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원의 조화열정과 집중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 집단별 차이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Harmonious Passion and Concentration on Perceived Performance: Based on Comparison Analysis by Strength Use Group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2, 2016년, pp.781 - 793  

이혜숙 (서울과학종합대학원) ,  김보영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업 내 조직원의 강점활용을 통한 조화열정과 집중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 내 구성원의 조화열정과 집중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강점 활용의 집단 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국내 기업 내 조직구성원 총 46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원들의 조화열정과 집중은 지각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화열정과 지각된 성과의 관계에서는 강점 활용 정도에 따른 고집단과 저집단을 비교했을 때 고집단에서만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어 조화열정과 같은 조직원의 심리적 변인들을 성과로 연결시키는데 있어서 강점활용이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직의 강점 활용이 개인과 조직에게 미치는 잠재적 유익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조직 구성원들의 심리적 동기 변인과 강점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rengths use and development on individual perceived performance. The present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 role of harmonious passion and concentration on individual perceived performance and in this relation verify the group difference by the leve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학 분야에서 아직까지 연구가 많이 수행되지 않은 강점 활용의 심리적 변인인 조화열정과 집중이 지각된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개념간의 영향관계와 이 관계에서 강점활용 수준차이에 따른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분석 결과 첫째, 강점활용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심리적 변인인 조화열정과 집중이 지각된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 국내 조직관련 연구들에서 긍정 심리나 강점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실제 그 유의미성에 대한 실증적 기존 연구는 미비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조화열정과 집중에 대한 지각된 성과와의 관계성과 강점활용 수준에 따른 집단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관련 실증연구들을 위한 선구적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는 데서 의의를 살펴볼 수 있다. 실무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강점활용은 조직의 직무요구를 완화할 수 있는 중요한 직무자원으로서 조직원의 태도와 최적의 수행을 위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강점 활용은 단순히 팀 성과와 조직 성과와의 상관관계에서 논의 될 수 있는 변수가 아니라 개인이 가지는 심리적, 정서적 특성을 통해 고취되는 열정, 긍정 정서, 집중, 활력, 자부심(self esteem)과 에너지 등과 같은 심리적 요인 기반의 성과와 연결되기 때문에 이러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13][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점활용을 함으로써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원 개인의 심리 변수들 중 개인의 특성과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보일 수 있는 업무수행 행동이 지각된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면에서 조화열정과 집중을 변수로 선택하였으며 더 나아가 강점활용 수준차이에 따른 두 집단간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서 강점 활용을 통한 조직원의 개인 역량 강화 및 조직 성과 향상에 대한 구체적인 관계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allerand, et al가 정의한 열정이란? Vallerand, et al.[21]은 열정이란 한 개인이 좋아하고, 자신에게 중요하며,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기로 스스로 정의한 행동을 향한 강한 성향을 의미 한다고 정의했다. 열정은 한 개인이 스스로 이러한 행동이 자기 정체성의 중심이 되게 정의하는 과정이다.
조화열정은 어떻게 생겨나는가? 조화열정은 특정 행동을 자신의 정체성에 자율적으로 내면화시켜 생겨나는 것이다. 한 개인이 특정한 조건 없이 특정 행동을 자유롭게 수용하는데서 생겨난다. 따라서 조화열정에 기초한 행동들은 자신에게 중요한 것이며 이러한 행동들은 자신의 다른 삶과 갈등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열정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열정은 한 개인이 스스로 이러한 행동이 자기 정체성의 중심이 되게 정의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행동은 자신에게 매우 가치있으며 의미있는 것이어야 하고 열정을 조화열정(harmonious passion)과 집착열정(obsessive passion)으로 구분하고 있다. 조화열정은 한 개인이 중요하고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일에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충동을 느껴서 특정한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M. Stairs and M. Galpin, Positive Engagement : From Employee engagement to work place happiness,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and work,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pp.155-172, 2013. 

  2. C. Honore, In praise of slow: How a worldwide movement is challenging the cult of speed, London: Orion, 2004 

  3. A. B. Bakker, E. Demerouti, E. de Boer, and W. B. Schaufeli,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as predictors of absence duration and frequenc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2, pp.341-356, 2003. 

  4. 김인선, "직무요구- 자원 이론에서의 감정노동전략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432-444, 2015. 

  5. D. Xanthopoulou, A. B. Bakker, E. Demerouti, and W. B. Schaufeli, "Work engagement and financial returns: A diary study on the role of job and personal resourc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82, pp.183-200, 2009. 

  6. 이정언, "기업 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가치관과 직무성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330-338, 2013. 

  7. E. M. Keenan and K. Mostert, "Perceived organisational support for strengths use: The factori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new scale in the banking industry," South African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Vol.39, pp.1-12, 2013. 

  8. M. van Woerkom, C. Els, K. Mostert, I. Rothmann, and A. B. Bakker,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orientation towards strengths use and deficit improve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questionnaire," Paper presented at the EAWOP Congress Munster, Muenster, Germany, 2013. 

  9. M. van Woerkom, A. B. Baker, and L. H. Nishii, "Accumulative Job Demands and Support for Strength Use: Fine-Tun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Using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101, No.1, pp.141-150, 2016. 

  10. P. A. Linley and S. Harrington, "Playing to your strengths," The Psychologist, Vol.19, pp.86-89, 2006. 

  11. A. M. Wood, P. Linley, J. Maltby, T. B. Kashdan, and R. Hurling, "Using personal and psychological strengths leads to increases in well-being over time: A longitudinal study and the development of the strengths use questionnair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0, pp.15-19, 2011. 

  12. R. Biswas-Diener, T. B. Kashdan, and G. Minhas, "A dynamic approach to psychological strength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6, pp.106-118, 2011. 

  13. J. Asplund and N. Blacksmith, Leveraging strengths, In K. S. Cameron, G. M. Spreitzer (Eds.),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pp.353-365,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4. C. Peterson, J. P. Stephens, N. Park, F. Lee, and M. E. P. Seligman, "Strengths of character and work," In A. Linley, S. Harrington, N. Garcea (Eds.),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and work, pp.221-231,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5. D. Clifton and J. K. Harter, "Investing in Strengths," In K. S. Cameron, J. E. Dutton, R. E. Quinn (Eds.),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Foundations of a new discipline, pp.111-121,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2003. 

  16. T. D. Hodges and J. Asplund, "Strengths development in the workplace," In P. Linley, S. Harrington, & N. Garcea (Eds),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and work, pp.213-220,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7. T. D. Hodges and D. O. Clifton, "Strengths-based development in practice," In: Linley A and Joseph S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 Hoboken, NJ: Wiley, pp.256-268, 2004. 

  18. P. A. Linley, Average to A+: Realising strengths in yourself and others, Coventry: CAPP Press, 2008. 

  19. C. Peterson and M. E. P. Seligman,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4. 

  20. J. Forest, G. A. Mageau, L. Crevier-Braud, E. Bergeron, P. Dubreuil, and G. L. Lavigne, "Harmonious passion as an expla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signature strengths' use and well-being at work: Test of an intervention program," Human Relations, Vol.65, pp.1233-1252, 2012. 

  21. R. J. Vallerand and N. Houlfort, "Passion at work: Toward a new conceptualization," In W. Gilliand, D. D. Steiner, & D. P. Skalicki (Eds.), Emerging perspectives on values in organizations, pp.175-204, New York, NY: Information Age, 2003. 

  22. M. Buckingham, Go put your strengths to work, New York, NY: Free Press, 2007. 

  23. H. S. Hodgins and R. Knee, "The integrating self and conscious experience," in Deci, E. L. and Ryan, R. M.(Eds.), Handbook on self-determination research: Theoretical and applied issues, pp.87-100,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2002. 

  24. R. J. Vallerand, "On the psychology of passion: In search of what makes people's lives most worth living," Canadian Psychology, Vol.49, No.1, pp.1-13, 2008. 

  25. Astakhova Marina N and Porter Gayle, "Understanding the work passion- performance relationship: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moderating role of fit at work," Human relations, Vol.68, No.8, pp.1315-1346, 2015. 

  26. 차동옥, 이정훈, 허일무, 김용재,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조직동일시와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부하들의 조화로운 열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761-773, 2016. 

  27. 이정훈, 차정익, "진정성 리더십이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421-435, 2015. 

  28. R. Govindji and P. A. Linley, "Strengths use, self-concordance and well-being: Implications for strengths coaching and coaching psychologists,"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Vol.2, No.2, pp.143-153, 2007. 

  29. N. Park, C. Peterson and M. E. P. Seligman,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23, No.5, pp.603-619, 2004. 

  30. 김창중, "변혁적 리더십이 열정, 혁신행동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871-882, 2014. 

  31. R. M. Ryan and E. L.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pp.68-78, 2000. 

  32. M. Kawabata and C. J. Mallett, "Flow experience in physical activity: Examin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flow from a process-related perspective," Motivation and Emotion, Vol.35, pp.393-402, 2011. 

  33. A. Landhauber and J. Keller, "Flow and its affective, cognitive, and performance-related consequences," In S.Engeser (Eds.), Advances in flow research, New York, NY: Springer, pp.65-85, 2012. 

  34. J. Nakamura and M. Csikszentmihalyi, "The concept of flow,"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pp.89-105, 2002. 

  35. M. Buckingham and D. O. Clifton, Now, Discover Your Strengths, New York, NY: Free Press, 2001. 

  36. S. J. Lopez, Positive psychology : exploring the best in people, Prager Publishers, Santa Barbara, CA, USA, 2008. 

  37. M. Csikszentmihalyi, Good business: Leadership, Flow and the making of meaning, New York, NY: Viking, 2003. 

  38. P. Dubreuil, J. Forest, and F. Courcy, "From strengths use to work performance: The role of harmonious passion, subjective vitality, and concentration,"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9, pp.335-349, 2014. 

  39. M. E. P. Seligman,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The Free press, 2002. 

  40. P. A. Linley, K. M. Nielsen, A. M. Wood, R. Gillett, and R. Biswas-Diener, "Using signature strengths in pursuit of goals: Effects on goal progress, need satisfaction, and well-being, and implications for coaching psychologists,"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Vol.5, pp.8-17, 2010. 

  41. 김지영, 권석만, "성격강점의 인식과 활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32권, 제4호, pp.738-802, 2013. 

  42. M. P. Seligman, T. A. Steen, N. Park, and C. Peterson,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Vol.60, pp.410-421, 2005. 

  43. F. Gander, R. T. Proyer, W. Ruch, and T. Wyss, "Strength-based positive interventions: Further evidence for their potential in enhancing well-being and alleviating depressio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4, pp.1241-1259, 2013. 

  44. C. Harzer and W. Ruch, "When the job is a calling: The role of applying one's signature strengths at work,"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7, pp.362-371, 2012. 

  45. S. A. Jackson and H. W. Mar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Vol.18, pp.17-35, 1996. 

  46. L. J. Williams and S. E. Anders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 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Vol.17, No.3, pp.601-617, 1991. 

  47. 심덕섭, 양동민, 하성욱, "직무특성, 통제위치, 리더," 인사조직연구, 제18권, 제3호, pp.175-216, 2010. 

  48. K. A. Bollen,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John Wiley & Sons, Inc., 1989. 

  49.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pp.39-50, 1981. 

  50. B. M. Byrne,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NJ., 2001. 

  51. 박동진, 김정희, 송혁종, 이재철, 박이섭, "관계품질의 결정요인과 관계기간의 영향," 경영연구, 제22권, 제1호, pp.303-329, 2007. 

  52. J. Carpentier, G. A. Mageau, and R. J. Vallerand, "Ruminations and flow: Why do people with a more harmonious passion experience higher well-be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3, pp.501-518, 2012. 

  53. V. T. Ho, S. Wong, and C. H. Lee, "A tale of passion: Linking job passion and cognitive engagement to employee work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48, pp.26-47, 2011. 

  54. E. Demerouti, "Job characteristics, flow, and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conscientiousnes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11, pp.266-280, 2006. 

  55. S. Engeser and F. Rheinberg, "Flow, performance and moderators of challenge-skill balance," Motivation and Emotion, Vol.32, pp.158-172, 2008. 

  56. A. Landhauber and J. Keller, "Flow and its affective, cognitive, and performance-related consequences," In S.Engeser (Ed.), Advances in flow research, New York, NY: Springer, pp.65-85, 2012. 

  57. D. T. Kong and V. T. Ho,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of strengths use at work: Examining its determinant and performance implication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11, No.1, pp.15-25, 2016. 

  58. M. Gagne and E. L.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6, pp.331-362, 2005. 

  59. 홍현경, 정규엽, 김원희, "자기효능감이 직무착근도, 혁신행동과 조직구성원 행동에 미치는 영향: 근무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415-430, 2012. 

  60. A. B. Bakker, "Flow among music teachers and their students: The crossover of peak experie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6, pp.26-44, 2005. 

  61. M. Csikszentmihalyi,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NY: Harper Collins, 1990. 

  62. P. A. Linley and S. Joseph,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17, No.1, pp.11-21, 200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