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중부하 상태의 족관절 검사시 양측 족관절 동시 검사와 편측 족관절 검사의 방사선학적 비교
Comparison of Radiologic Parameters between Weight Bearing Affected Both Ankle and Single Ankle in Ankle Exam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0 no.8, 2016년, pp.603 - 610  

차상영 (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  신재한 (인하대학병원 영상의학과) ,  최남길 (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체중부하 상태에서의 족관절 검사 시 양측 족관절을 동시 촬영 했을 때와 편측 족관절을 나누어 각각 촬영 했을 때, 족관절염의 평가에 해당되는 측정값들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양측을 동시촬영 할 때, 다리를 모아 촬영하게 됨으로 Tibia axis축이 기울게 되고, 족관절의 external rotation으로 인해 족관절의 각도와 joint space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양측 족관절 동시촬영과 편측 족관절을 나누어 촬영한 영상을 PACS system 이용하여 족관절 평가에 이용되는 TAS, TT, TMM, JSW, Tibiotalar joint, Fibulotalar joint의 측정값을 구한 후 통계 분석 하였다. 각도 측정에 있어, 체중부하 양측 족관절 동시 촬영한 검사의 오른쪽 족관절의 TAS, TT, TMM 측정값은 $87.24^{\circ}$, $6.44^{\circ}$, $26.67^{\circ}$ 이였으며 편측을 나누어 촬영한 오른쪽 족관절의 TAS, TT, TMM은 $88.93^{\circ}$, $2.41^{\circ}$, $19.77^{\circ}$ 였다. 양측 족관절 동시촬영의 왼쪽 족관절 TAS, TT, TMM의 측정값은 $87.25^{\circ}$, $5.71^{\circ}$, $23.92^{\circ}$ 였으며 편측을 나누어 촬영한 왼쪽 족관절의 TAS, TT, TMM은 $88.75^{\circ}$, $3.19^{\circ}$, $21.45^{\circ}$ 였다. 양측 족관절을 동시촬영한 검사와 편측을 나누어 촬영한 족관절과의 비교 시, 양측을 동시 촬영한 검사에서 족관절 평가의 중증도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세로 인한 측정값의 왜곡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너비 측정에서 JSW, Tibiotalar joint는 검사 자세로 인한 측정값들 간의 유의성은 없었지만, Fibulotalar joint 의 양측 족관절 동시 검사에서 오른쪽 0.98mm 왼쪽 1.22mm 로 나타났고, 한쪽씩 촬영한 오른쪽 족관절에서는 1.6mm 왼쪽 1.22mm로 측정 자세로 인한 측정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족관절염 평가를 위한 체중부하 족관절 검사시 양측을 동시에 검사하기 보다는 각각의 족관절을 나누어 촬영하는 것이 족관절염 평가값에 왜곡을 최소화 하며, 측정값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of radiologic parameters compared both leg weight bearing position to single leg weight bearing position in ankle osteoarthritis. Between January 2016 and June 2016, 25 patients (50 ankles) who visited our Hospital to treat ankle pain. In radiograph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은 산란하는 방사선의 성질로 인해 촬영축의 중심과 빔의 중심이 맞아야 측정부분의 내, 외 반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의 자세로 인한 왜곡의 발생을 알아보고 양측 족관절을 동시에 촬영했을 때와 편측 족관절을각각 나누어 촬영했을 때의 각 측정치들의 차이를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저자는 양측 다리를 모아서 촬영했을 경우 경골과거골, 관절면들의 왜곡과 관절강 사이 거리 값에 오차가 생길뿐만 아니라, 족관절염 중등도 단계에 영향을 주며, 결국 이것은 임상적 진단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하에 양측 족관절을 동시에 촬영하는 것보다 Fi g. 2와 같이 편측을 나누어 촬영하는 것이 올바른 촬영 법이라 가설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족관절 전·후방향 방사선 검사는 무엇을 쉽게 판단할 수 있는가? 체중부하 상태에서의 족관절 전·후방향 방사선 검사는 족관절염 환자의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으며, 단순 방사선 상의 소견에 따라 치료방침을 결정한다.[1]또한 족관절염의 단계나 수술시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경골 축과 족관절의 경골면이 이루는 각(tibia anterior s urface angle, TAS), 경골 천장부의 관절면과 거골 원개 사이의 경사각(Talar tilting angle, TT), 경골 축과 족관절의 내측 면이 이루는 각(tibial axis medial malleolar a ngle, TMM), 경골 천장과 거골 원개 사이의 거리(joint space width, JSW)등을 측정할 수 있다.
족관절의 특징은 어떠한가? 족관절은 다른 하지관절과 비교해서 연골의 인장 강도가 강하고, 더욱 단단한 연골하 골을 갖고 있는 등의 이유로 타 하지관절에 비하여 일차성 관절염이 적고, 외상성으로 인한 이차성 관절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7] 대부분의 퇴행성 관절염은 골절의 후유증으로 인한 이차성 관절염이지만, 일부 저자들은 경골 천장각의 변형이 원발성 관절염의 원인이라고 하였다.
족관절 전·후방향 방사선 검사로 무엇을 측정할 수 있는가? 체중부하 상태에서의 족관절 전·후방향 방사선 검사는 족관절염 환자의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으며, 단순 방사선 상의 소견에 따라 치료방침을 결정한다.[1]또한 족관절염의 단계나 수술시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경골 축과 족관절의 경골면이 이루는 각(tibia anterior s urface angle, TAS), 경골 천장부의 관절면과 거골 원개 사이의 경사각(Talar tilting angle, TT), 경골 축과 족관절의 내측 면이 이루는 각(tibial axis medial malleolar a ngle, TMM), 경골 천장과 거골 원개 사이의 거리(joint space width, JSW)등을 측정할 수 있다.[2] 현재 인천광역시내 대형병원 3곳과 관절 전문병원 2곳을 조사한결과 모든 병원에서 체중부하 족관절 전·후면 사진은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 R. Kim, W. C. Lee, "Comparison of Radiologic Parameters between Weinht Bearing affected Single Ankle Anteroposterior View and both Ankle Anteroposterior View in Ankle Osteoarthritis," J Korean Foot Ankle Soc. Vol. 15, No. 3, pp. 159-164, 2011. 

  2. W. C. Lee, Y. H. Kang, "Radiological Analysis of the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Ankle," J Korean Foot Ankle Soc. Vol. 9, No. 2, pp. 135-139, 2005. 

  3. Bruce W. Long, "Merrill's Atlas of Radiographic Positioning and Procedures." Volume 2, Edition 13. 

  4. Buckland-Wright, "Radioraphic assessmenet of osteoarthritis: comparison between existing methodologies," Osteoartiritis Cartilage. 1999;7:430-3. 

  5. Friberg O, Kujala UM, Aalto T, Kvist M, Osterman K, "Lower limb asymmetry and patellofemoral joint incongruence in the etiology of knee exertion injuries in athletes," Int J Sports Med. 1987;8:214-20. 

  6. J. S. Park, S. T. Jeong, S. C. Hwang, D. H. Kim, J. Y. Gwak, H. K. Yoon, D. C. Nam, "Radiographic Analysis of Tibial-Articular Surface Angl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Mechanical Axis," J Korean Foot Ankle Soc. Vol. 17, No. 3, pp. 189-195, 2013. 

  7. D. Y. Lee, I. H. Sung, "Ankle Arthrodesis" J Korean Foot Ankle Soc. Vol. 15, No. 3, pp. 124-131, 2011. 

  8. J. Y. Choi, H. J. Jeong, H. K. Shin, Eugene Kim, S. J. Park, D. S. Seo, "Surgical Treatment of Ankle Fractures in the Elderly," J Korean Foot Ankle Soc. Vol. 17, No. 1, pp. 23-27, 2013. 

  9. B. S. Kim, W. J. Choi, Y. S. Kim, J. W. Lee, "Total ankle replacement in moderate to severe varus deformity of the ankle,"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VOL. 91-B,No. 9, SEPTEMBER 2009. 

  10. Takakura Y, Tanaka Y, Kumai T. Tamai S, "Low tibial osteotomy for osteoarthritis of the ankle. Results of a new operation in 18 patients," J Bone Joint Surg Br. 1995;77:50-4. 

  11. J. S. Moon, J. C. Shim, J. S. Suh, W. C. Lee, "Radiographic predictability of cartilage damage in medial ankle osteoarthritis," Clin Orthop Relat Res. 2010;468:2188-97. 

  12. W. C. Lee, J. S. Moon, K. Lee, W. J. Byun, S. H. Lee, "Indications for Supramalleolar Osteotomy in Patients with Ankle Osteoarthritis and Varus Deformity," 2011;93:1243-8 d doi: 10.2106/JBJS.J.00249. 

  13. Karlsson J, Lansinger O, "lateral instability of the ankle joint," Clin Orthop relat Res. 1992;2276 :253-61. 

  14. Thomas H. Berquist FACR, "Imaging of the Foot and Ankle," ISBN-13: 978-1605475721, September 16, 2010. p.252-253. 

  15. Cushnaghan J, Dieppe P, "Study of 500 patients with limb joint osteoarthritis. I. Analysis by age, sex, and distribution of symptomatic joint sites," Ann Rheum Dis. 1991;50:8-13. 

  16. Huch K, Kuettner KE, Dieppe P, "Osteoarthritis in ankle and knee joints," Semin Arthritis Rheum. 1997;26:667-74. 

  17. Saltzman CL, Salamon ML, Blanchard GM, et al, "Epidemiology of ankle arthritis: report of a consecutive series of 639 patients from a tertiary orthopaedic center," Iowa Orthop J. 2005;25: 44-6. 

  18. W. C. Lee, J. S. Moon, K. Lee, H. J. Choi, "Relationship between Radiographic Classification and Articular Cartilage Lesions in Medial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Ankle," J Korean Foot Ankle Soc. Vol. 11, No. 2, pp.130-13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