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류개선 효능을 지닌 한약재의 영양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Nutritional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riental Medicines with Bloodstream Improvemen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0, 2016년, pp.563 - 570  

박성혜 (광주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병주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생화학교실) ,  박해령 (광주여자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동양의학의 관점에서 혈액의 흐름에 도움이 되는 5종의 한약재를 이용하여 영양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일반 영양성분 중 혈액의 구성성분과 관계되는 단백질, 철분 및 구리의 함량은 하수오 (20.28%, $132.22{\mu}g$/100 g, $26.54{\mu}g$/100 g), 당귀 (16.54%, $98.20{\mu}g$/100 g, 그리고 $32.15{\mu}g$/100 g)및 백작약(18.67%, $62.10{\mu}g$/100 g, 그리고 $20.32{\mu}g$/100 g) 의 함량이 다른 재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당귀(157.24 mg GAE/g, 108.97 mg QUAC/g), 하수오(124.17 mg GAE/g, 112.02 mg QUAC/g), 백작약(125.25 mg GAE/g, 65.66mg QUAC/g)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으며,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분석한 항산화 활성은 하수오(0.35 $IC_{50}$ mg/ ml), 당귀(0.68 $IC_{50}$ mg/ ml) 및 백작약(0.72 $IC_{50}$ mg/ ml) 순으로 그 활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약재를 활용하여 동 서 융합적 효능 접근을 시도하고 혈류개선을 위한 천연물 유래 성분의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 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한약재의 혈류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 및 활용가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applicable values and developments of 5 different kinds of oriental medicine materials as functional supplements or medicinal uses, known to improve blood circulation by means of analyzing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mong general nutritional compos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약재 중 예로부터 보혈의 기능을 가진 재료로 한의학 영역에서는 혈액을 구성하고 혈관의 순환에 도움이 되는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백작약(Paeoniae Radix), 용안육(Longanae Arillus) 및 하수오(Polygoni Multiflori Radix)의 일반성분과 미량무기질, 유리당 함량,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알아보고, DPPH에 의한 전자소거능을 측정하여 혈류개선을 위한 소재 개발에 있어서 좀 더 객관적으로 동 · 서 융합적 개념으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의학적으로 혈류개선의 효능을 가진 한약재의 식품학적 가치를 추정해보고 식생활에 있어 동 · 서 융합적 접근 방법을 통해 이해하고 활용하는데 기초 자료를 활용해보고자 한다.
  • 한약재에서 유효한 성분을 추출하여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는데 한약재를 이용한 소재개발 학문의 기초자료로 활용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혈 효능을 가진 재료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 보혈 효능을 가진 재료들은 간혈허(肝血虛), 심주혈(心主血) 및 비통혈(脾統血)의 한의학적 생리기전에 따라 얼굴이 창백하고 입술과 혀, 손톱과 발톱의 색이 옅으며, 현기증, 가슴 두근거림, 숨참, 이명증상, 건망, 실면 및 월경이 순조롭지 못하며 색깔이 옅고 양이 적은 등의 증상에 활용되어진다[7]. 특히 원활한 혈액대사를 기본으로 삼고 있는 여성질환에서 각종의 혈허증에 응용되어지며 최근에 증가되는 각종 만성소모성 질환 등에 있어 보혈재료들은 건강식품 등의 개발을 위한 좋은 재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혈액의 역할은? 혈액은 심장의 박동에 의해 동맥, 모세혈관, 정맥을 통해 온 몸을 끊임없이 순환하면서 소화 · 흡수된 영양소와 호흡에 의해 공급받은 산소를 각 조직 세포에 전달하고, 조직 세포에서 생긴 노폐물과 이산화탄소 등을 폐와 신장과 같은 배설기관으로 운반한다[1]. 또한 체내 항상성 유지와 우리 몸에 침입한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항하여 싸우는 생체방어 작용도 수행한다[2].
혈액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은? 콜레스테롤, 포도당, 젖산, 단백질, 중성지방 그리고 요소성 질소 등이 혈액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며 이런 성분이 부족하여 혈액의 기능이 원활하지 않을 때는 여러 종류의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3]. 인체의 혈액량은 대략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 Ankney, Anatomy & Physiologt for health professions, pp. 273-292, 2007. 

  2. A. M. Papas, "Antioxidant status, diet, nutrition and health", pp. 251-299, CRC Press, 1999. 

  3. A. Chevallier, Herbal medicine, p.237, 2005. 

  4. C. S. Park, "Antioxidtive and nitrite scvenging abil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Vol. 12, pp.631-636, 2005. 

  5. J. H. Han, Y. J. Song, S. H. Park, "Development of drink from composition with medicin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al function in arota relaxat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Vol. 18, pp. 1078-1082, 2004. 

  6. J. W. Lee, H. Y. Kim, B. S. Shim, S. H. Kim, S. H. Choi, K. S. Ahn, "Angiogenic inhibition effects of several herbs supplementing Qi and Blood", Vol. 11, pp.105-111, 2006. 

  7. J. Y. Lee , K. H. Kim, B. C. Kim, "Bibliographic study on the orgin", The Journal of Applied Oriental Medicine, pp. 59-69, 2005. 

  8.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ssociation of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ed), p. 788, 1990. 

  9.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ssociation of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6th-ed), p. 20, 1995. 

  10. M. L. Richmond, S. C. Brandao, J. I. Gray, P. Markakis, C.M. Stine, "Analysis of simple sugar and sorbitol in fruit by HPLC", J. Agri. Food Chem., Vol. 29, pp. 4-7, 1981. 

  11. M. A. Amerin, C. S. Ough, "Method for analysis of nusts and wine",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179-180, 1980. 

  12. V. L. Singleton, R. Orthofe, R. M. Lamuela-Raventos, "Methods in Enzymology", pp. 152-177, Academic Press, 1999. 

  13. A. A. L. Ordonez, J. D. Gomez, M. I. Isla, "Antioxidant activity of Sechium edule Swartz extracts", Food Chem, Vol. 97, pp. 452-458, 2006. 

  14. W. Brand-Williams, M. E. Cuvelier, C. Berse,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ivity", LWT, Vol. 28, pp. 25-30, 1995. 

  15. J. Y. Kim, Y. S. Lee, Y. H. Lim, "Biologic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herval plant extracts against Candida species", Kor. J. Mocroial Biotechnol., Vol. 1, pp. 42-48, 2009. 

  16. I. S. Choi, E. J. Cha, Y. R. Lee, J. K. Kim,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Yak-sun tea by oriental medicinal herb", Korean J. Food & Nutr., Vol. 25, pp. 447-453, 2012. 

  17. Y. Choi, M. S. Kim, J. J. Shin, J. M. Park, J. Le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32, pp. 723-727, 2003. 

  18. M. S. Blio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Vol. 26, pp. 1199-1200, 1958. 

  19. H. K. Oh, M. S. Shin, H. S. Lim,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amult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36, pp. 643-650, 2007. 

  20. J. S. Kwak,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candy for nourishing of the blood using oriental herb medicines", J. Life Sci. & Nat. Res. Vol. 30, pp. 45-58,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