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적 영역 중심의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과학 창의성 분석
Analy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in Cognitive Domain by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to Science Instruction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5 no.4, 2016년, pp.469 - 478  

옥찬미 (의정부청룡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  김성하 (한국교원대학교) ,  홍준의 (서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developed by reflecting the brain functions and authentic science is consisted of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and within each domain the processes of Diversifying, Evaluating, and Furthering are proceeded (ABC-DEF). Two core components of crea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교육과정에 따르면, 이 단원은 여러 가지 식물의 생김새와 특징, 적응 방법 등을 알게 함으로써 식물의 다양성을 인식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단원은 ‘여러 식물의 생김새와 특징’, ‘사는 곳에 따른 식물의 생활 방식’, ‘여러 식물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 본 연구에서는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정규 교육과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인지적 영역의 진화적 요소를 중심으로(C-DEF) 초등학교 과학 4학년 2학기 생명 영역 ‘식물의 세계’ 단원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과학 창의성에 대한 양상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과 제언을 할 수 있다.
  • 그러나 유용성에 대한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독창성과 유용성 속성을 창의성의 정의와 부합되게 반영하여, 독창성 점수와 유용성 점수의 곱으로 계산하도록 개발된 공식(임채성, 2014)을 사용하여 과학 창의성을 평가하였다. 독창성 점수는 이 공식에 따라 객관적으로 산출한 반면, 유용성 점수는 교육 전문대학원에서 초등과학교육을 전공하는 교사 17명에게 학생들의 응답 내용에 대해 초등학교 4학년 수준을 고려하여 유용성 혹은 과학적 타당성을 평가하게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성이란? 창의성 연구는 매우 다양하고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그 개념은 문화, 시대, 연구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여 오히려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최인수, 2011; DasGupta, 1994; Weisberg, 1992) 그러나, 창의성 연구자들은 대부분 창의성의 정의에 독창성과 유용성이라는 두 가지 핵심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Sternberg, 1998). 즉, 창의성은 새롭고 유용한 것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창의성의 필수적이고 바람직한 다양한 특성들에 대한 강조점은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데 그 예는 무엇인가? 창의성의 필수적이고 바람직한 다양한 특성들에 대한 강조점은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예술가들은 적절성보다는 독창성을 더 강조하고, 건축가들은 참신성보다는 기능성을 더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가의 창의 활동은 예술가의 창의 활동보다 간결성, 상황, 물리학에 의해 더 많은 제약을 받는다(Glück et al.
창의성을 바라보는 두 가지 입장은 무엇인가? 창의성을 바라보는 두 가지 입장인 영역일반성(domain generality) 관점과 영역특수성(domain specificity) 관점은 자주 논란된다(Baer, 1998; Kaufman & Baer, 2004). ‘산물(product)’에 초점을 맞추면, 창의성은 영역특수적인 경우가 많다(Baer,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1-361호[별책9]. 

  2. 김지은, 임채성, 김성하, 홍준의 (2015). 정의적 영역 중심의 뇌기반 진화적 접근에 따른 '생물과 환경' 단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활동 분석. 생물교육, 43(4), 464-472. 

  3. 옥찬미, 임채성, 김재영, 김성하, 홍준의 (2016). 인지적 영역 중심의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식물의 세계' 학습 활동 분석. 생물교육, 44(3), 572-581. 

  4. 임채성 (2009).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90-1010. 

  5. 임채성 (2012).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창의적 과학 문제해결 지도 모형 개발. 생물교육, 40(4), 429-452. 

  6. 임채성 (2014). 과학 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연구, 33(2), 242-258. 

  7. 임채성 (2015). 초등과학창의성의 정의?실제?평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제69차 하계학술대회: 창의적인 초등 교사를 위한 과학교육(기조강연 A). 

  8. 최인수 (2011). 창의성의 발견. 서울: 쌤앤파커스. 

  9. 최효선, 임채성, 김성하, 홍준의 (2016). 행동적 영역 중심의 뇌기반 진화적 접근에 따른 '식물의 뿌리 기능 알아보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활동 분석. 생물교육, 44(1), 167-178. 

  10. Alexander, P. A. (1992) Domain knowledge: Evolving themes and emerging concerns. Educational Psychology, 27, 33-51. 

  11. Amabile, T. M. (1987) The motivation to be creative. In S. G. Isaken (ed.)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beyond the basics (Buffalo, NY: Bearly) pp. 223-254. 

  12. Baer, J. (1993). Creativity and divergent thinking: A taskspecific approach. Hillsdale, NJ: Erlbaum. 

  13. Baer, J. (1998). The case for domain specificity in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1, 173-177. 

  14. Batey, M. (2012): The measurement of creativity: From definitional consensus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heuristic framework.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4(1), 55-65. 

  15. Boden, M. A. (1996). What is creativity? In M. A. Boden (Ed.) Dimensions of creativity. Cambridge, Massachusett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p. 75-117. 

  16. Clark, R. L., Clough, M. P. & Berg, C. A. (2000). Modifying cookbook labs to mentally engage students. The Science Teacher, 67(7), 40-43. 

  17. DasGupta, S. (1994). Creativity in invention and design - Computational and cognitive explorations of technological origin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Findlay, C. S. & Lumsden, C. J. (1988) The creative mind: Toward an evolutionary theory of discovery and innovation. Journal of Social and Biological Structures, 11, 3-55. 

  19. Gardner, H. (1993). Creating minds. New York: Basic Books. 

  20. Gluck, J., Ernst, R. & Unger, F. (2002) How creatives define creativity: Definitions reflect different types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4(1), 55-67. 

  21. Kaufman, J. C. & Baer, J. (Eds.). (2006). Creativity and reason in cognitive develop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Kaufman, J. C. & Beghetto, R. A. (2009). Beyond big and little: The four c model of creativit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3(1), 1-12. 

  23. Kaufman, J. C. & Beghetto, R. A. (2013). Do people recognize the four Cs? Examining layperson conceptions of creativity.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7(3), 229-236. 

  24. Kaufman, J. C., & Baer, J. (2004). Sure, I'm creative - But not in mathematics! Self-reported creativity in diverse domains. Empirical Studies of the Arts, 22, 143-155. 

  25. Mayr, E. (1997). This is biology: The science of the living world. Universities Press. 

  26. Mumford, M. D., Mobley, M. I., Uhlman, C. E., Reiter-Palmon, R. & Doares, L. M. (1991) Process analytic of creative capacitie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4, 91-122. 

  27. Newton, D. P. (2010). Assessing the creativity of scientific explanations in elementary science: An insider-outsider view of intuitive assessment in the hypothesis space.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8(3), 187-201. 

  28. Peters, E. (2005). Reforming cookbook labs. Science Scope, 29(3), 16-21. 

  29. Plucker, J. A., Beghetto, R. A. & Dow, G. (2004). Why isn't creativity more important to educational psychologists? Potential, pitfalls, and future directions in creativity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9, 83-96. 

  30. Richards, R. (1993) Everyday creativity, eminent creativity and pschopathology. Psychological Inquiry, 4(3), 212-217. 

  31. Sternberg, R. J. (1998, Ed.). Handbook of human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Sternberg, R. J., Grigorenko, E. L. & Singer, J. L. (Eds.) (2004).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Washington, DC: APA. 

  33. Weisberg, R. W. (1992). Creativity: Beyond the myth of genius. New York: Freem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