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Communication Courses to Enhance Undergraduates' Core Compet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0, 2016년, pp.9 - 16  

김효진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술의 발전과 함께 문화 간 융합이 이루어지는 정보사회화 흐름 속에서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각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경쟁력 있는 인재양성에 있어 꼭 필요한 핵심역량의 하나로 간주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과정의 개설과 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개발에 관한 과정과 구체적인 콘텐츠를 제시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관한 콘텐츠에는 강의개요, 강의목표, 강의방법, 성적 평가방법, 주차별 학습주제, 학습목표, 학습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효과적으로 배양하여 대학생활을 하는데 있어 핵심역량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 및 사회에서 갖추어야 할 구성원의 핵심역량으로 가장 우선시 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대한 체계적 교육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양성의 장을 마련해 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as well as the trend of becoming information society where all different cultures become convergent, communication competence is becom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universities are making efforts to open and operate a related curriculum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대학의 경우 역량기반을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연구가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17].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역량기반의 교과목 개발 및 구체적 적용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및 사회에서 갖추어야 할구성원의 핵심역량으로 가장 우선시 되고 있는 커뮤니케 이션 역량에 대한 이론과 실무교육을 우리나라 대학의 실정에 적합하게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또한 본 교과목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실질적인 적용의 과정을 습득하여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향상시킬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개발에 관한 과정과 구체적인 콘텐츠를 제시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관한 콘텐츠에는 강의개요, 강의목표, 강의방법, 성적 평가방법, 주차별 학습주제, 학습목표, 학습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다.
  • 9주차 수업에서는 조직생활에 있어서 문화차이를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화차이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의 차별화된 전략 및 방법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이를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및 사회에서 갖추어야 할구성원의 핵심역량으로 가장 우선시 되고 있는 커뮤니케 이션 역량에 대한 이론과 실무교육을 우리나라 대학의 실정에 적합하게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또한 본 교과목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실질적인 적용의 과정을 습득하여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향상시킬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10주차 수업에서는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진화와 다양성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의 차별화된 전략 및 방법을 설명하여 이를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4주차 수업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의 효율화 방안에 대해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요소 및 방해요인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학생들이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기존의 이론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운영의 형태를 벗어나 이론교육과 실무교육을 유연성 있게 배정한 본 교과목의 콘텐츠는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이 다소 취약한 말하기와 듣기 분야의 커뮤니케이션 영역의 학습을 증진시켜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커뮤니케이션이란 사람들이 서로 상호이해하기 위해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과정을 의미한다[6]. 커뮤니케이션은 사회현상의 기본을 형성하는 근간이며 커뮤니케이션이 없다면 사람들 간 정보교환이나 정서교류, 문화간 세대 전이가 불가능할 것이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배경은 무엇인가? 세계는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른 기술혁명과 세대 간, 문화 간 통합에 따른 구조의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교육환경 또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수반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1].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어떤 요인이 되고 있는가? 현대인들은 양적 질적으로 급증하는 정보에 노출되어 개인 생활뿐 아니라, 조직 내의 생활에서도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대학생활 및 사회생활을 하는 데 있어 개인의 발전 및 조직의 발전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사회의 많은 기업과 조직에서도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우수한 인재를 고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직원들의 원활한 업무진행 및 소통능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astells, M., Flows, Networks, and Identities: A Critical Theory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 M. Castells, R. Flecha, P. Freire, H A. Giroux, D. Macedo, & P. Willis(Eds.), Critical Education in the New Information Age. Lanham : Rowman & Littelfield, 1999. 

  2. Spencer, L. & S. Spencer, Competence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 John Wiley & Sons, 1993. 

  3.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SCANS), What Work Requires of School : A SCANS Report for America 2000. US Department of Labor, Washington, DC, 1991. 

  4. Wook-Hee Jang & Sang-Ho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Competencies and Employment Outcomes", The Journal of Human Management Research, Vol. 33, No. 1, pp. 31-59, 2009. 

  5. Johnstone, B. & A. Watson, "Participation, Reflection and Integration for Business and Lifelong",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Vol. 16, No. 2, pp. 53-59, 2004. 

  6. Rogers, E. & D. Kincaid, Communication Network: Toward a New Paradigm for Research. NY: Free Press, 1981. 

  7. Shin-Il Han, Young-Sin Kwon & Jung-Heun Joo, "Comparative Analysis of General Education of America's Top 10 National Universities 2002",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Vol. 13, No. 1, pp. 91-119, 2003. 

  8. Fassett, D. L. & J. T. Warren, The Sage Handbook of Communication and Instruction(Ed.). Los Angeles, CA: Sage. 2010. 

  9. Friedrich, G. W., "A View from the Office of the SCA President", Communication Education, Vol. 38, No. 2, pp. 297-302, 1989. 

  10. Mckay, M., M. Davis & P. Fanning, Massages: The Communication Skills Book. Oakland, CA: New Harbinger, 1995. 

  11. McCroskey, J. C.,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Newbury Park, CA: SAGE, 1987. 

  12. Norton, R. W. "Foundation of a Communication Style Construct",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4, No. 2, pp. 99-112, 1978. 

  13. Bolton, T. & T. Hyland, "Implementing Key Skills in Further Education: Perception and Issues", Journal of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Vol. 27, No. 2, pp. 15-26, 2003. 

  14. Boyatzis, R.,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Wiley-Interscience, 1982. 

  15. Jae-Ho Park, "A Study on Core Competency of Leaders in Venture Business-Focusing on Core Competency and Executive Coaching", The Journal of Young Nam Region Development Research, No. 32, No. 0, pp. 23-50, 2003. 

  16. Kwang-Min Kim, "The Attractiveness and Limit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Vol. 20, No. 2, pp. 171-197, 2009. 

  17. Min-Jeong Park, "A New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Competence - based Curriculum", The Journal of Education Process Research, Vol. 26, No. 4, pp. 173-197. 2008. 

  18. Seong-Ik Park, Sang-Eun Lee & Ji-Eun Song, " Major Factors Influencing Effective On/Offline Learning on the Blend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5, No. 1, pp. 17-45, 2007. 

  19. Jeong-Man Lee, Introduction Education, Hac Ji Sa, 2016. 

  20. Seok-Beom Yoon & Eun-Young Jang, "A Development of Creative Capstone Desig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4, pp. 15-20, 2014. 

  21. Young-Ae Jung, "A Study on the Education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Improvement of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2, No. 1, pp. 15-2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