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직무만족 간 영향관계에서의 조절효과 분석
A Study on the Resilience of Fire-fighters: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690 - 701  

이재무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  김전수 (북부소방재난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가 부정적 직무요인인 직무소진, 긍정적 직무요인인 직무만족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들의 영향관계 속에서 회복탄력성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함으로써 소방공무원의 관리 전략 기획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은 239명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회귀분석 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조절효과는 상호작용항을 산출, 적용하는 방식으로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은 낮은 수준, 직무만족은 보통 수준, 회복탄력성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에서 정적(+) 영향력을,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울러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간 영향관계에서 충동통제력과 원인분석력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 영향관계에서 충동통제력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소방공무원 실정에 적합한 다양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선제적 적용, 감성역량 제고, 자기성찰을 돕는 코칭 인력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fire-fighters' job performance on negative job factors, job burnout, and positive job factors,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and by examining whether resilience has a modulating effect in these influence relationships. This was done to provide usefu...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이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가 부정적 속성의 직무요인 직무소진과 긍정적 속성의 직무요인 직무만족에 각각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그 상관관계 속에서 회복 탄력성이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은 낮은 수준으로, 직무만족은 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이재무, 김전수,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신뢰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행정연구, 제25권, 제3호, pp.61-90, 2016. 

  2. 김보람, 정구철,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내외통제성의 조절효과," 한국웰니스학회, 제15권, 제2호, pp.353-366, 2020. 

  3. 이재무, "직무요구-자원모형을 활용한 소방공무원의 직무 영향요인과 직무만족 간 관계구조 분석," 한국행정연구, 제25권, 제4호, pp.133-168, 2017. 

  4. 김국래, "소방공무원 의식과 처우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21권, 제1호, pp.7-18, 2007. 

  5. 이재무, "소방공무원의 성격 유형에 따른 직무열의와 직무소진, 그리고 책임감과 협동심의 영향관계 분석," 한국행정연구, 제27권, 제2호, pp.115-144, 2018. 

  6. 최해연,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4권, 제5호, pp.78-85, 2020. 

  7. 배진성, 윤석한, "일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Burnout)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1권, 제5호, pp.433-442, 2020. 

  8. 노인숙,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관계," 한국융합과학회지, 제9권, 제3호, pp.421-433, 2020. 

  9. W. B. Schaufeli and A. B. Bakker,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5, No.3, pp.293-315, 2004. 

  10. D. F. Parker and T. A. Decotiis,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32, No.2, pp.160-177, 1983. 

  11. J. Block, Ego-resilience through time,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New Orleans, 1993. 

  12. J. Ernst, M. Johnson, and F. Burcak, "The Nature and Nurture of Resilience: Exploring the Impact of Nature Preschools on Young Children's Protective Factor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Vol.6, No.2, pp.7-18, 2018. 

  13. C. Knight, J. Balatti, M. Haase, and L. Henderson, "Preservice teacher stressors and their reactions to those stressors: Resilience responses," Paper Presented at Symposium, ATEA Paper Reference 402, 2010. 

  14. D. M. Davydov, R. Stewart, K. Ritchie, and I. Chaudieu,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Clincal Psychology Review, Vol.30, No.5, pp.479-495, 2010. 

  15. J. R. P. French Jr., R. L. Kahn, and F. C, Mann, "Work, health and satisfaction," Social Issues, Vol.18, No.3, pp.1-129, 1962. 

  16. R. Kahn, D. Wolfe, R. Quinn, J. Snoek, and R. Rosenthai, Organizational stress: Studies i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64. 

  17. 이해영, 김엽래,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서 소진의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1권, 제2호, pp.106-112, 2017. 

  18. 한혜경, 김갑숙,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경력탄력성의 관계: 직무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3권, 제2호, pp.155-163, 2019. 

  19. 장세진,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정확성 및 신뢰성 평가와 사업장 시법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6. 

  20. R. S. Schuler,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25, No.2, pp.184-215, 1980. 

  21. J. M. Ivancevich and M. T. Matteson, Stress & Work: A Managerial Preventive, New York: Scott, Foresman Co, 1980. 

  22. D. F. Parker and T. A. Decotiis,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32, pp.160-177, 1983. 

  23. J. L. Gibsonm, J. M. Ivancevich, and J. H. Donelly Jr., Organization(5th Edition), Iwoa: Business Publication Inc, 1985. 

  24. R. D. Beaton and S. A. Murphy, "Sources of Occupational Stress among Fire Fighters and Paramedics and Correlations with Job-related Outcomes," Prehospital and Management, Vol.8, No.2, pp.140-149, 1993. 

  25. 유홍미,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및 환경적 지원과 소진과의 관계에 관한 조사,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6. 오진환, 이인수, "소방대원의 성격유형,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10권, 제3호, pp.71-85, 2006. 

  27. 최낙순, 김재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5권, 제3호, pp.481-501, 2011. 

  28. 이인수, 최은숙, "소방대원의 소진(burnout)에 관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4권, 제1호, pp.47-55, 2000. 

  29. C. L. Cordes, T. W. Dougherty, and M. Blum, "Patterns of burnout among managers and professionals: A comparison of model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8, pp.685-701, 1997. 

  30. C. Maslach and S. Jacks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ur, Vol.2, pp.99-113, 1981. 

  31. J. Edelwich and A. Brodsky, Burn-Out: Stages of Disillusionment in the Helping Professions, New York: Human Sciences Press, 1980. 

  32. 박상언, "직무요구-통제 모형에 의한 사원들의 직무소진(Job Burnout)에 관한 연구 - 적극적 성격과 자기효능감 변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제30권, 제2호, pp.45-71, 2006. 

  33. 정윤아, 오명수, 김희숙,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과의 관계: 그릿의 매개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29권, 제2호, pp.96-105, 2020. 

  34. R, Hoppock, Job satisfaction, New York: Harper and brothers, 1935. 

  35.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1, pp.1297-1343, 1976. 

  36. G. A. Adams, L. A. King, and D. W. King, "Relations of Job and Family Involvement, Family Social Support, and Work Family Conflict with Job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sycholog, Vol.81, pp.411-420, 1996. 

  37. 오정학, 육풍림, "카지노종사원의 직무요구, 직무자원과 소진 그리고 직무만족의 관계-직무요구-자원(JDR)모형과 안면환류가설(FFH)의 관점에서," 관광연구, 제26권, 제4호, pp.375-397, 2011. 

  38. 송용선, "내부고객으로서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 대전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22권, 제2호, pp.70-83, 2008. 

  39. 최미영, 문태영, 이현지, "소방공무원의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제10권, 제4호, pp.548-558, 2014. 

  40. N. Garmezy, "Stressors of childhood," in N. Garmezy, M. Rutter(eds.) & Ctr for Advanced Study in the Behavioral Sciences, Inc.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pp.43-84),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3. 

  41. M. Rutter,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47, pp.598-611, 1985. 

  42. G. M. Wagnild and H. M. Young,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Vol.1, No.2, pp.168-178, 1993. 

  43. E. Waters and L. A. Sroufe, "Social Competence as Developmental Construct," Developmental Review, Vol.3, pp.79-97, 1984. 

  44. 박원태, 소방조직의 사회적자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5. J. H. Block and J.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Vol.13: pp.39-101), Hillsdale, NJ: Erlbaum, 1980. 

  46. E. C. Klohnen,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5, pp.1067-1079, 1996. 

  47. J.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pp.349-361, 1996. 

  48. J. G. Dyer and T. M. McGuinness,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Vol.10, pp.176-282, 1996. 

  49. N. A. Constantine, B. Benard, and M. Diaz, "Measuring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ce Traits in Youth: The Healthy Kids Resilience Assessment," Paper presented at the Seventh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Prevention Research, New Orleans, 1999. 

  50. K. Reivich and A. Shatte, The resilience factor: 7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inevitable obstacles, Portland: Broadway Books, 2002. 

  51. 최희철,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효과,"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3권, pp.69-91, 2013. 

  52. 송용선, "소방관의 회복탄력성과 PTSD 관계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1권, 제3호, pp.119-126, 2017. 

  53. 김연정, 김진현, 심규식,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과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간의 융합관계,"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379-389, 2017. 

  54. 김성환, "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4권, 제3권, pp.23-40, 2017. 

  55. 임동순, 검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정서적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56. 이성진, 지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57. 박정순, 이혜숙,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제34권, 제2호, pp.127-144, 2020. 

  58. 이상구,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59. 김기옥,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과 조직행동과 의 관계 : 조절변수의 완화효과 - 제약회사 영업사원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60. 이인수, 최은숙, "소방대원의 소진(burnout)에 관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4권, 제1호, pp.47-55, 2000. 

  61. 차진경, 최욱진, 방성환,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건충격 정도 실태 조사,"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23권, 제1호, pp.49-60, 2019. 

  62. 강윤진, 송영수, "국내 기업 적용을 위한 개인 및 조직차원의 감성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산업교육연구, 제26권, 제3호, pp.1-25,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