correlations Resilience of the Beauty Industry Employees and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dex원문보기
미용 산업은 다른 어떤 산업보다도 미용종사자의 전문적인 노동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미용종사자는 고객과 직접 접촉하고 지극히 세심한 배려를 요하는 서비스업으로 서비스의 접점에 있는 종사자의 행복감은 미용 산업의 성장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 행복지수, 직무만족 분석을 통해 고객의 만족만을 강조하는 서비스 산업에서 서비스업의 성공여부는 서비스 종사자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 및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가설을 통해 검증해본 결과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행복지수와 직무만족에, 행복지수는 직무만족과 회복탄력성에, 직무만족은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개인의 행복이 증대되면 직무에 대한 만족이 증대되고 직무의 성과도 높아지게 되므로 미용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미용인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미용 산업은 다른 어떤 산업보다도 미용종사자의 전문적인 노동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미용종사자는 고객과 직접 접촉하고 지극히 세심한 배려를 요하는 서비스업으로 서비스의 접점에 있는 종사자의 행복감은 미용 산업의 성장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 행복지수, 직무만족 분석을 통해 고객의 만족만을 강조하는 서비스 산업에서 서비스업의 성공여부는 서비스 종사자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 및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가설을 통해 검증해본 결과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행복지수와 직무만족에, 행복지수는 직무만족과 회복탄력성에, 직무만족은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개인의 행복이 증대되면 직무에 대한 만족이 증대되고 직무의 성과도 높아지게 되므로 미용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미용인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beauty industry relies heavier upon the specialized labor of beauty industry employees than any other industry. Beauty industry employees directly meet their clients and are required to provide services with extremely delicate care. The sense of happiness of employees working at the interface of...
The beauty industry relies heavier upon the specialized labor of beauty industry employees than any other industry. Beauty industry employees directly meet their clients and are required to provide services with extremely delicate care. The sense of happiness of employees working at the interface of service provision matters most importantly for beauty industry growth.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among beauty industry employees' resilience, happiness index and job satisfaction was tested under hypotheses. As a result, their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index and job satisfaction; happiness index, on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n resilience and happiness index. Consequentially, it was found that when individual happiness increased, their job satisfaction moved up along with job performance. In this sense,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beauty industry,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sider methods to improve the sense of happiness of beauty industry employees.
The beauty industry relies heavier upon the specialized labor of beauty industry employees than any other industry. Beauty industry employees directly meet their clients and are required to provide services with extremely delicate care. The sense of happiness of employees working at the interface of service provision matters most importantly for beauty industry growth.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among beauty industry employees' resilience, happiness index and job satisfaction was tested under hypotheses. As a result, their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index and job satisfaction; happiness index, on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n resilience and happiness index. Consequentially, it was found that when individual happiness increased, their job satisfaction moved up along with job performance. In this sense,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beauty industry,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sider methods to improve the sense of happiness of beauty industry employe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나 이러한 행복지수는 개개인의 성향 즉, 회복탄력성에 따라서도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을 수 있으며 직무만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됨에도 미용종사자의 행복에 관한 선행연구는 극히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 행복지수, 직무 만족의 상관관계를 밝혀 보고자한다. 이를 통해 고객만족만을 특히 강조하는 미용서비스 산업의 성공여부가 종사자의 행복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 행복지수, 직무 만족의 상관관계를 밝혀 보고자한다. 이를 통해 고객만족만을 특히 강조하는 미용서비스 산업의 성공여부가 종사자의 행복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산업 종사자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종사자에게 의존하는 산업인 미용 산업에서 미용서비스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 및 직무만족도가 서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며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독립변수를 회복탄력성으로 선정하고, 종속변수를 행복지수 및 직무만족도로 선정하여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다음 [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H1.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행복지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내재적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2.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외재적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미용종사자의 행복지수는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1. 미용종사자의 행복지수는 내재적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2. 미용종사자의 행복지수는 외재적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미용종사자의 행복지수는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안 방법
본 연구는 서비스 산업 종사자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종사자에게 의존하는 산업인 미용 산업에서 미용서비스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 및 직무만족도가 서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며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독립변수를 회복탄력성으로 선정하고, 종속변수를 행복지수 및 직무만족도로 선정하여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다음 [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행복지수는 서은국․구재선(2010)의 단축형 행복척도(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를 사용하였다[25]. 본 척도는 삶의 만족,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의 3개 하위요인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삶의 만족은 개인적 측면에 대한 만족도와 대인관계, 소속집단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고,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는 행복과 밀접하게 연관된 정서의 양을 측정한다. 채점에 있어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7점까지 7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미용업에 근무하고 있는 미용종사자로 단순 무작위 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조사를 위한 설문지 300부를 2015년 6월1일부터 6월15일까지 총 15일간 미용종사자들에게 직접 배부하고 회수한 결과 수집한 자료 중 응답이 성실하지 못 하거나 누락이 많은 9명의 설문지를 분석에서 제외하고 총 291부의 설문지를 채택하여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미용업에 근무하고 있는 미용종사자로 단순 무작위 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조사를 위한 설문지 300부를 2015년 6월1일부터 6월15일까지 총 15일간 미용종사자들에게 직접 배부하고 회수한 결과 수집한 자료 중 응답이 성실하지 못 하거나 누락이 많은 9명의 설문지를 분석에서 제외하고 총 291부의 설문지를 채택하여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데이터처리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주요 변수의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였다.
셋째, 주요 변수의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였다. 다섯째, 가설검증을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였다. 다섯째, 가설검증을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회복탄력성은 Reibeach와 Shatte(2002)가 개발한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tient Test : RQT) 문항을 한국문화에 맞게 수정 보완한 김주환(2011)의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KRQ-53)를 사용하였다.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KRQ-53)는 3개의 하위요인과 총 5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복지수는 서은국․구재선(2010)의 단축형 행복척도(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를 사용하였다[25]. 본 척도는 삶의 만족,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의 3개 하위요인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삶의 만족은 개인적 측면에 대한 만족도와 대인관계, 소속집단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고,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는 행복과 밀접하게 연관된 정서의 양을 측정한다.
직무만족도는 Dawis와 Lofquist(1984)가 개발하여 이후 직무만족 조사도구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미네소타 직무만족 설문지(Minesota Satistaction Questionnaire: MSQ)를 박아이린(2005)이 검사의 문항 및 척도 타당성 분석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내재적 요인은 업무량, 독립성, 다양성, 인정, 윤리 가치, 직무의 난이도, 문제해결의 성취감, 자율성, 발전 가능성, 승진, 사회적 서비스, 책임감의 12가지를 포함하고, 외재적 요인은 급여, 근무환경, 사내정책, 동료와의 관계, 상사의 감독 유형, 상사의 의사결정방식, 사회적 지위, 직업의 안정성의 8가지를 포함한다.
성능/효과
응답 가능 점수는 53∼265점으로 응답점수가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은 높음을 의미하고, 결과 처리 시 부정적인 내용의 문항은 역 채점을 한 후 사용하였다.
문항들의 내적 합치도(Internal-Item Consistency)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표 1]과 같다. 전체 신뢰도는 0.927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로 자기조절능력은 0.824, 대인관계능력은 0.857, 긍정성은 0.870으로 나타났다.
문항들의 내적 합치도(Internal-Item Consistency)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전체 신뢰도는 0.917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로 내재적 요인은 0.880, 외재적 요인은 0.837로 나타났다.
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사업종은 헤어가 35.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동료인원수는 10명 이상이 3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6]과 같이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별 자기조절능력(r=.459, p<.001), 대인관계능력(r=.329, p<.001), 긍정성(r=.518, p<.001)은 행복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긍정성(β=.403, p<.001), 자기조절능력(β=.244, p<.001)이 행복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복지수는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별 내재적 요인(r=.568, p<.001), 외재적 요인(r=.56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별 자기조절능력(r=.531, p<.001), 대인관계능력(r=.480, p<.001), 긍정성(r=.574, p<.001)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별 내재적 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별 자기조절능력(r=.369, p<.001), 대인관계능력(r=.306, p<.001), 긍정성(r=.419, p<.001)은 외재적 요인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5]와 같이 회복탄력성은 전체 평균 184.45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 자기조절능력 평균 60.43점, 대인관계능력 평균 63.76점, 긍정성 평균 60.26점으로 나타났다. 행복지수는 전체 평균 58.
26점으로 나타났다. 행복지수는 전체 평균 58.84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 삶의 만족 평균 14.40점, 긍정적 정서 평균 13.79점, 부정적 정서 평균 11.38점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전체 평균 72.
38점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전체 평균 72.01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 내재적 요인 평균 44.31점, 외재적 요인 평균 27.70점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긍정성(β=.334, p<.001), 자기조절능력(β=.259, p<.001), 대인관계능력(β=.134, p<.05)순으로 내재적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종사자의 행복지수 향상에 있어서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별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즉, 삶의 만족,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등의 행복지수가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성, 자기조절능력 등에 중요한 영형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5)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회복탄력성중 긍정성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권수현(2010)의 연구에서도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유아교육업무에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0.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41.724, p<.001).
또한step1 매개조건을 충족한 변수에 대해 step2 매개조건 분석결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별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은 내재적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p<.001).
분석결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별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은 step1에서 매개변수인 행복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p<.001).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9.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62.223, p<.001).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9.8%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3.577, p<.001).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2.2%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37.328, p<.001).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2.0%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35.895, p<.001).
001)는 외재적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지수가 높을수록 상사의 의사결정이나 근무환경인 외재적 요인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김유진, 정민정의 연구에서도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행복감 간의 상관은 유의미했으며, 구성원의 행복을 증진시킴에 따라 종사자 개개인의 직무만족에 의미를 두고 있는 김경은(2012)의 연구는 행복지수를 높여 직무만족도를 높이고자하는 본 연구내용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step1 매개조건을 충족한 변수에 대해 step 2 매개조건 분석결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별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은 외재적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p<.001).
step2 매개조건을 충족한 변수에 대해 step3 매개조건 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별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고, 매개변수인 행복지수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행복지수는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과 내재적 요인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tep2 매개조건을 충족한 변수에 대해 step3 매개조건 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별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고, 매개변수인 행복지수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행복지수는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과 외재적 요인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미용종사자의 행복지수 향상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직무만족도 요인 중 내재적 요인 향상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요인인 긍정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과 인과관계에 있으며 외재적 요인 향상에 있어서는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첫째,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미용종사자의 행복지수 향상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직무만족도 요인 중 내재적 요인 향상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요인인 긍정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과 인과관계에 있으며 외재적 요인 향상에 있어서는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미용종사자의 행복지수는 직무만족도 요인 중 내재적 요인 향상과 외재적 요인 향상에 있어서는 행복지수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직무만족도 요인 중 내재적 요인 향상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요인인 긍정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과 인과관계에 있으며 외재적 요인 향상에 있어서는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미용종사자의 행복지수는 직무만족도 요인 중 내재적 요인 향상과 외재적 요인 향상에 있어서는 행복지수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복지수는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내, 외재적 요인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종사자의 행복지수는 직무만족도 요인 중 내재적 요인 향상과 외재적 요인 향상에 있어서는 행복지수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복지수는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내, 외재적 요인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복지수는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내적 직무만족도는 물론 외적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매개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행복지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업무상 찾아오는 시련이나 좌절에 대한 회복탄력성이 유연해짐을 알 수 있다. 회복탄력성이 높을 때 직무만족의 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매개적 영향력이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객만족만을 강조하는 미용서비스 산업이 아닌 내부고객인 미용종사자들의 만족감을 높이는 것이 업무능력이 상승될 수 있다는 패러다임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조사 대상자를 부산지역 미용인으로 제한함으로 인해 향후 대상자의 확대 연구가 요구된다.
후속연구
본 연구를 통해 고객만족만을 강조하는 미용서비스 산업이 아닌 내부고객인 미용종사자들의 만족감을 높이는 것이 업무능력이 상승될 수 있다는 패러다임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조사 대상자를 부산지역 미용인으로 제한함으로 인해 향후 대상자의 확대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 행복지수 및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제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조사 대상자를 부산지역 미용인으로 제한함으로 인해 향후 대상자의 확대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 행복지수 및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제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복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행복은 사전적으로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믓한 상태를 의미하며, 개인이 자신의 삶의 질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정도를 의미한다[14]. 행복이란 각 개인이 가지는 조건이나 기준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객관과 규범적인 기준의 행복보다는 각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과 생각이 행복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보았다[15].
미용종사자의 행복감이 미용 산업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이유는?
그러나 미용종사자는 고객과 직접 대면하고 접촉하는 감정 노동으로 손님의 신체의 일부를 취급하는 지극히 세심한 배려를 요하는 서비스업으로 인해[3] 신체적, 정신적으로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면서 행복하지 않은 미용종사자는 잦은 이직과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게 되며 이는 곧 미용 산업의 발달을 저해하게 될 것이다[4]. 그러므로 서비스의 접점에 있는 미용종사자의 행복감은 미용 산업의 성장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미용종사자의 업무는 무엇인가?
미용은 용모를 아름답게 가꾸고 꾸미는 일련의 행위들을 의미한다. 미용종사자는 파마, 머리카락 자르기, 모양내기, 염색, 머리피부 손질, 머리감기, 손톱손질 및 화장, 피부미용, 얼굴손질 및 화장을 업무로 하는 이들을 일컫는다. 미용 종사자의 경우 고객과의 접촉이 업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2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