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애착, 외상 후 성장 및 자기실현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realization of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2, 2016년, pp.507 - 517  

김옥희 (한영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김연경 (한영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외상사건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이 외상 후 성장과 자기실현을 이루는 과정에서 애착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지역의 중년여성 221명이었고 설문지는 외상경험 질문지, 애착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자기실현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중년여성의 외상경험 유형과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계수와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가까운 사람의 상실(사망, 이별, 이혼, 실연, 절교)이 중년여성들에게 일반적이고, 가장 큰 위기 사건으로 보고되었고, 둘째, 애착, 외상 후 성장, 자기실현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부 모안정애착, 영적변화는 인간성, 자기수용성의 하위변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변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결과, 애착이 외상 후 성장과 자기실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외상 후 성장이 애착과 자기실현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raumatic events middle-aged women experience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attachment in the proces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forming a self-realization. 221 of participants were middle-aged women from the area of Seoul, Gyeong-Gi and the 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자기실현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인 관점으로 파악하여 중년여성이 자기실현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애착, 외상 후 성장, 자기실현과의 관계분석을 통해 외상을 이겨내고 새롭게 적응해 나갈 수 있는 동기와 희망을 갖도록 하는 경험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외상 후 성장은 외상 사건이나 위기 사건 이후 얻어진 긍정적인 심리적 변화로[7] 단순히 외상 이전의 기능수준으로 회복하는 것이 아니라 그 당시의 적응 및 심리적 기능수준과 삶의 지각수준을 능가하는 발달을 가정한다[6]. 외상 후 성장은 첫째, 개인이 외상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자기 내면의 강점과 삶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자기지각의 변화’, 둘째, 친밀한 관계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는 ‘대인관계의 변화,’ 셋째, 외상 후 인생의 우선순위가 바뀌었고, 자신의 삶과 주변사람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이 증가하는 ‘인생관의 변화’ 등 세 가지의 변화를 포함한다[6][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현대 의학기술의 발달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중년기와 중년 이후의 인생이 차지하는 기간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중년기는 가족생활, 직업수행, 내적 생활에서 새로운 측면이 나타나는 등 다양한 변화를 겪게 되는 시기로 인생의 중반에 이르러 자신의 인생을 뒤돌아보고, 삶의 의미를 모색해 보는 중요한 시기이다. 인간의 평균 수명이 50세가 채되지 못하던 1900년대에 인간의 발달단계에서 중년기는 별로 의미가 없었으나, 기대 수명이 점점 높아져 ‘제 2의 사춘기’라고도 불리는 중년기에 대한 관심은 20세기 후반에 점차 높아졌다[1].
잘 형성된 어머니와 유아 간 애착은 자기실현 달성 정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자기실현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애착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초기 대상관계에서 위니컷은 어머니와 유아의 애착이 잘 형성되면 유아는 건강한 자기대상을 형성하여 거짓자기를 만들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자발적으로 잘 표출하나, 애착형성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 유아가 어머니를 외면하고 무시하고 자라온 상황이라면 성장하고 나서도 자기실현을 이루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보았다[35]. 또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Armsden과 Greenberg의 연구에서는 부모에 대한 애착이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인생만족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6].
애착이란? 애착은 특정한 개인에 대한 지속적이고 강한 애정적 유대로서 양육자와 유아 사이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발달 사이의 관련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으로 제시되었다[20]. 유아기에 형성된 애착은 전생애를 통하여 지속 되고[21], 성장과정을 통하여 애착대상은 부모에서 친구나 연인, 그리고 배우자 등으로 전환되어 간다[22][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4. 

  2. 유건상, "중년여성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인문치료 사례연구," 인문과학연구, 제33집, pp.477-501, 2012. 

  3. 이은경, 역기능 가정에서 성장한 기독교인 여성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연구, 호남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 김미옥, 중년기 여성의 대인애착, 내현적 자기애 및 배우자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5. 배상정, 양난미, "영성, 희망, 외상 후 성장과 삶의 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26권, 제3호, pp.597-616, 2014. 

  6.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9, No.3, pp.455-471, 1996. 

  7. A, Maercker and T. Zoellner, "The Janus face of self-perceived growth: Toward a two-component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Inquiry, Vol.15, No.3, pp.41-48, 2004. 

  8.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9. 김보라, 신희천,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17-136, 2010. 

  10. 송현, 이영순, "심리적 강인성과 정서지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2권, 제4호, pp.1231-1246, 2011. 

  11. 전보람, 최윤경, "위협지각, 낙관성 및 삶의 의미가 암 환장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 제24권, 제1호, pp.1-12, 2016. 

  12. 정은경,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군 생활 만족도가 제대 군인의 군 경험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군진간호연구, 제32권, 제1호, pp.53-65, 2014. 

  13. 김인주, 김도연, "지각된 사회적지지, 탈중심화,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6권, 제5호, pp.55-73, 2015. 

  14. 김현미, 정민선, "청소년의 자기노출, 사회적지지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제22권, 제1호, pp.11-24, 2015. 

  15. 신선영, 정남운,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제33권, 제2호, pp.217-235, 2012. 

  16. 이정호, 이희경, "종교적 대처방식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종교교육학회, 제36권, pp.171-192, 2011. 

  17. 최정윤, "종교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반추, 적극적 대처,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종교교육학회, 제47권, pp.137-153, 2015. 

  18. 하진의, "불안정 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탐라문화, 제44권, pp.175-210, 2014. 

  19. 양난미, 이은경, 송미경, 이동훈, "외상을 경험한 여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6권, 제1호, pp.175-197, 2015. 

  20.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3):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1980. 

  21. M. D. S. Ainsworth, "Attachment beyond infancy," American Psychologist, Vol.44, pp.709-716, 1989. 

  22. N. L. Collins and S. J. "Read,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No.4, pp.644-663, 1990. 

  23. C. Hazan and P. R. Shaver,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No.3, pp.511-524, 1987. 

  24. 김유진, 중년여성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 희망의 매개효과와 영성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5. R. R. Kobak and A. Sceery, "Attachment in late adolescence Working models, affect regulation, and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thers," Child Development, Vol.59, No.1, pp.135-146, 1988. 

  26. M. Mikulincer and P. R. Shaver, "Mental representations of attachment security: Theoretical foundation for positive social psychology," New York: Guilford Press, 2005. 

  27. A. J. Salo, S. Qouta, and R. L. Punamaki, "Adult attachment, post traumatic growth and negative emotions among former political prisoners," Anxiety, Stress and Coping, Vol.18, No.4, 2005. 

  28. 김현경, "남한거주 탈북청소년의 외상 이후 심리적 성장 요인에 관한 연구," 문화와 사회, 제14권, pp.225-262, 2013. 

  29. 레빈슨, D. J. 김애순(역), 여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세종연구원, 1998. 

  30. 장현숙, "불안하고 자신감이 부족한 중년 여성의 자기실현을 위한 모래놀이치료 적용사례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2권, 제1호, pp.79-102, 2009. 

  31. 이부영, 분석심리학, 한길사, 1998. 

  32.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2008. 

  33. A. H. Maslow,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Row, 1970. 

  34. 김소연, 정희숙, "한 중년여성의 진로구성 과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65-282, 2015. 

  35. 김은정, 초기 대상관계 애착형성의 역기능적 발달이 자기실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6. G. C. Armsden and M. T. Greenberg,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 Youth Adolesc, Vol.16, pp.427-453, 1987. 

  37.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1): Attachment(2nd ed), New York: Basic Books, 1982. 

  38. 김수진, 김세영, "중년여성의 부부친밀감, 우울과 갱년기 증상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2013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9권, 제3호, 2013. 

  39. 정원임, 중년여성의 빈둥지증후군 극복을 위한 독서치료 적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0. 이용미, 김근면, 정유희,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570-582, 2014. 

  41. 허제은, 태영숙, "중년여성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2013 춘계조합학술대회 논문집, pp.167-168, 2013. 

  42. 김진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애착유형과 애착관계 증진 변인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43. 양귀화,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44. 이한성, 골프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재미요인 및 자아실현의 관계,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5.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46. P. Moen, "Transitions in mid-life : Women's work and family roles in the 1970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3, No.1, pp.135-150, 1991. 

  47. R. M. Kelly, The gendered economy: Work, careers, and success, Newbury Park, CA: Sage, 1991. 

  48. 김미재, 성인애착, 책임귀인과 이별 이후 성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9. 구성희, "초기 부적응도식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제13권, 제24호, pp.255-268, 2013. 

  50. 김아름,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1. 정경아, 김봉환, "성인애착, 공감능력 및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제31권, 제1호, pp.89-104, 2010. 

  52. 김남희, 양육.비양육부모와의 애착이 이혼가정 청소년 자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3. 김양운, 김병석, 최희철,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에 미치는 감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5권, 제3호, pp.1277-1297, 2014. 

  54.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