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력수요예측을 위한 기상정보 활용성평가
Evaluation of weather information for electricity demand forecast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6, 2016년, pp.1601 - 1607  

신이레 (한국외국어대학교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 ,  윤상후 (대구대학교 전산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기상정보는 도로공학, 경제학, 환경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력수요 예측을 위한 기상정보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기상변수는 기상관측소에서 수집되는 기온, 풍속, 습도, 운량, 기압과 기온, 풍속, 상대습도의 합성지수인 체감온도와 불쾌지수가 고려되었다. 전력수요 예측을 위한 시계열모형으로 슬라이딩 창 방식의 TBATS 삼중지수평활모형이 고려되었다. 월 단위 기상변수와 전력수요 예측오차간 상관분석 결과를 보면 시간대별로 차이를 있으나 기온, 불쾌지수, 체감온도가 전력수요 예측오차와 상관성이 높았다. 이에 과거 3년의 월단위 전력수요 예측오차와 기상변수의 회귀모형식으로 전력수요 예측값의 편의를 보정하였다. 온도, 상대습도, 풍속으로 TBATS 모형의 전력수요 예측값을 보정한 결과 TBATS 모형에 비해 RMSE가 약 6.1% 줄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weather information has been increasingly used in various area. This study presents the necessity of hourly weather information for electricity demand forecasting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Hourly weather data were collected by Meteorological Adminis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상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겨울철 (2월)과 여름철 (8월)에 대해 상관계수를 자세히 살펴보자. 겨울철 상관계수는 Table 3.
  • 본 연구는 시간단위 전력수요 예측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간단위 기상정보를 이용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2007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전력수요량 자료에 삼중 계절성 지수평활모형인 TBATS 모형을 적합시켜 예측오차를 생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를 위한 시간단위 기상변수는 무엇인가? 연구를 위한 시간단위 기상변수는 2010년 1월 1일 00시부터 2012년 12월 31일 까지 지상기상관측소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에서 관측된 5개 지점 (서울, 대전, 대구, 광주, 부산)의 5개의 기상자료 (기온, 풍속, 습도, 운량, 기압)이다. 각 기상변수에 대해 전국단위의 대표 기상자료를 산출하기 위해서 5대 도시에 가중치를 주어 최종적으로 대표 기상자료를 산출하였다.
예측모형에서 기온 외에도 풍속, 습도 등 다양한 기상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시간대별 전력수요 예측오차와 기상요인간 상관성을 살펴보면 새벽, 오전, 오후, 저녁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중요 기상요인이 달랐다. 특히 기온, 풍속, 습도가 고려된 불쾌지수와 체감온도가 기온보다 전력수요 예측오차와 상관성이 높았다. 이는 전력수요 예측모형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 기상요인은 기온 외에도 풍속, 습도 등 다양한 기상변수임을 의미한다.
전력수요량에 시계열 분석 방법이 많이 활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소비하기 위한 전력수요량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다양하게 발전되어왔다. 전력수요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시계열자료이므로 시계열 분석 방법이 많이 활용된다. Ramanathan 등 (1997)은 온도와 기간을 고려한 지수평활법을 제안하였으며 Taylor와 Buizza (2003)은 날씨변수를 이용한 전력수요모형을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ox, G. E. P. and Cox, D. R. (1964). An analysis of transformat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B, 26, 211-252. 

  2. Cha, J., Lee, D., Kim, H. and Joo, S. K.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peak load and weather conditions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475-476. 

  3. De Livera, A. M., Hyndman, R. J. and Snyder, R. D. (2011). Forecasting time series with complex seasonal patterns using exponential smoothing.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06, 1513-1527. 

  4. Cui, H. and Peng, X. (2015). Short-term city electric load forecasting with considering temperature effects : An improved ARIMAX model. Mathematical Problems in Engineering,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155/2015/589374. 

  5. Lee, Y. S., Kim, J., Jang, M. S. and Kim, H. G. (2013). A study on comparing short-term wind power prediction models in Gunsan wind farm.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585-592. 

  6. Lim, J. H., Kim, S. Y., Park, J. D. and Song, K. B. (2013). Representative temperature assessment for improvement of short-term load forecasting cccurac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27, 39-43. 

  7. Kim, C. H. (2013a). Electricity demand patterns analysis by daily and timely time series.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3-03, Sejong, Korea. 

  8. Kim, C. H. (2013b). Short-term electricity demand forecasting using complex seasonal exponential smoothing.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3-06, Sejong, Korea. 

  9. Kim, C. H. (2014). Electricity demand forecasting using mixed data sampling model.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3-06, Sejong, Korea. 

  10. Ramanathan, R., Engle, R., Granger, C. W., Vahid-Araghi, F. and Brace, C. (1997). Short-run forecasts of electricity loads and peaks.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13, 161-174. 

  11. Shin, D. and Jo, H. (2014). A empirical study on the climate factor sensitivity and threshold temperature of daily maximum electricity consumption in Korea. Korea Economic and Business Association, 32, 175-212. 

  12. Shin, Y. and Yoon, S. (2016). Electricity forecasting model using specific time zon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 275-284. 

  13. Taylor, J. W. and Buizza, R. (2003). Using weather ensemble predictions in electricity demand forecas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19, 57-70. 

  14. Taylor, J. W. (2010). Triple seasonal methods for short-term electricity demand forecasting.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04, 139-152. 

  15. Yoon, S. and Choi, Y. (2015). Functional clustering for electricity demand data: A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885-8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