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촬영 자동노출제어장치 사용 시 잔존 CT 조영제와 MRI 조영제에 따른 면적선량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f The Correlation of The Area Dose with Residual CT Contrast Media and MRI Contrast Media during The Use of General Imag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System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0 no.8, 2016년, pp.619 - 627  

홍찬우 (한림성심대학교 방사선학과) ,  박진훈 (한림성심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정민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영상의학과) ,  서영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일반촬영에서 자동노출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할 때 체내에 잔존하는 CT 조영제와 MRI 조영제가 면적선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복부 두께의 파라핀 팬텀 중앙에 사각형의 홀을 만든 후 CT 조영제, MRI 조영제를 각각 식염수 대 조영제 희석 비율, 10:0, 9:1, 8:2, 7:3, 6:4, 5:5, 4:6, 3:7, 2:8, 1:9, 0:10 %의 비율로 희석하였다. 각 실험은 KUB 촬영의 적정 조건인 78kVp, 320mA로 설정 후 자동노출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희석 비율 당 총 30회씩의 검사를 하였고, 각 조영제의 희석 비율에 따른 면적선량, 노출지수에 대해 평균 비교와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CT 조영제와 MRI 조영제는 희석 비율에 따라 면적선량이 다르게 나타났고(p<0.05), 희석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CT 조영제와 MRI 조영제는 면적선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각 검사에서 노출지수는 제조사 권고 사항인 200-800 EI값을 나타냈으며, 노출지수와 면적선량은 면적선량이 증가할수록 노출지수도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CT 조영제와 MRI 조영제는 모두 자동노출제어장치를 사용하는 일반촬영 검사에서 면적선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T와 MRI 검사에서 조영제를 사용한 후 일반촬영 검사를 할 때에는 조영제가 충분히 배설된 후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T contrast agent and MRI contrast agent on the area dose in the body when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system in general radiography. After making rectangular holes in the center of the abdominal thickness paraffin phantom, CT contrast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T 조영제와 MRI 조영제가 체내에 잔존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자체 제작한 파라핀 팬텀에 조영제와 생리 식염수를 희석하여 AEC를 사용하는 일반촬영 검사에서 면적선량과 노출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CT 조영제와 MRI 조영제가 체내에 잔존하였을 때를 고려하여 파라핀 팬텀을 자체 제작하였고, AEC를 사용하였을 때 과잉 피폭 정도를 정량화 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조건은 적정 KUB(Kidney Ureter Bladder) 촬영 조건으로 조영제가 신장을 통해 배설하기 때문에 KUB 촬영을 가정하여 검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영제가 체내에서 배출되는 시간은 어떠한가? [3-5] CT와 MRI 검사에서 조영제는 질환의 감별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꾸준히 사용 횟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조영제를 사용하는 경우 체내에서 배출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체내에서 배출되는 시간은 대략 6시간 정도로 생각하고 있지만, 비뇨기계의 기형으로 인한 소변 정체현상이나, 핍뇨로 인해 조영제 배출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6-9] 이 때 일반촬영을 하게 되는 경우 조영제가 체내에 잔류하는 상태에서 검사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CT 조영제의 특징은? 최근 CT와 MRI 장치 등은 기존 일반촬영 장치에 비해 3차원 영상을 제공하고, 보다 정밀한 검사가 가능한 장치로 각광받고 있으며, 조영제라는 대조도 차이를 유발시키는 약품을 이용하기도 한다.[2] CT 조영제는 주로 요오드계열을 이용하여 X선을 강하게 흡수시켜 혈관과 주변 해부학적 구조물들을 구별하고, MRI 조영제는 주로 가돌리늄 계열을 이용하여 조직의 T1 이완시간을 단축 시켜 주변 해부학적 구조물들과 대조도 차이를 유발하여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된다.[3-5] CT와 MRI 검사에서 조영제는 질환의 감별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꾸준히 사용 횟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조영제를 사용하는 경우 체내에서 배출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조영제 배출 시간이 지연될 때 일반촬영을 하면 나타나는 일은? 체내에서 배출되는 시간은 대략 6시간 정도로 생각하고 있지만, 비뇨기계의 기형으로 인한 소변 정체현상이나, 핍뇨로 인해 조영제 배출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6-9] 이 때 일반촬영을 하게 되는 경우 조영제가 체내에 잔류하는 상태에서 검사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일반촬영에 많이 이용되는 방법으로는 자동노출제어장치(AEC; Auto Exposure Control)로 3개의 전리함(ion chamber)을 이용하여 환자의 조직 원자번호 및 두께 등에 따라 최적의 노출을 통해 검사가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ttp://www.mfds.go.kr 

  2. K. K. Jung, P. K. Cho, "Evaluation of the Low Tube Voltage in the Computed Tomography Scan Technique using a Low Concentration Contrast Agent,"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9, No. 1, pp. 71-79, 2016. 

  3. S. J. Lee, S. M. Yu, "A Comparison Study of Signal Intensity of Gadolinium Contrast Media on Fast Spin Echo and Ultra Short Time Echo Pulse Sequence at 3T MRI-Phantom Stud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8, No. 3, pp. 253-259, 2015. 

  4. C. M. Park, P. B. Lee, T. B. Song, J. K. Jang, Y. J. Lee, M. K. Lee, S. C. Lim, "Safety Evaluation of lopamidol Contrast Medium Used for Radiological Examination of a Local Clinic in Korea," Journal of Pharmaceutical Society Korea, Vol. 53, No. 6, pp. 328-333, 2009. 

  5. S. H. Cho, M. S. Kim, G. S. Khang, J. A. Kim H. B. Lee, "Recent Advances of Contrast Agent using Biocompatible Organic and Inorganic Nanoparticles,"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15, No. 4, pp. 438-448, 2004. 

  6. E. J. Lee, "A Study on Perceived Discomfort in Patients Following Cardiac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5, No. 1, pp. 124-140, 1995. 

  7. K. H. park, B. H. Kim, J. S. Lee, S. Y. Kim, "The Significance of Fast Spin Echo MRI in Patients with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Korean Journal of Otolaryngol, Vol. 40, No. 9, pp. 1262-1266, 1997. 

  8. S. J. Park, J. I. Shin, "Overview of the Formation, Components, Color, and Abnormal Findings of Urine, " Journal of Korean Society Pediatric Nephrology, Vol. 17, No. 2, pp. 29-34, 2013. 

  9. Y. K. Kim, N. H. Kwon, D. I. Kang, W. Y. Chung,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Horseshoe Kidney," Journal of Korean Society Pediatric Nephrology, Vol. 17, No. 2, pp. 73-78, 2013. 

  10. J. S. Lee, S. J. Ko, S. S. Kang, J. H. Kim, D. H. Kim, C. S. Kim,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 Sensitivity in the Digital Chest Imag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8, pp. 275-283, 2013. 

  11. W. J. Lee, B. S. Ahn, Y. S. Park,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of Low-dose Protocol in Chest CT : Comparison of Standard-dose Protocol,"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Vol. 37, No.2, pp. 84-89, 2012. 

  12. H. Bak, J. S. Jeon, Y. W. Kim, S. J. Jang, "Dose assessment according to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Iodine in Contrast Media used in Interventional Procedur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3, pp. 337-345, 2014. 

  13. S. H. Kim, H. Oh, S. E. Lee, S. K. Jo, M. W. Byun, "Effect of Si-Wu-Tang and Si-Jun-Zi-Tang on the Survival of Jejunal Crypt Cells and Hematopoietic Cells in Irradiated Mic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30, No. 4, pp. 888-894, 1998. 

  14. T. I. Kim, J. H. Yoon, G. M. Back, J. E. Kim, J. S. Oh, H. J. Lee, "Dose Comparison of Digital Detector Type(Flat Panel Detector) Angiography Equipment-Focusing on absorbed dose of Siemens-Axiom artis dBA vs Philips-Allura FD-20," Korean Society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Technology, Vol. 10, No. 1, pp. 84-91, 2007. 

  15. K. W. Kim, Y. R. Kwon, S. W. Seo, K. T. Kwon, J. Y. Oh, S. Y. son, J. H. Son, J. W. Min, "Comparison of Exposure Dose by Using AEC Mode of Abdomen AP Study in Radiograph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8, No. 3, pp. 205-211, 2015. 

  16. D. K. Kim, K. T. Kim, J. E. Park, J. Y. Hong, J. S. Kim, K. M. Oh, S. H. Nam, "Evaluation of High Absorption Photoconductor for Application to Auto Exposure Control Sensor by Screen Printing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Radiology, Vol. 9, No. 2, pp. 67-72, 2015. 

  17. J. S. Lee, H. H. Park, "Evaluation on Organ Dose and Image Quality by Changing kVp and Ion Chamber Combination while Taking Digital Chest Lateral Decubitus PA Proje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1, pp. 316-323, 2015. 

  18. Y. O. Kim, Y. H. Seoung, "A Study on Various Automatic Exposure Control System in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by Using Human Phanto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4, pp. 1714-1720, 2012. 

  19. J. S. Jung, B. W. Choi, S. H. Kim, Y. M. Kim, J. N. Shim, H. S. Ahn, D. E. Jin, J. S. Lim, S. H. Kang, "Effect of Automatic Exposure Control Marker with Chest Radiography in Radiation Reduction,"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7, No. 3, pp. 177-185, 2014. 

  20. K. J. Lee, M. G. Kim, J. W. Lee, H. C. Kim, "Research for The Environmental Optimization of Dose and Image quality in Digital Radiography,"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0, No. 2, pp. 203-209, 2013. 

  21. G. R. Kim, C. K. Yang, H. M. Hahn, "Insomnia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on Hemodialysi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ol. 6, No. 2, pp. 126-132, 1999. 

  22. Y. I. Jo, "Diagnosis of Primary Glomerular Disease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84, No. 1, pp. 6-12, 2013. 

  23. I. J. Kim, "A study on learning needs about altered elimination of spinal cord injury patients : A comparison patients' and nurses' percep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4, No. 1, pp. 129-142, 1994. 

  24. B. E. Kim, H. Y. Lee, "Effect of Moxibustion on Urinary Incontinence in Stroke Patients -pilot stud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Vol. 7, No. 1, 2002. 

  25. J. M. Jo, S. S. Shin, J. W. Kim, S. H. Heo, Y. Y. Jeong, H. K. Kang, "Enhancement Pattern of Liver Parenchyma during Late Dynamic Phase Imaging: Comparison between Gd-EOB-DTPA and Gd-DTPA-BM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Radiology, Vol. 70, No. 4, pp. 269-277, 2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