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기 유로 형상에 따른 공랭식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스템의 냉각 성능 예측
Predictions of the Cooling Performance on an Air-Cooled EV Battery System According to the Air Flow Passage Shape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B, v.40 no.12 = no.375, 2016년, pp.801 - 807  

정석훈 (공주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  서현규 (공주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스템에 공기를 이용한 직접 냉각 방식을 적용하여, 공기 유로 형상에 따른 냉각 성능을 비교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배터리 냉각 시스템에서 모듈의 배치 형상과 발열량을 고정하고, 입 출구 면적 및 외부 Case 형상을 변경하여, 이에 따른 냉각 성능 결과를 수치 해석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는 배터리 내부의 공기 유동 유선(Stream line), 속도장 분포(Velocity field), 온도 분포(Temperature distributions)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해석 결과, 외기온도 $25^{\circ}C$에서 안정적인 배터리 작동온도인 $50^{\circ}C$ 이하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유입 체적이 $400m^3/h$ 이상이 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출구 부근의 Diffuser 형상을 가지는 해석 조건에서 냉각이 끝난 공기의 배출이 원활히 진행되면서 냉각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study the cooling performance of a battery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inlet and outlet geometry of the air passage in an EV. The arrangement and the heat source of the battery module were fixed, and the inlet/outlet area and its geometry were varied with the analy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전기자동차용 공랭식 냉각 시스템의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의 형상이 냉각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 해석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공기를 이용한 직접 냉각 방식을 적용하여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의 최적화 설계를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공랭식 냉각시스템(11)에서 냉각이 필요한 모듈의 형상은 고정하고,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의 형상과 면적을 변형하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냉각 성능을 수치 해석적으로 예측하였다.
  • 해석 조건 2는 입구부분에서 Diffuser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조건은 기본 해석 조건보다 더 넓은 열 교환체적을 가졌을 때 냉각 성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계하였다. 해석 조건 3은 공기 유입부에 Nozzle 형상을 설계하여 발열이 최고로 발생 할 것으로 예상되는 각 모듈의 사이 공간에 유량을 집중시켰을 때 냉각 성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계하였다.

가설 설정

  • 이때, 발열량 15W는 이전의 연구결과(14)를 참고하여 결정하였다. 발열량은 극군 하부로부터 약 1/3지점인 74 mm지점에서 15 W의 열량으로 발열을 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대류 및 전도 열전달 방정식을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에 적용된 자세한 경계조건을 Table 2에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운전 중 반복되는 충방전으로 인하여 생긴 발열은 어떤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가?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는 운행 중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서 발열한다. 이때, 모터의 연료탱크에 해당하는 배터리가 구동 적정온도를 초과하게 되면 급격한 성능저하를 보이는 단점이 있고,(4,5) 배터리 모듈의 최고온도가 60°C 이상부터 열적 노화가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6) 배터리를 이용하는 친환경 전기,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배터리의 냉각 효율은 배터리의 수명과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로 분류되어 많은 실험적, 해석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특징은 무엇인가? 엄격한 배기 배출물 규제(Euro-6) 시행에 따라 자동차 동력기술 연구 분야에서 배기 배출물 저감 기술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는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동일 출력 대비 낮은 배기량의 엔진을 사용하여 연비가 기존의 자동차에 비해 월등히 좋다.(1) 또한, 고부하 운전조건에서 부족한 출력을 모터가 제공하여 NOX, CO2 등의 배기 배출물 특성이 기존 기관보다 우수하다.(2,3)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적정 운전 온도는 얼마인가? 위와 같은 이유로 최근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배터리의 해석 신뢰도 향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9,10) 이전의 연구들에서 알 수 있듯이 배터리의 적정 운전 온도는 보통 -30°C~70°C로 이보다 좁은 온도범위에서 운전해야 하며, 극한조건에서 배터리의 수명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전의 연구들은 발열부 냉각에서 직접 냉각을 하지 않고 히트 싱크, 플레이트 등의 방법으로 배터리 모듈을 냉각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2012, "Automotive Technology and Outlook," Auto Journal of KSAE, Vol. 34, No. 6, pp. 47-53. 

  2. Kim, J. M.,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Maximum Driving Range of Electric Vehicl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Transactions of the KSAE, Vol. 21, No. 3, pp. 105-112. 

  3. Lee, D. S., 2013, "Optimization of Battery Power Distribution to Improve Fuel Consumption of Fuel Cell Hybrid Vehicle," Trans. Korean Soc. Mech. Eng. A, Vol. 37, No. 3, pp. 31-36. 

  4. Won, J. P. and Lee, H. S., 2011, "The Need to Develop Thermal Management System Technologies of Electric Driven Vehicles (EV, PHEV, FCEV)," Auto Journal of KSAE, Vol. 33, No. 12, pp. 22-28. 

  5. Lee, G. E., Ko S. Y., Hong, S. C., Ahn K. Y., Nam J. D. and Kim H. S., 2011, "Development of Control Strategy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for Battery/Supercapacitor Hybrid ESU in Room and Low Temperatures," KSAE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 2622-2627. 

  6. Park, S. J., 2013, "Hybrid and Electric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Simulation,"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42, No. 10, pp. 48-57. 

  7. Lee, D. R., 2013, "Force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HEV Battery for Different Structures," Jou. of Korean Soc. of Mechanical Technology, Vol. 15, No. 2, pp. 174-178. 

  8. Jang, I. H., Park, J. Y., Kim, D. H. and Yun, S. S., 2010, "Analysis of Cooling Efficiency According to Inlet/Outlet Position of HEV Battery Module," KSME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 3457-3460. 

  9. Lee, J. S., Yang, K. Y., Kuk, J. Y. and Park, J. C., 2011, "An Analytical Approach for the Battery Cooling of Hybrid Battery Package," KSAE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 508-514. 

  10. Park, J. H., Choi, B. K., Kim, S. G. and Jeong, J. H., 2011, "Study on the Prediction Methodology of Cooling Performance in HEV Battery Package Using CFD," KSAE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 2790-2794. 

  11. Kim, J. Y., Choi, W. C. and Lee, S. J., 2013, "Battery Swappable Smart Electric Bus Energy Consumption Predictive Simulation Verification for Smart Transportation System," KSAE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 1805-1810. 

  12. Suh, H. K., 2013, "Effect of Inlet Geometry on the Cooling Performance of Battery Pack for an Electric Vehicle," Journal of Korean Soc. of Mechanical Technology, Vol. 15, No. 5, pp. 679-684. 

  13. Jang, I. H., Choe, J. H., Park, J. Y. and Seol, S. Y., 2010, "Analysis of Forced Cooling Efficiency According to case of HEV Battery Module," KSME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 252-257. 

  14. Suh, H. K., 2013, "Numerical Analysis of Internal Flow and Temperature Distributions of Battery for the Electric Vehicle," Journal of Korean Soc. of Mechanical Technology, Vol. 15, No. 6, pp. 813-8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