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실조형 뇌성마비 아동의 이중과제훈련에 의한 균형 및 일상생활활동의 변화 : 사례보고
Changes in the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Children with Ataxic Cerebral Palsy from Dual Task Training : Case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4 no.4, 2016년, pp.91 - 100  

권해연 (동의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find the changes in the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children with ataxic cerebral palsy from dual task training. Methods : This study selects 3 subjects for 7.6 years old who were diagnosed with children with ataxic cerebral p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현재까지 국내에 이중과제훈련을 적용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뇌졸중 환자의 자세안정성과 균형(지상구 등, 2013; 이승원 등, 2012; 박해균 등, 2011),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오덕원과 심선미, 2015; 정세라와 원종임, 2014; 방대혁 등, 2012) 그리고 노인의 균형(이샛별 등, 2015) 등 대부분이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뇌성마비 아동의 경우 안 이상을 동반한 경직형 뇌성마비를 대상으로 안구운동을 포함한 이중과제훈련이 시각-운동기능과 대동작 기능을 향상시킨다(김지은, 2015)는 연구 결과는 있지만 임상에서 보편적인 중재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균형능력 부족으로 잘 넘어지거나 지지면이 넓은 실조성 보행(ataxic gait)을 하는 운동실조형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이중과제훈련을 실시하였을 때 균형 및 일상 생활활동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실조형 뇌성마비 아동이 겪을 수 있는 현상은 무엇인가? 소뇌는 균형 유지, 협조성 조정(coordination modulation) 그리고 움직임의 비교 측정 기능을 담당하므로 운동실조형 뇌성마비는 이러한 소뇌 기능이 손상되게 된다. 운동실조형 뇌성마비 아동은 정상보다 낮은 근육긴장감소증(hypotonia)을 가지고, 근육의 동시수축(co-contraction) 부족으로 중력에 대항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빠른 움직임을 시도할 때 협조된 동작의 타이밍 조절 장애가 심해지면서 조화운동 못함증(ataxia)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에는 활동떨림 (intention tremor)이 동반되게 된다. 특히, 평형 장애 (disequilibrium)로 인한 흔들림으로 지지면이 넓은 실조성 보행(ataxic gait)이 나타나고(Katz, 2003; Howle, 2002), 일상생활 수행 및 보행 문제가 발생하므로 낙상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Gan 등, 2008). 이처럼 균형 능력은 뇌성마비 아동이 안전하게 이동하고, 지역사회의 활동 및 작업 수행에 중요한 요소이므로 균형 수행력(balance performance) 향상을 통해서 기능적인 능력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Ferdjallah 등, 2002).
감각경험 제한이 초래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하지만 뇌성마비 아동은 자세조절 능력 손상과 인지기능 감소가 아동의 다양한 감각 경험을 제한하므로 균형 및 주의집중력 (attention), 행동에 영향을 주게 된다. 감각경험의 제한은 부적절한 고유수용성감각 및 움직임 피드백의 오류를 산출시켜 적절한 움직임을 위한 촉각, 안뜰감각, 고유수용성 감각의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발생시킨다(김경미와 김진미, 2007).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은 다양한 자세에서 감각을 자극할 수 있으면서 아동의 장애정도와 인지수준 및 관심사 등이 고려된 목표 지향적이며 의미 있는 동작으로 구성된 치료적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하다(Cameron & Monroe, 2007).
아동장애평가목록(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은 어떤 경우에 쓰이는가? 운동실조형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의 평가는 아동장애평가목록(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을 사용하였다. 이 평가서는 6개월부터 7세 6개월까지 아동의 나이에 적합한 독립성의 견지에서 주된 기능제한과 참여 정도를 평가하는 선별적인 도구이고, 7세 6개월의 생활연령 아동 보다 운동발달이 지연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Kim 등, 2011). 아동장애평가목록의 197개 항목들은 자조활동, 운동성, 사회적 기능에 대한 기능적 기술들을 평가하며 20개 항목들은 보호자의 도움 정도 및 과제의 조정/변경 정도를 평가한다(Jeong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김경미, 김진미(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 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중력에 미치는 효과: 개별 실험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6(4), 103-130. 

  2. 김장곤, 김형렬, 신영일(2011).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과 기능적 수행능력과의 관련성.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1), 83-91. 

  3. 김지은(2016). 안구운동을 포함한 이중과제훈련이 안 이상을 동반한 경직형 뇌성마비아의 시각-운동기능과 대동작기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혜선, 송병호(2007). 발달장애 유아의 자세조절과 원시반사조정 그리고 양측운동조절을 위한 전정자극 훈련의 효과.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18, 23-45. 

  5. 박명옥(2009). 전정자극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박해균, 조기훈, 이완희(2011).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자세안정성과 균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8), 3555-3562. 

  7. 방대혁, 이영찬, 봉순녕(2012). 만성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훈련에서 인지적 이중과제훈련이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10(1), 25-33. 

  8. 양현주, 조바회, 장종식(2013). 시각되먹임 훈련이 소뇌 실조증 환자의 균형과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사례보고.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3(1), 43-53. 

  9. 오덕원, 심선미(2015). 인지운동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 기능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군 예비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2(2), 11-20. 

  10. 오태영(1997). 시각 및 청각 되먹임 균형장치가 뇌성마비아동의 하지 체중지지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이샛별, 차예니, 이상호(2015), 이중과제 훈련이 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신경치료학회지, 19(2), 41-47. 

  12. 이승원, 이재한, 이용우(2012). 앉은 자세에서의 이중운동과 제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2), 301-318. 

  13. 이은정, 송주민(2012). 다양한 지지면에서 균형운동이 경직성 뇌성마비 양하지마비 아동의 대동작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7(3), 357-365. 

  14. 임선규(2000). 체중부하이동훈련과 관절운동범위증진훈련이 뇌성마비환아의 보행특성과 족저압중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임승진, 박진훈(2013). 장애물 보행 훈련 프로그램이 소뇌성 운동실조증 환자의 기능적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22(5), 607-626. 

  16. 정병록, 유은영, 정민예 등(2009).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평가도구의 국내 적용을 위한 번역 및 문화간 비교 연구: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3), 121-132. 

  17. 정세라, 원종임(2014).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1(2), 18-27. 

  18. 지상구, 김명권, 차현규(2013). 이중 운동 과제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8(1), 1-9. 

  19. Bartlett D, Birmingham T(2003).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pediatric reach test. Pediatr Phys Ther, 15(2), 84-92. 

  20. Blundell SW, Shepherd RB, Dean CM, et al(2003). Functional strength training in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of a group circuit training class for children aged 4-8years. Clin Rehabil, 17(1), 48-57. 

  21. Brauer SG, Woollacott M, Shumway-Cook A(2001). The interacting effects of cognitive demand and recovery of postural stability in balance-impaired elderly person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6(8), M489-496. 

  22. Brauer SG, Woollacott M, Shumway-Cook A(2002). The influence of a concurrent cognitive task on the compensatory stepping response to a pertubation in balance-impaired and healthy elders. Gait Posture, 15(1), 83-93. 

  23. Cameron MH, Monroe LG(2007). Physical rehabilitation; Evidence-based examinatio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Saunders, Elsvier Inc. 

  24. Canning CG(2005). The effect of directing attention during walking under dual-task conditions in parkinson's disease. Parkinsonism Relat Disord, 11(2), 95-99. 

  25. Canning CG, Ada L, Woodhouse E(2008). Multiple-task walking training in people with mild to moderate parkinson's disease: a pilot study. Clin Rehabil, 22(3), 226-233. 

  26. Eser F, Yavuzer G, Karakus D, et al(2008). The effect of balance training on motor recovery and ambula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 J Phys Rehabil Med, 44(1), 19-25. 

  27. Ferdjallah M, Harris GF, Smith P, et al(2002). Analysis of postural control synergies during quiet standing in healthy children an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lin Biomech (Bristol, Avon), 17(3), 203-210. 

  28. Franjoine MR, Darr N, Held SL, et al(2010). The performance of children developing typically on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ediatr Phys Ther, 22(4), 350-359. 

  29. Franjoine MR, Gunther JS, Taylor MJ(2003). Pediatric balance scale: a modified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for the school-age child with mild to moderate motor impairment. Pediatr Phys Ther, 15(2), 114-128. 

  30. Gan SM, Tung LC, Tang YH, et al(2008). Psychometric properties of functional balance assess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2(6), 745-753. 

  31. Geiger RA, Allen JB, O'Keefe J, et al(2001).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biofeedback/ forceplate training. Phys Ther, 81(4), 995-1005. 

  32. Haley SM, Andrellos PJ, Coster W, et al(1992).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New England Medical Center Hospitals. 

  33. Horak FB(1997). Clinical assessment of balance disorders, Gait Posture, 6(1), 76-84. 

  34. Howle JM(2002).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approach theoretical foundations and principles of clinical practice. Laguna Beach, CA: The north american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association. 

  35. Katz RT(2003). Life expectanc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mental retardation: implications for life care planning. NeuroRehabil, 18(3), 261-270. 

  36. Ketelaar M, Vermeer A, Hart H, et al(2001). Effects of a functional therapy program on motor abil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81(9), 1534-1545. 

  37. Kim YM, Lee BH(2013). Clinical usefulness of child-centered task-oriented training on balance ability in cerebral palsy. J Phys Ther Sci, 25(8), 947-951. 

  38. McCulloch KL, Buxton E, Hackney J, et al(2010). Balance, attention, and dual-task performance during walking after brain injury associations with falls history. J Head Trauma Rehabil, 25(3), 155-163. 

  39. Nichols DS, Miller L, Colby LA, et al(1996). Sitting balance: its relation to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77(9), 865-869. 

  40. Pellecchia GL(2005). Dual-task training reduces impact of cognitive task on postural sway. J Mot Behav, 37(3), 239-246. 

  41. Petruseviciene D, Krisciunas A(2008). Evaluation of activity and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stroke patients at the early stage of rehabilitation. Med, 44(3), 216-224. 

  42. Plummer-D'Amato P, Altmann LJ, Saracino D, et al(2008). Interactions between cognitive tasks and gait after stroke: A dual task study. Gait Posture, 27(4), 683-688. 

  43. Ragnarsdottir M(1996). The concept of balance. Physiother, 82(6), 368-375. 

  44. Salem Y, Godwin EM(2009).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mobility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urorehabil, 24(4), 307-313. 

  45. Sekendiz B, Cug M, Korkusuz F(2010). Effects of swiss ball core strength training on strength, endurance, flexibility, and balance in sedentary women. J Strength Cond Res, 24(11), 3032-3040. 

  46. Shumway-Cook A, Woollacott MH(2001).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7. Silsupadol P, Shumway-Cook A, Lugade V, et al(2009). Effects of single-task versus dual task training on balance performance in older adult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90(3), 381-387. 

  48. Walker C, Brouwer BJ, Culham EG(2000).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80(9), 886-895. 

  49. Yang YR, Chen YC, Lee CS, et al(2007). Dual-task-related gait changes in individuals with stroke. Gait Posture. 25(2), 185-1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