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 생산기반 능력 및 재배여건을 이용한 고랭지 작물 주산지의 생산역량 분석 - 배추, 무, 감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Growing Conditions and Production Capacity in the Upland-Field Area of Highland - Focused on Kimchi-Cabbage, Radish, Potato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2 no.4, 2016년, pp.131 - 138  

정현우 (한경대학교 지역자원시스템공학과) ,  김대식 (충남대학교 지역환경토목공학과) ,  배승종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박정수 (한경대학교 지역자원시스템공학과 및 농촌환경과학연구소) ,  김한중 (한경대학교 지역자원시스템공학과 및 농촌환경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cultivated area is reduced, the ratio of upland-field in the total cultivated area is increasing relative appeared in 36.2% in 1990 from 43.7% in 2013. If upland-field can be applied well designed-infrastructure, good income crop production is possible, however, maintenance of infra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배추, 무, 감자 등의 작물재배 농가 경영체에 대한 지역 실태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생산여건과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바탕으로 재배작물 선정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배추, 무, 감자 주산지를 중심으로 농업생산 역량에 대한 취약성 분석을 위해 사용된 바 있는 작물별 기상요인 인자, 생산기반시설 역량 인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생산기반 능력(Capacity)과 재배여건(Cultivation conditions)으로 구분하여 지역별 재배작물의 농업생산 특성을 파악하고 유형분류와 등급화를 통하여 지역별 주산작물의 단위면적당 생산량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진단체계를 통하여 생산능력의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상요인이 농업에 미치는 영향은? 농업에 있어 기상요소는 농산물 생육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위적인노력으로 개선이 가능한 요인들과 달리 기상요인은 일 단위 또는 계절별 변화에 따라 생육조건이 달라지고 이로 인해 다른 환경적 요소보다 수확량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는 인간의 힘으로 통제가 불가능한부분이기에 적시에 대응하지 못할 경우 농업생산 및 경영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Lee et al., 2012b).
국립기상 연구소의 AIB 시나리오 통해 한반도의 기후변화를 예측한 결과는? 최근 발생하고 있는 지구적인 기후변화로 인하여 지역적인 기상이변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국립기상 연구소의 AIB 시나리오 통해 한반도의 기후변화를 예측한 결과 20세기 말 대비 21세기말의 기온은 한반도 전 지역에 대해 4℃ 상승, 기온의 연교차는 1.7℃ 감소하며, 일 최고 기온보다 일 최저 기온의 상승이 커서 일교차 역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었고 특히, 강수량은한반도 전 지역에서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NIMR, 2009). 이러한 기상 및 기후의 변화는 우리사회의 산업·경제 전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1차 산업분야는 타 산업 분야보다 이들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작물 생산량 추정이 미흡한 점은? 선행연구들은 작물 생산량 추정에 기상변수가 독립변수로 활용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단수 추정에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농산물의 생산량의 추정은 전국 및도 단위의 단수자료를 활용하여 농업생산여건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며, 통계적 기상자료만으로 농업생산량을 파악하고 있어 생산기반 등과 같이 작물재배지역의 특성과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는 요인들에 대해 고려되지 못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n, S. U., Lee, K. D., Lee, D. H., Heo, B. G., 2014, Vulnerability Evaluation of Garlic Productivity against Climate Change Using CCGIS Program at 232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Vol. 17, No. 3 219-227. 

  2. Jang, M. W., 2004. Development of regi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for aricultural drought using GIS. Ph. D. dis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3. Jang, M. W., 2006. County-based vulnerability evaluation to agricultural drought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The case of Gyeonggi-do -. Korean Rural Planning Vol.12, No.1 37-48 (in Korean). 

  4. Jung, N. S,, Jang, H. D,, Lee, H. S, 2009, Research on An Upland Indicator Plant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Vol. 19, No. 4, 81-93 (in Korean). 

  5. Kim, S. J., Kim, S. M., Kim, S. M., 2013,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Agricutural Infrastrueture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Vol. 55, No. 1, 31-38 (in Korean). 

  6. Kim, S. J., Kim, S. M., Kim, S. M., 2014, A Study of Development of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Criteria f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K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7. Kim, S. J., Park, T. Y., Kim, S. M., Kim, S. M., 2012, The Proxy Variables Selection of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Vol. 18, No. 2 33-42 (in Korean). 

  8. KRC,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field farming in 2016,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9. Lee, S.K. T.C. Seo, Y.A. Jang, J.G. Lee, C.W. Nam, C.S. Choi, K. W. Yeo, and Y. C. Um. 2012b. Prediction of Chinese cabbage yield as affected by planting date and nitrogen fertilization for spring production. J. Bio-Environ. Control 21:271-275 (in Korean). 

  10. Lee, J. W., 1996. An study of decision-making factors of production for radish and chinese cabbage. KREI R346:39-67 (in Korean). 

  11. Lee, S. Y., Jeong, K. H., Kim. T. W., Choi C. I., 2004. An Estimation of Yield Functions of Korean Fruit-Vegetables. KREI P73 (in Korean). 

  12. Lee, K. K., Ko, K. K., Lee, J. W., 2012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Crop Products (in Korean). 

  13. MAFRA, 2014, Current status of vegetable greenhouse and production of vegetables in 2013 (in Korean). 

  14. NIMR. 2009.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 logical research Korea meteorological adm inistration :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II - Korean peninsula Climate change: present and fu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