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5, 2016년, pp.332 - 338  

김윤아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김미영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외상 후 성장을 조사하여, 심리적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B시와 G시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145명으로 2016년 2월 1일~3월 10일까지 외상 후 성장, 사건 충격척도, 외상적 반추, 자아존중감, 적응유연성을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은 평균 29.64점이고, 여성인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외상적 반추 및 적응유연성의 점수가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의 점수가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적응유연성, 긍정적 자존감, 의도적 반추로 설명력은 총 54.2%(F=29.36,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과 적응유연성 및 긍정적 자존감을 촉진하고, 외상적 반추를 활성화하는 중재가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osttraumatic growth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relation between their characteristics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posttraumatic growth, and explored methods of improving their mental health status. 145 North Korean defectors, who were tr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정도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성장을 도모하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국내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자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의 국적을 취득하지 아니한 자이며, 남한 국민으로 살아가고 있는 우리 민족이다[1]. 국내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2009년 4월 현재 2만 4천여 명을 넘어섰다[1]. 이들은 생사를 초월하는 다양한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후 국내에 정착하였지만, 여러 가지 부적응문제를 경험하고 있다[2].
북한이탈주민의 범주는 무엇인가?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자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의 국적을 취득하지 아니한 자이며, 남한 국민으로 살아가고 있는 우리 민족이다[1]. 국내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2009년 4월 현재 2만 4천여 명을 넘어섰다[1].
북한이탈주민이 겪은 외상적 사건은 무엇인가? 특히,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에서의 아사, 사고, 공개 처형 등으로 인한 타인의 죽음 목격, 수감이나 인질 등의 강제로 감금, 심각한 사건이나 사고, 공안체포나 강제 북송과 같은 극단적 경험을 한다[3]. 이와 같이 북한이탈주민은 외상적 사건으로 인하여 정신건강문제 측면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nistry of Unification. Report of North Korean refugees. 2012. Seoul: Author. 

  2. W. T. Jeon, D. Y. Yoon, J. S. Eom, "Survey results of adaptation and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2001", Korean Unification Research, Vol.7 No.1, pp.155-208, 2003. 

  3. H. K Kim, "Difference on complex PTSD and PTSD symptoms according to types of traumatic events in North Korean Refugees",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31 No.4, pp.1003-1022, 2012. 

  4. R. G. Tedeschi, L. G. Calhoun,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9 No.3 pp.455-472, 1996. DOI: http://dx.doi.org/10.1002/jts.2490090305 

  5. S. Y. Shin, N. W. Chung, "The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Rumin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Vol.33 No.2, pp.217-235, 2012. 

  6. Calhoun L. C, Tedeschi R. G, The found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An expanded framework. In: Calhoun LG, Tedeschi RG, editors.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p.3-23,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6. 

  7. L. G. Calhoun, A. Cann, R. G. Tedeschi. J. McMillan, "A correlational test of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13 No.3 pp.521-527, 2000. DOI: http://dx.doi.org/10.1023/A:1007745627077 

  8. S. W. Han, H.S. Kim.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with police officer. Crisisonom. 2015;11(3): 189-205. 

  9.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esteem.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0. H. A. Kim, S. H. Kim, "The study of construct validity a resilience scale from MMPI, well-being, economic and physical satisfaction, deviant behavior, and employment level for dislocated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8 No.4 pp.1355-1375, 2007. 

  11. Stephen Z. L, Avital L, Einat S, Yaira H. R, Zahava 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 22, No. 4 pp. 282-286, 2009. DOI: http://dx.doi.org/10.1002/jts.20409 

  12. F. Faul, E. Erdfelder. A. Bunchner A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41, No. 4 pp. 1149-1160, 2009. DOI: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3. S. H. Song, H. S. Lee, J. H. Park, K. H. Kim,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orea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4, No.1 pp.193-214, 2009. DOI: http://dx.doi.org/10.17315/kjhp.2009.14.1.012 

  14. H. J. Eun, T. W. Kwon, S. M. Lee, T. H. Kim, M. R. Choi, S. J. Cho,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l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44, No.3 pp.303-310, 2005. 

  15. B. J. Jeon,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Research Institute, Vol.11, No.1 pp.107-130, 1974. 

  16. V. L. Banyard, E. N. Cantor, "Adjustment to college among trauma survivors: An exploratory study of resilienc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45, No.2, pp.207-221, 2004. DOI: http://dx.doi.org/10.1353/csd.2004.0017 

  17. J. S. Han, "A study on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2, No.11, pp.5027-5033,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1.5027 

  18. C. E. Agaibi, J. P. Wilson, "Trauma, PTSD, and resil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 Trauma Violence & Abuse, Vol. 6, No.3, pp.195-216, 2005. DOI: http://dx.doi.org/10.1177/1524838005277438 

  19. C. C. Benight, A. Bandura, "Social cognitive theory of posttraumatic recovery: The role of perceived self-efficac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 42, No.10, pp.1129-1148, 2004. DOI: http://dx.doi.org/10.1016/j.brat.2003.08.008 

  20. A. Luszczynska, N. Mohamed, R. Schwarzer,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predict benefit finding 12 months after cancer surgery: The mediating role of coping strategies", Psychology, Health & Medicine, Vol.10, No.4, pp.365-375, 2005. DOI: http://dx.doi.org/10.1080/13548500500093738 

  21. S. Joseph, P. A Linley, "Positive adjustment to threatening events: An organismic valuing theory of growth through adversit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9, No.3, pp.262-280, 2005. DOI: http://dx.doi.org/10.1037/1089-2680.9.3.2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