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단하지보조기 중재가 뇌졸중 후 편마비 성인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효과: 국내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고찰
Effects of a Plastic Ankle Foot Orthosis on Balance and Gait of Adult with Poststroke Hemiplegia: A Systematic Review of Forcusing on Korea's Thesi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4 no.4, 2016년, pp.33 - 39  

조병모 (한국복지대학교 의료보장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astic ankle foot orthosis on adult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s walking ability and balance. Method : The searched for the case controlled clinical trials about the effects of plastic ankle foot orthosis(pAFO) for walking abil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는 플라스틱 단하지보조기 중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시·공간적 지표, 운동 형상학적(kinematic), 운동 역학적 지표(kinetic parameters) 그리고 균형 등에 대해 연구된 국내 학위논문을 비교 분석하여,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 증진에 더욱 효과적인 중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독립보행은 그들의 재활에서 매우 중요한 쟁점이 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플라스틱 단하지보조기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된 국내 학위논문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효과적인 중재 방향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하지보조기 종류중 대표적으로 사용되는것은 무엇인가? 또한, 무릎의 전반슬(genu regurvartum)을 교정하기 위해 적용한다. 단하지보조기 종류 중 대표적으로 플라스틱 단하지보조기와 금속형 단하지보조기를 중재로 사용하고 있다(Jaivin 등, 1992; Mulroy 등, 2010). 많은 연구자들이 플라스틱 단하지보조기와 금속형 단하지보조기를 중재한 연구에서 발목관절의 형태와 발목관절의 각도 조절 등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Cakar 등, 2010; Chen 등, 2008: Chen 등, 1999; Dogan 등, 2011; Pohl & Mehrholz, 2006; Silver-Thorn 등, 2011).
단하지보조기는 언제 처방되는가? 중추신경계와 신경근 질환으로 인해 무릎에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들은 장하지보조기 등을 사용하여 치료한다(O'Connor 등, 2016). 임상에서 단하지보조기는 신경근 손상이나 발목의 약증이나 강직 그리고 첨족변형(equino varus deformity)이 있을 때, 교정하기 위해 처방된다(Zissimopoulos 등, 2015). 또한, 무릎의 전반슬(genu regurvartum)을 교정하기 위해 적용한다.
뇌졸중 환자의 독립보행이 재활에서 중요한 쟁점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은 손상 부위에 따라 언어장애, 지체 장애 등 다양한 장애를 평생 동안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중재가 시도되어 왔다. 특히,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는 지체가 마비됨에 따라 균형과 자세 불균형으로 인해 보행에 어려움을 가진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독립보행은 그들의 재활에서 매우 중요한 쟁점이 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산옥(2007). 편마비환자의 플라스틱 단하지보조기 착용 유.무에 따른 보행 특성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중휘(2000). 플라스틱 단하지 보조기와 신발 착용이 편마비 환자의 정적 선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택훈(1996). 편마비 환자의 단하지 보조기 착용유무에 따른 하지 체중지지율과 보행특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박소연(2001). 편마비 환자에서 전방형과 후방형 플라스틱 단하지 보조기의 효과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윤홍규(2013). 단하지보조기와 발목관절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균형운동이 편마비환자의 보행속도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이강성(2001). 편마비 환자에 대한 플라스틱 단하지 보조기와 중족골두 절단단하지보조기 착용이 기립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이영민(2013). 발목보조기 착용유무가 뇌졸중환자의 하지근 활성도와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이전형(2011). 편마비 환자 보행에서 플라스틱 단하지 보조기 각도에 따른 생역학적 변화.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임호용(2003). 관절형 및 고정형 플라스틱 단하지 보조기가 편마비환자의 정적, 동적균형에 미치는 효과. 대불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장영재(1999). 편마비 환자에서 플라스틱 단하지 보조기 착용에 따른 보행특성의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Cakar E, Durmus O, Tekin L, et al(2010). The ankle-foot orthosis improves balance and reduces fall risk of chronic spastic hemiparetic patients. Eur J Phys Rehabil Med, 46(3), 363-368. 

  12. Chen CC, Hong WH, Wang CM, et al(2010). Kinematic features of rear-foot motion using anterior and posterior ankle-foot orthoses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c gait. Arch Phys Med Rehabil, 91(12), 1862-1868. 

  13. Chen CL, Yeung KT, Wang CH, et al(1999). Anterior ankle-foot orthosis effects on postural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80(12), 1587-1592. 

  14. Chen CK, Hong WH, Chu NK, et al(2008). Effects of an anterior ankle-foot orthosis on postural stability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Am J Phys Med Rehabil, 87(10), 815-820. 

  15. Da Cunha IT Jr, Lim PA, Qureshy H, et al(2002). Gait outcomes after acute stroke rehabilitation with supported treadmill ambulation training: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83(9), 1258-1265. 

  16. Dogan A, Mengulluoglu M, Ozgirgin N(2011).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nkle-foot orthosis use on balance and mobility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Disabil Rehabil, 33(15-16), 1433-1439. 

  17. Fatone S, Hansen AH(2007). Effect of ankle-foot orthosis on roll-over shape in adults with hemiplegia. J Rehabil Res Dev, 44(1), 11-20. 

  18. Jaivin JS, Bishop JO, Braly WG, et al(1992). Management of acquired adult drop foot. Foot Ankle, 13(2), 98-104. 

  19. Kim DY, Kim SK, Park JB, et al(2013). Effects of ankle foot orthosis on post-stroke hemiplegic gait -A meta-analysis. Brain Neurorehabil, 6(1), 1-8. 

  20. Mulroy SJ, Eberly VJ, Gronely JK, et al(2010). Effect of AFO design on walking after stroke: impact of ankle plantar flexion contracture. Prosthet Orthot Int, 34(2), 277-292. 

  21. O'Connor J, McCaughan D, McDaid C, et al(2016). Orthotic management of instability of the knee related to neuromuscular and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systematic review, qualitative study, survey and costing analysis. Health Technol Assess, 20(55), 1-262. 

  22. Pohl M, Mehrholz J(2006). Immediate effects of an individually designed functional ankle-foot orthosis on stance and gait in hemiparetic patients. Clin Rehabil, 20(4), 324-330. 

  23. Sarno JE, Lehneis HR(1971). Prescription consideration for plastic below-knee orthoses. Arch Phys Med Rehabil, 52(11), 503-510. 

  24. Silver-Thorn B, Herrmann A, Current T, et al(2011). Effect of ankle orientation on heel loading and knee stability for post-stroke individuals wearing ankle-foot orthoses. Prosthet Orthot Int, 35(2), 150-162. 

  25. Tyson SF, Kent RM(2013). Effects of an ankle-foot orthosis on balance and walking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pooled meta-analysis. Arch Phys Med Rehabil, 94(7), 1377-1385. 

  26. Zissimopoulos A, Fatone S, Gard S(2015). Effects of ankle-foot orthoses on mediolateral foot-placement ability during post-stroke gait. Prosthet Orthot Int, 39(5), 372-37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