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과 베트남 초기 경제특구와 비교를 통한 북한 경제특구 평가
An Evaluation of N.Korean SEZs through Comparing with China's and Vietnam's Initial Cases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7 no.4, 2016년, pp.191 - 205  

김미숙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최대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김두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90년대 초반 나선특구 지정을 시작으로 추진한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전략이 아직까지 이렇다 할 성과를 내고 있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북한은 중국 베트남의 '점진적' 개혁 개방 또는 경제개발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그러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중국, 베트남, 북한의 경제특구 사례를 '맥락과 목적', '개발 관리제도', '입지와 인프라 공급'의 범주에서 비교 평가하였다. 사례비교 결과 북한의 경제특구 전략은 먼저 역사적 맥락과 추진 목적 측면에서 중국 베트남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외자유치를 목적으로 하였지만, 북한의 경제특구는 '경제개혁(또는 시장도입) 없는 개방'이어서 중국과 베트남의 경제특구가 가지는 '국가경제 전반의 개혁을 목표로 한 테스트베드로서 개방'과 그 성격을 달리한다. 이러한 차이가 소극적인 분권화 수준과 입지선택으로 귀결되었으며, 상대적으로 토지제도와 세제혜택 등에서 중국, 베트남과 비교해 불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북한 경제특구 전략이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사례비교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경제특구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경제개발 계획 하에 경제특구 전략을 배치하여야 한다. 그것의 실내용은 외부 경제체제와 호환되는 '신뢰할 수 있는 시장경제'의 확대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은 정치 외교적 차원에서 체제안정을 확보해야 할 것이며, 역으로 그것이 외부에서 북한의 개방과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조건이 될 것이다. 둘째, 개발관리체계에서 분권화와 입지선택에서 더 과감한 시도를 해야 한다. 대도시 또는 외부와 연계가 용이한 지역의 노동력과 인프라를 활용하는 전략, 분권화를 통해 창조적인 제도 실험이 가능하게 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셋째, 인프라건설자본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BOT 방식 등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rth Korea(NK) has designated the special economic zones(SEZs) since the first one in Rason. But, why have the SEZs in NK still not been developed successfully? This study comparatively evaluated the SEZs in China, Vietnam and NK, with respect to 'context/purpose', 'development/management system',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의 경제특구 전략과 중국, 베트남의 전략의 차이는? 북한이 제도적으로 시장경제 도입을 본격 추진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북한의 경제특구 전략과 중국, 베트남의 전략은 근본적인 차이를 가진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런데 경제특구란 어떤 국가의 전반정책이 구사되는 공간이라기보다는 외자를 유치하기 위해 특수한 정책이 구사되는 한정된 공간이므로 체제전환국인 중국, 베트남의 특구 추진전략과 체제전환국이 아닌 북한의 전략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북한 경제개발 방안의 핵심 중 하나는 무엇입니까? 북한은 핵・경제 병진노선을 고수하면서 핵 개발과 함께 경제개발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북한 경제개발 방안의 핵심 중 하나는 다른 후발산업국 및 체제전환국들과 마찬가지로 ‘경제특구개발’ 전략이다. 경제특구를 통해 체제 안정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외자를 유치하고 수출산업과 고용을 확대해 가고자 하는 전략이다.
북한의 경제특구로 형황은 어떻게 되나요? 경제특구를 통해 체제 안정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외자를 유치하고 수출산업과 고용을 확대해 가고자 하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북한은 김정은 등장을 전후로 나선특구와 황금평・위화도특구를 중국과 공동개발하기로 하였고, 신의주특구를 다시 지정하였으며, 원산-금강산특구 지정과 함께 전국 각지에 국가급・지방급 경제개발구를 지정하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국토교통부(2015), 북한 건설.개발제도 및 계획현황 연구. 

  2. 권기대(역)(2012), 중국이야기, 민음사, 서울(Henry A. Kissinger (2011), On China, Penguin Books). 

  3. 권오혁(2006). "한국과 중국의 경제특구 제도 비교", 지방정부연구, 제10권 제4호(2006 겨울): 283-301. 

  4. 권율(1993a), 베트남의 外國人投資政策과 制度分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5. 권율(1993b), 베트남의 輸出加工區 開發政策과 現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6. 김근식(2010),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 변화", 통일과 평화,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2): 111-136. 

  7. 김미숙, 김용태, 김두환, 이인주 등(2013), 북한경제특구 개발을 위한 사업방식 및 재원조달 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8. 김일성(1996), "현시기 정무원앞에 나서는 중심과업에 대하여(1992. 12.14 발표)," 김일성저작집 44,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9. 남궁영(1996), "북한의 투자환경: 중국.베트남과의 비교연구-거시적 투자환경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96년 상반기호(통권 제25호). 

  10. 박민규, 왕붕, 강명구(2015), "중국 선전 경제특구 성공에 있어 '연결도시'로서 홍콩의 역할: 북한 경제특구 개발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10(1): 57-71. 

  11. 박번순, 오승구, 유진석, 김득갑(2001), 사회주의 개방국가의 초기외국기업 진출환경 분석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12. 박인성(2000), 중국 션젼 경제특구의 토지관리개혁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13. 박인성(2002), "중국의 경제특구 건설.운영경험 연구", 통일정책연구, 11(1): 287-313. 

  14. 법무법인태평양(2006), 심천 경제특구 주요 법제 입법개요, 통일부. 

  15. 법무부(2005a), 中國 經濟特區法制 硏究. 

  16. 법무부(2005b), 베트남 改革開放法制 槪觀. 

  17. 법무부(2008), 개성공업지구 토지이용권 보호방안 연구. 

  18. 유기현, 서순탁(2014),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토지구획정리사업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공간과 사회, 24(2): 178-219. 

  19. 이무철(2011),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의 발전전략 : 비판적 평가",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3(1) : 317-344. 

  20. 이상직, 박기성(2003), 중국 경제특구의 성과와 성공요인, 인천발전연구원. 

  21. 이석기(2013),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과 남북한 경제협력 과제", 국토, 28-35. 

  22. 이석기, 양문수, 정은이(2014), 북한 시장실태 분석, 산업연구원. 

  23. 이성수(2005), "중국, 베트남의 경제특구 개발전략", 국토, 통권 290호: 96-108. 

  24. 이승욱(2016),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특구전략: 영역화, 분권화, 그리고 중국식 개혁개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122-142. 

  25. 임강택(2001), 북한의 개혁.개방정책 추진 전망: 대북 경제협력정책에 대한 시사점, 통일연구원. 

  26. 임을출(2010), "체제전환국들의 경제특구 활성화를 위한 법제 비교", 통일문제연구, 2006년 하반기호(통권 제46호) :143-183. 

  27. 정형곤(2002), "심천 경제특구의 개발 및 운영정책: 성공요인과 시사점", KDI 북한경제리뷰, 43-44. 

  28. 정흥모(2001), 체제전환기의 동유럽 국가 연구 : 1989년 혁명에서 체제전환으로, 서울: 오름. 

  29. 조명철, 홍익표(2000), 중국.베트남의 초기 개혁.개방정책과 북한의 개혁방향, 통일연구원. 

  30. 조선.평양(1995), 라진-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 투자환경, 김일성 종합대학출판사. 

  31. 토지주택연구원(2015), 2015년 북한 건설.개발 동향. 

  32. 하연섭(2002), "신제도주의의 최근 경향: 이론적 자기혁신과 수렴", 한국행정학보, 36(4): 339-359. 

  33. 한국조세연구원(2006), 개성공단과 중국 경제특구 조세법제의 비교 연구, 통일부. 

  34. 한국토지공사(2008), 개성공단개발사. 

  35. 허련(2011), "개성공단 개발사업의 성과와 함의", 대한지리학회지, 46(4): 518-533. 

  36. 홍익표(2010), "성공적 수행을 위한 발전방향과 북측의 과제 : 중국.베트남과의 비교", 통일경제 10월호. 

  37. Goldman Sachs (2009), "A United Korea? Reassessing North Korea Risks(Part I)," Global Economics Paper No.188. 

  38. Lee, J. E. (1995), An Examination of Government Investment Incentives and Disincentives : the Case of Vietnam, University of Hong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in Business Administration. 

  39. World Bank (2008), Special Economic Zones performance, lessons, learned, and implications for zone development. April 2008 :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Group. 

  40. 小田美佐子(2002), 中國土地使用權と 所有權 日本, 京都: 法律文化社. 

  41.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홈페이지, https://www.kidmac.com/kor/contents.do?menuNo100158. 

  42. 통일법제 데이터베이스, http://www.unilaw.go.kr/Index.do. 

  43.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http://nkinfo.unikorea.go.kr/nkp/overview/nk Overview.do?sumryMenuIdEC204. 

  44.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ecos.bok.or.kr. 

  45. Taiwan Today 홈페이지, http://www.taiwantoday.tw/ct.asp?xItem85201&CtNode103. 

  46. TTC 홈페이지, http://ttc-vn.com/about. 

  47. World Bank Data, http://data.worldbank.org. 

  48. 노동신문(2016.5.8),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 결정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사업총화에 대하여". 

  49. 통일부 보도자료(2015.12.24), "개성공단 토지사용료 기준에 관한 합의서 체결"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