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핵심역량과 과학과 교과역량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Awareness of Teachers for Core Competencies and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5 no.4, 2016년, pp.426 - 441  

하지훈 (경기고잔초등학교) ,  신영준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getting the information for successful application 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students' core competencies enhancement, through investigation about competencies discussed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analysis about perception of 150 e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범교과 수준과 과학과 수준에서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교사들이 생각하는 중요한 핵심역량과 이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가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 연수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교사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핵심역량이 국가 차원에서 성공적으로 도입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15개정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논의되었던 핵심역량들을 토대로 초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2015개정 교육과정 상의 총론 수준 핵심역량과 과학과 핵심역량,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핵심역량이 국가 차원에서 성공적으로 도입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15개정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논의되었던 핵심역량들을 토대로 초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2015개정 교육과정 상의 총론 수준 핵심역량과 과학과 핵심역량,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이 교과들 중 교사들에게 높은 응답을 받은 교과는 미술과 음악으로 각각 38명과 29명이 선택하였고, 체육과 창체를 선택한 교사의 수는 12명이었으며, 도덕이 6명, 수학이 3명이었다. 특이점은 정서적 감수능력과 관련하여 교육 전문가로부터 제시된 핵심역량이 없었던 과학과(32명)에서 높은 응답 빈도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과학과에서 정서적 측면의 핵심역량에 대한 제시의 필요성에 대한 고민을 하게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 목표가 구현됐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교육 목표의 구현이 최종적으로 학생을 통해 실현된다는 점에서 교육과정에 담긴 어떤 교육목표가 성공적으로 달성되었는지는 그것이 얼마나 학생들에게 잘 전달되었는지를 통해 가늠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이 국가 수준에서 개발되어 적용되는 우리나라의 경우, 학생 대부분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교사나 교과서를 통해 접하게 된다.
초등교사가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핵심역량은? 1과 같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핵심역량은 의사소통능력으로 206점이었고, 문제해결력(177점), 협업 및 대인관계능력(166점), 윤리․공동체의식(102점), 사고력(101점), 자기관리능력(51점), 탐구능력(40점), 정서적 감수 능력(37점), 도구 기술활용능력(20점) 순이었다. 이처럼 먼저 범교과 수준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 교사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핵심 역량은 의사소통능력이고, 문제해결력과 협업 및 대인관계도 상위 세 번째 안에 위치할 정도로 중요 하게 인식되는 핵심역량이었다.
차기 교육과정에 필요한 고민은? 차기 교육과정에서 본격적으로 핵심역량이 교육 목표로 제시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 모형이나 방법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따라서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인식을 함께 살펴보는 것은 차기 교육과정에서 이에 대한 학습 방법 등을 제시하거나, 활동을 구성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mutairi, A. (2015). The effect of using brainstorming strategy in developing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mong male students in Kuwait: A field study on Saud Al-Kharji School in Kuwait City. Journal of Education and Practice, 6(3), 136-145. 

  2. Choi, J. W., Park, Y. S. & Lee, Y. J. (2015). The effects of STEAM education using E-textiles for improving creative problem solv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105-119. 

  3. Choi, S., Seo, Y., Hwang, E., Choi, Y., Jang, S. & Kim, Y. (2013). Promoting core competency education and building innovative learning ecosystems for fostering talent for the future(I). (RR 2013-20).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4. Estrada, C. A., Isen, A. M. & Young, M. J. (1994). Positive affect improve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influences reported source of practice satisfaction in physicians. Motivation and Emotion, 18(4), 285-299. 

  5. Griffin, P., McGaw, B. & Care, E. (2012).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p. 36). Dordrecht:Springer. 

  6. Isen, A. M., Daubman, K. A. & Nowicki, G. P. (1987). Positive affect facilitates creative problem solv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6), 1122. 

  7. Kang, H. K. & Kim, T. H. (2014). The development of STEAM project learning program for creative problemsolving of the science gifted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6), 1025-1038. 

  8. Kim, K. H., Maeng, Y. I., Chang, G. Y., Koo, J. H., Kang, Y. B. & Coh, M. H. (2009). A study of development and practical plans of adolescent's life core competency II: Autonomous behavior domain. Youth Policy Institute, Research Report 09-R19-3. 

  9. Kim, T. J. (2009). A study of development and practical plans of adolescent's life core competency II: Social Interaction domai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search Report 09-R19-2. 

  10. Koh, E. J. & Jeong, D. H. (2014).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35-547. 

  11. Kwak, Y. S., Son, J. W., Kim, M. Y. & Ku, J. O. (2014).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3), 321-330. 

  12. Lee, K. W., Jeon, J. C., Huh, K. C., Hong W. P. & Kim, M. S. (2009). Redesign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future Koreans' core competence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RRC 2009-10-1. 

  13. Ministry of Education (2015a). Elementary school 4th grade science teacher's guide. Seoul: Mirae-N. 

  14. Ministry of Education (2015b). Materials of a 2nd researchers workshop for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5. Ministry of Education (2015c). The decision and announcement about General and Subject Curriculum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Newsrelease for an evening paper]. Retrieved from http://www.moe.go.kr/web/106888/ko/board/view.do?bbsId339&boardSeq60749 

  16. Namkung, J., Kim, Y., Park, K. & Park, H. (2014).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IV): A study on the middle schools. (RR2014-23).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7.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18. OECD (2005).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Retrieved from http://www.oecd.org/pisa/35070367.pdf 

  19. Oh, K. S. & Ahn, S. J. (2012).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ompetency for future socie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for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13(3), 9-16. 

  20. So, K. H., Lee, S. E., Lee J. H. & Heo, H. I. (2010). Review on curriculum reform in the New Zealand: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0(2), 27-50. 

  21. Woo, J. O., Kim S. H. & Lang, S. W. (2000).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structional model in science education.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3(1), 1-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